$\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로 활성화를 위한 가로변 노천카페의 유형별 설계요소 평가
An Evaluation of Design Factors with Sidewalk Cafes for Street Revitalizatio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2, 2013년, pp.47 - 58  

김동찬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  최우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평가기준을 선정하여 유형별로 평가함으로써 추후 노천카페 가이드라인을 만들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로와의 관계성 관점에서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가로변 노천카페의 전수조사가 시행되었다. 그리고 평가기준을 선정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와 중요도 조사가 사용되었고, 데이터의 분석에는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등과 같은 통계방법들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노천카페의 유형은 가로와의 관계성 관점에서 가로돌출형, 가로개폐형, 혼합입체형, 가로앙각형, 사인제공형 등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평가항목의 5개 요인은 접근성, 심미성, 정체성, 환경성, 문화성이었는데, 이 5개 요인의 누적기여율은 68.731%로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평가항목을 토대로 조경 전문가 4인이 5점 리커트 방식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형별 평가 결과, 가로돌출형과 가로개폐형은 '심미성'과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고, 혼합입체형은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가로앙각형은 '접근성', '심미성', '문화성', 사인제공형은 '접근성', '정체성', '환경성'의 점수가 낮았다. 지표별 평가 결과,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고, 항목별 평가 결과, '장애인의 안전성', '프로그램의 흥미성', '출입의 개방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요구와 관심은 높지만 연구가 미흡한 분야인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평가를 수행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로변의 노천카페만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주변 환경의 차이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의 노천카페를 대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가가 평가를 시행하였으므로 추후 이용자 입장에서의 중요도와 만족도 조사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types of sidewalk cafes, and to evaluate design factors with types of sidewalk cafes for street revitalization. Consequently, it may suggest efficient and systemic policies for the guidelines of sidewalk cafes. To ensure this end, the types of sidewalk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천카페의 유형은 가로와의 관계성에 따라 분류하고자 하였고, 이에 기존의 국내 선행 연구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노천카페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으로 유형구분에 대한 자료가 없었기 때문에, 가로변의 업종과 가로와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여(차호철과 박철민, 2011) 이를 바탕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 노천카페의 유형은 가로와의 관계성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차호철과 박철민(2011)은 가로와의 관계성에 따른 업종 구분에서 가로와의 관계성을 가로돌출형(아주 높음), 외관개방형(높음), 내부조망형(보통), 사인제공형(낮음)으로 구분한 바 있다.
  • 본 연구는 가로활성화를 위한 노천카페 설계요소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로변에 위치한 노천카페로 한정 지으며, “카페, 식당 등에서 건물 전면, 테라스, 옥상 등 옥외로 확장하여 음료, 식사를 제공하는 공간, 또는 건물에 부속한 공간이라고 할지라도 이용자가 야외공간으로 인식하는 장소로서, 가로변 대지경계선 안쪽에 위치하는 모든 공간”으로 정의한다.
  • 본 연구는 최근 상업가로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긍정적 역할을 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는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평가항목을 도출한 후, 유형별로 평가・분석함으로써 추후 노천카페 가이드라인을 만들 때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평가기준을 도출한 후, 유형별로 평가・분석함으로써 추후 노천카페 가이드라인을 만들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천카페에 대한 전문가 또는 일반인의 인지도, 관심도, 이용도 등이 높은 수준에 이른 이유는 무엇인가? 가로변 노천카페는 최근 상업가로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긍정적 역할을 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김도년, 2011), 노천카페에 대한 전문가 또는 일반인의 인지도, 관심도, 이용도 등은 이미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김동찬과 최우영, 2013). 이것은 Nan Ellin이 완벽한 도시(Integral Urbanism)의 5가지 성질(5 qualities)의 하나로서 투과성(porosity)을 강조한 바와 같이(Nan Ellin, 2006), 노천카페가 경관을 감상하는 동시에 경관을 형성하는 장소로써 가로에 매력적인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 주요 도시는 이러한 노천카페를 지역 어메니티 증진 요소로 선정하고, 관련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제도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노천카페의 사전적 개념은 무엇인가? 노천카페의 사전적 개념은 건물 밖에 테이블과 의자를 놓고 손님들이 간단한 차와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어 있는 영역이라고 하였고2), 김도년(2011)은 음료 식사가 제공되는 모든 야외 좌석이라고 하였다. 해외 도시의 노천카페 정의를 살펴보면, 미국 뉴욕은 간이 테이블과 의자, 난간과 파라솔 등의 시설과 접을 수 있는 어닝을 제외한 지붕이 없는 카페라고 하였고,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시티는 레스토랑, 바, 카페가 운영되는 야외공간(공공보도)에 조성되어 유지되는 카페라고 하였다.
국내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평가 기준을 선정하여 유형별로 평가한 결과는 어떠한가? 그리고 평가기준을 선정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와 중요도 조사가 사용되었고, 데이터의 분석에는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등과 같은 통계방법들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노천카페의 유형은 가로와의 관계성 관점에서 가로돌출형, 가로개폐형, 혼합입체형, 가로앙각형, 사인제공형 등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평가항목의 5개 요인은 접근성, 심미성, 정체성, 환경성, 문화성이었는데, 이 5개 요인의 누적기여율은 68.731%로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평가항목을 토대로 조경 전문가 4인이 5점 리커트 방식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형별 평가 결과, 가로돌출형과 가로개폐형은 '심미성'과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고, 혼합입체형은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가로앙각형은 '접근성', '심미성', '문화성', 사인제공형은 '접근성', '정체성', '환경성'의 점수가 낮았다. 지표별 평가 결과,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고, 항목별 평가 결과, '장애인의 안전성', '프로그램의 흥미성', '출입의 개방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요구와 관심은 높지만 연구가 미흡한 분야인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평가를 수행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기수(2008) 도시 고층건물내 공개공지의 공공성 확보방안에 대한 의식 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논문집 6(2): 111-118. 

