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도시이미지에 대한 지역 내외 주민 의식의 경시적 변화 비교 - 대표 이미지와 환경 이미지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Changes Over Time between In and Outside the Regional Resident's Cognition for Image of Daegu City - Focused on Representative Image and Environmental Image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3, 2013년, pp.12 - 21  

엄붕훈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김금용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대표 이미지와 환경 이미지를 중심으로 도시이미지의 인지 변화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구시민과 타 지역 주민 집단 및 지난 10여 년간의 경시적 변화를 비교 고찰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대구에 대한 대표 이미지로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더위, 팔공산, 섬유 등이며,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소는 팔공산, 동성로, 이월드 등이었다. 10여 년 전과 비교했을 때, 대구의 대표 연상이미지로 사과와 섬유의 빈도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으며, 연상인물로는 과거에는 주로 정치인들이 많았지만, 요즘은 스포츠선수 연예인 등의 빈도가 높아져 세태 변화를 보여주었다. 둘째, 환경조건에 대한 이미지 평가 점수는 인간환경 부문에 대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개별 변수로는 "대구로 접근하기 위한 교통조건", "여성의 이미지", "쇼핑 등 생활환경" 등이 높게 평가되었다. 지역 내외 집단 간에는 대구시민들의 평가보다는 타 지역 주민들의 평가가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며, 2000년도 자료와 비교할 때 금회(2011년도) 평가치들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구시의 환경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 변수들로는 인간환경 요인 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자연/기반환경 요인", "생활환경 요인" 및 "교통환경 요인" 등의 순으로 영향력이 큰 요인들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구시의 도시이미지의 변화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경관형성 계획의 정책적 제안 및 도시 브랜드이미지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als with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in cognition of city image of Daegu City, focusing on image of representativ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wo-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change of image cognition between the last decades. Major results are: First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는 당초 연구가설에서 설정한 4개의 요인과 대체로 비슷하게 나타난 것이지만, 당초 기반환경에 포함시켰던 가로환경(X6)과 자연재해, 사고(X7) 변수는 자연환경의 범주에 포함되었고, 나머지 두 개의 교통조건 변수들은 별도의 교통환경 범주로 별도의 요인으로 나타난 것이 다른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당초의가설적 모형을 약간 수정하였는데, 자연/기반환경(요인 1), 생활환경(요인 2), 인간환경(요인 3), 및 교통환경(요인 4) 등으로 그 범주를 재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구시의 도시이미지의 변화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경관형성 계획의 정책적 제안 및 도시 브랜드이미지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서 도시이미지 인지특성의 변화를 고찰한 것으로서, 비교 표본 집단의 불일치와 크기 불일치에 따른 오차 발생의 문제에 따른 일반화의 한계가 있지만, 지역 내외 집단 간의 공시적 비교와 지난 10여 년간의 통시적 변화를 함께 고찰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보다 타당성 있는 표본 집단 선정과 보다 이론적 근거를 담보하는 도시이미지 측정도구의 개발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대표 이미지와 환경 이미지를 중심으로 도시이미지의 인지특성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구시민과 타 지역 주민 집단 간의 변화 및 지난 10여 년간의 경시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연구는 브랜드이미지를 통해 도시이미지의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구축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대표이미지와 환경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도시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 지역 내․ 외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구광역시로 하였고, 내용적 범위는 도시의 대표이미지 및 환경이미지를 주요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대구시의 대표 이미지와 포괄적인 환경 이미지를 중심으로 대구시민과 여타 지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첫째, 대구시의 도시이미지로서의 대표 이미지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둘째, 환경 이미지 분석을 통한 도시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 지역 내외 집단에 따른 공시적 차원의 인식 변화와 기존 분석자료(예경록, 2000)와의 비교를 통해 지난 10년간의 경시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시이미지의 변화를 통해 도시계획 및 도시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도시 브랜드이미지 구축을 위한 전략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껶으면서 생긴 문제점으로 인해 발생한 도시 모습의 결과는? 지난 반세기 동안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겪으면서 우리의 도시들은 기능적 문제 해결에만 급급해 온 나머지 개별 도시 고유의 공간구조의 왜곡과 장소성 상실이라는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따라서 도시들은 개성 없고 천편일률적인 모습을 갖게 되어 고유의 정체성을 잃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지방자치제를 계기로 자치단체의 역할이 커지게 되었고, 동시에 세계화라는 흐름 속에서 도시경쟁력 강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변재상, 2009).
대구에 대한 대표 이미지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소는?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대구에 대한 대표 이미지로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더위, 팔공산, 섬유 등이며,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소는 팔공산, 동성로, 이월드 등이었다. 10여 년 전과 비교했을 때, 대구의 대표 연상이미지로 사과와 섬유의 빈도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으며, 연상인물로는 과거에는 주로 정치인들이 많았지만, 요즘은 스포츠선수 연예인 등의 빈도가 높아져 세태 변화를 보여주었다.
대구시의 환경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 변수들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역 내외 집단 간에는 대구시민들의 평가보다는 타 지역 주민들의 평가가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며, 2000년도 자료와 비교할 때 금회(2011년도) 평가치들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구시의 환경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 변수들로는 인간환경 요인 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자연/기반환경 요인", "생활환경 요인" 및 "교통환경 요인" 등의 순으로 영향력이 큰 요인들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구시의 도시이미지의 변화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경관형성 계획의 정책적 제안 및 도시 브랜드이미지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규원, 김영철(2010) 대구의 정체성 정립 및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 방안. 대구경북연구원. 120p. 

