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 로그데이터 기반 대학도서관 일반열람실 활용도 및 선호요인 분석 - J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Utilization Status and Preference Factors of Reading Room in University Library based on User Log Data: Focusing on the Case of "J"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2, 2020년, pp.375 - 398  

손은정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  박태연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 연구소) ,  오효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도서관 공간 중 일반열람실의 당초 목적은 이용자가 도서관 장서를 자유롭게 열람·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있었으나 현실적으로는 개인 학습 공간으로의 활용이 많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재고 논의가 일고 있다. 특히 대학의 경우 도서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공간 중 주로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하는 일반열람실의 비중이 큰 편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내 일반열람실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열람실별 공간적 특성에 따른 선호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 J대학교를 선정, 지난 1년간 다양한 규모의 일반열람실을 실제 이용한 로그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총 40,753명의 이용자로부터 수집된 218,939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간별, 공간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열람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나아가 공간 활용도 제고를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일반열람실의 공간 배치 및 공간 활용도 향상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university library's reading room is to provide a space for reading books. However, with the recent increase in use as a personal learning space,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spaces in university librarie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tilization status of r...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주요 학습 공간인 일반열람실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들의 실증적인 공간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공간별 활용도 분석을 통해 이용자 선호요인을 도출하여 도서관 공간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고려사항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는 사회 변화에 따른 대학도서관 공간의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변치 않는 이용자 요구가 존재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 공간 중 이용자 수요가 가장 높고, 방문 목표가 비교적 분명한 일반열람실을 대상으로, 이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공간의 변화 방향에 대하여 진단해 보도록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주요 공간인 일반열람실을 대상으로 1년 동안 누적된 로그데이터를 통해 학생들의 공간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별도의 서가 및 기자재가 배제된 공간에서 자율학습과 개인연구 등을 목적으로 공간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기간별, 공간 별 데이터를 분석하고 선호요인을 도출하여 실증적인 공간 구성의 고려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례조사, 인터뷰, 설문조사 등을 이용하여 도서관의 공간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이용행태가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실질적인 데이터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주요 학습 공간인 일반열람실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들의 실증적인 공간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공간별 활용도 분석을 통해 이용자 선호요인을 도출하여 도서관 공간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고려사항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공간 선호요인들을 종합하여 효율성(PC지원, 콘센트 지원), 개방성(공간 크기, 소음), 편의성(조도, 식음료, 휴게 공간)에 따라 구분하고, 각 선행연구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1년간의 실제 로그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여 이용자의 공간 선호도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이용자가 대학도서관의 공간을 이용하는 영향 요인이 일반열람실의 활용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장에서는 앞에서 정리한 의 이용자의 공간 선호요인을 바탕으로 J대학교 중앙도 서관 일반열람실의 이용요인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특히 일반열람실은 학생들의 수요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는 공간이지만, 오늘날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의 변화로 만족도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일반열람실의 공간 구성에도 이용자들의 공간 이용 행태를 반영한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하는 일반열람실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로그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들의 실증적인 공간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이용자 선호요인을 도출하여 도서관 공간 활용성 제고를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Education. 2nd Comprehensive Plan for University Library Promotion (2019-2023). [online] [cited 2020. 4. 6.] 

  2.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University and College Libraries Promotion Act. [online] [cited 2020. 4. 6.] 

  3. Kim, Bo-Young and Kwak, Seung-Jin. 2017.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at Academic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3): 260-279. 

  4. Kim, Eun-ja and Toshiro Minami. 2009. "Library's Space Organization Improvement Based on Patrons'Behavioral Reserch: At Gwacheon Public Library in Korea and Kyushu University Library i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3): 395-415. 

  5. Kim, Hwan-Hee and Park, Ji-Hong. 2019. "The Influence of Space Composition of University Libraries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Application of the Servicesca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6(1): 31-52. 

  6. Nam, Youung-Joon, Moon, Jung-Hyun and Yi, Hyun-Jung. 2009.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Research about Spacial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Remodeling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C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v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4): 205-222. 

  7. Noh, Dong-Jo. 2015. "A Study on the Emotional Vocabulary Based on Space Assessment of the Academ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v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4): 83-104. 

  8. Noh, A-reum. 2016. A Study on Learning Commons Services and Its Current State Pertaining to Academic Libraries in korea. M.A.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9. Noh, Young-hee. 2016. "A Study on Librarians'Perception about the Changing Role of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2): 227-256. 

  10. Min, Deul-Le. 2008. A Study on space betterment of University Library to Improve satisfaction. D.I. thesis, Dept. of Industrial.environment Desig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 Hanyang University. 

  11. Park, Sung-Jae. 2016. "Analysis of Library Space Use Patterns to Determine its Optimum Uti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 225-245. 

  12. Park, Sung-Jae. 2019. "Analyzing Library Space Use Patterns in a Public Library Through Smartphone WiF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6(1): 295-313. 

  13. Park, Ji-Hong, Park, Jin-hee and Nam, Eun-kyung. 2013.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Commons on User Traffic Patterns and Perception of the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93-110. 

  14. Park, Jin-Kyeun. 2009. A Study on the User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Information Commons. P.M. thesis, Dept. of School Librarianship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15. Yoon, Hee-Yoon and Kim, Il-Young. 2018. "Analysis of Staff and User's Perception of the Separate Reading Room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1): 1-22. 

  16. Lee, Yong-Jae, Park, Kyung-Seok and Kim, Bo-In, 2012.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P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v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2): 133-150. 

  17. Lee, Eun-Ju and Jung, Young-mi. 2019.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Makerspace in Korea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4): 223-247. 

  18. Lim, Ho-Kyun. 2016. "Study on the Spatial Standard for Reading Room i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5(5): 140-147. 

  19. Chang, Yun-keum. 2014. "A Study of the Changes in University Library Space and their Assessment Stateg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229-248. 

  20. Chang, Yun-keum. 2015. "A Study of the Librarians'Perceptions towards the Change in University Library Spa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1): 361-377. 

  21. Jung, Young-mi. 2020. "Users and Librarians'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n the University Library Spa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4(1): 223-242. 

  22. Chang, Jae-young. 2007.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to the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67-87. 

  23. Chang, Jae-young. 2012.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Spaces on the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333-352. 

  24.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3. Standards for Korean Library Korean Libraries, 2013 edition.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