  2. 김기수, 김중섭(2010) 한국, 미국, 일본 청소년들의 도시 고층건축물 내 공개공지의 공공성 평가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지 8(1): 31-38. 

  3. 김도경, 김건영(2011) 서울시 도시환경정비사업 내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5): 21-32. 

  4. 김도년(2011) 가로활성화를 위한 보도공간의 민간 활용방안. 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5. 김도년(2012) 노천카페를 활용한 가로활성화 방안. 시정개발연구원보고서. 

  6. 김동찬, 최우영(2013) 가로의 장소성 확보 및 활성화를 위한 노천카페 설계요소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9(3): 147-154. 

  7. 김세용, 양동양(1997) 도시의 공공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1): 53-68. 

  8. 김주석, 최장순, 최찬환(2002) 공개공지의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5): 39-46. 

  9. 김혜경(1996) 공개공지 조성 및 이용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태희, 서주환(2005) 환경조형물의 시각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 10-16. 

  11. 송호진(2008) 도시가로시설물의 정비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엄붕훈(2011) 대형건축물 공개공지의 조성 및 관리실태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6): 36-45. 

  13. 우동주(2008) 도시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공개공지의 설계 지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 117-124. 

  14. 우상기(2009) 보행자 중심의 도시가로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0(2): 275-284. 

  15. 이나영(2002) 도심지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의 개선방향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득구(2004) 걷고 싶은 거리의 보행환경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승희(2007) 건물전면공지 간의 연결성 개선을 위한 디자인가이드라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장광집(2010) 도시관문의 가로시설물 배치와 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1(3): 411-424. 

  19. 조원석(2009) 공공디자인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해외사례의 조사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1(3): 11-18. 

  20. 장하리, 이인성(2006) 공개공지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7(4): 47-61. 

  21. 정창구, 김홍규, 김기수(2008) 조성위치에 따른 도시 고층사무소건축물 공개공지의 공공성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201-210. 

  22. 차호철, 박철민(2011) 뉴욕 활성화 상업가로의 물리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6): 39-46. 

  23. 채두병, 이주형, 송희열(2010) 공개공지의 질적수준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중요 설계요소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3): 95-104. 

  24. 최희원, 배현진, 이상호(2002) 건축설계 전문가의 의식 조사를 통해 본 공개공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0): 175-182. 

  25. 호창기(2008) 도시 공개공지 유형에 따른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Nan Ellin(2006) Integral Urbanism. New York: Routledge. 

  27.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7690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