  2. 김남정(2005)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와 영향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과 박사학위논문. 139p. 

  3. 김덕현, 서균석, 박동진(2009) 도시이미지의 구조모형과 도시 간 비교분석. 대한경역학회지 22(4): 1825-1844. 

  4. 김선영(2009) 도시 브랜드 이미지 형성요소로 본 공공경관 디자인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지 10(3): 69-79. 

  5. 김영환(2011) 도시민의 경관인식 및 도시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7): 143-150. 

  6. 김용수, 김수봉, 곽지영(2001) 대구시 대표경관에 대한 주민의식 분석. 국토계획 36(3): 223-240. 

  7. 김훈, 송윤환(2007) 도시이미지 결정요인과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 비교. 국제지역연구 11(1): 562-586. 

  8. 박경애(2004) 국가이미지를 응용한 도시이미지 연구: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1): 96-109. 

  9. 박영춘(2002) '도시의 이미지 측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 29-40. 

  10. 박주옥, 박정아(2011) 대구광역시의 도시이미지와 생태이미지가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4): 119-127. 

  11. 박현찬, 이성창, 정상혁, 이승지, 김승주, 박현정(2010) 서울 도시경관에 대한 인식 변화와 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1(4): 33-49. 

  12.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임승빈(2007)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의 기여수준 분석. 국토계획 42(3): 163-177. 

  13. 변재상(2008a) 개인차 척도법을 이용한 도시이미지 인지 경향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4): 83-99. 

  14. 변재상(2008b) 도시별 이미지 전략 요인의 경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2): 80-98. 

  15. 변재상(2009) 국내 도시 이미지 전략 및 브랜드 슬로건의 경향 분석. 국토계획 42(3): 105-121. 

  16. 변재상(2010) 도시이미지 인지와 선호등위선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38(3): 1-14. 

  17. 변재상, 김대수, 이정수(2010) 대전시 상징물과 도시이미지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8(2): 53-63. 

  18. 손은영, 김종하(2002) 도시경관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659-662. 

  19. 신민식, 서진형(2011) 울산광역시의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29(1): 305-321. 

  20. 안민호, 박천일(2006) 다차원 분석법을 활용한 서울과 8개 주요 도시 이미지 비교 분석 연구. 서울도시연구 7(4): 95-113. 

  21. 예경록(2000) 도시이미지 확립을 위한 대구광역시의 경관형성계획에 관하여. 한국연구재단 국내 박사 후 연수과정 보고서 45p(미발행). 

  22. 윤옥경(2011) 도시 브랜드 개발을 통한 도시 이미지 구축에 대한 연구: 메디시티 대구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6): 726-737. 

  23. 윤호(2011)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도시이미지의 결정요인 연구. 부동산학보 44: 53-69. 

  24. 이규목(1993) 경주시 도시경관과 그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4): 39-53. 

  25. 이진숙, 김한나(2010) 다변량 해석기법을 이용한 도시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8): 3-10. 

  26. 이훈(1999) 심지도를 이용한 도시환경의 이미지 인지에 관한 연구: 청주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5(6): 3-14. 

  27.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 이미지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1): 47-56. 

  28. 전기수, 이창노(2011) 장소마케팅을 통한 도시이미지 구축전략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1): 535-547. 

  29. 정만모(2008) 신도시 도시이미지의 형성요소가 도시환경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1p. 

  30. 최승담, 박경렬(2005) 관광목적지로서 도시관광이미지 측정척도 개발. 서울도시연구 6(1): 93-106. 

  31. 최열, 조수영(2004) 시각적 및 정서적 특성과 유사성 차원에 따른 환경적 이미지 분석. 국토계획 39(2): 189-202. 

  32. 현대경제연구원(2009) 도시브랜드가 국가경쟁력이다-한국 도시브랜드 가치 평가. VIP REPORT 09-08(vol.390). 

  33. Allport, G. W.(1979) The Nature of Prejudice. Cambridge: Addison-Wesley. pp.105-106. 

  34. Boulding, Kenneth E(1956) The Image: Knowledge in Life and Society. Ann Arbor : The Uni. of Michigan Press. 

  35.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MIT Press. 

  36. Russel, J. A., L. M. Ward and F. Pratt(1981) Affective quality attributed to environments: A factor anlalytic study. Environment & Behavior 13(3): 259-2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