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물실의 물성에 따른 동해안 가자미 자망어업의 어획 특성
Catch characteristics of the gill nets for flounder by the physical property of net filament in the East Sea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49 no.2, 2013년, pp.95 - 105  

배봉성 (국립수산과학원 시스템공학과) ,  임지현 (국립수산과학원 시스템공학과) ,  박성욱 (국립수산과학원 시스템공학과) ,  김성훈 (국립수산과학원 시스템공학과) ,  조삼광 (국립수산과학원 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net filament were investigated to test the fishing capacity of gill nets due to the flexibility difference between nylon and biodegradable nets (PBS 95%+PBAT 5% and PBS 80%+PBAT 20%). In addition, a total of 16 fish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시험은 가자미를 대상으로 하는 생분해성 자망을 개발하고 기존 나일론 자망과의 어획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된 것으로, 2011년 8월 10일부터 10월 20일과 2012년 9월 11일부터 11월 3일에 각각 8회, 총 16회가 수행되었다.
  • , 201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남부 해역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가자미 자망을 대상으로 기존 나일론 자망과 규격이 같은 생분해성 자망을 제작하고 어획성능 비교시험을 수행한 것으로 특히, 유연도가 다른 두 생분해성 자망의 어획성능을 기존 나일론 자망의 어획성능과 비교하여 자망의 유연도가 어획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차후 생분해성 자망의 그물실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침지시간이 길수록 작은 물고기가, 파고가 높을수록 큰 물고기가, 유연도가 낮은 그물에서 쉽게 빠져나가는 경향이 있었다. 이론적으로 나일론 그물이든 생분해성 그물이든 물리적 특성이 같다면 어획성능은 같다. 그러나 현재까지 생분해성 그물이 나일론 그물에 비하여 유연도가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어획성능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며 더 민감한 어류를 대상으로 할 경우, 어획성능의 차이는 더욱 커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어업에서 사용되는 그물은 어떤 문제를 지녔는가? 여기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수산생물이 잘 살아갈 수 있는 서식환경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그물은 대부분 나일론과 같은 화학섬유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잘 썩지 않아 자연적인 분해가 어려우며, 사용 후에는 지저분한 경우가 많아 수거 및 재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소규모로 수거된 그물은 부둣가에서 태워버리는 경우가 많아 해양오염과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Ryu and Kim, 1998; Revill and Dunlin, 2003; Park et al., 2007a; Park et al., 2007b), 유실된 어구는 유령어업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Tschernij and Larsson, 2003; Ayaz et al., 2006; Brown and Macfadyen, 2007).
본 연구에서 가자미를 대상으로 하는 생분해성 자망을 개발하고, 기존 나일론 자망과의 어획성능 비교를 위해 수행한 실험 장소는 어디인가? 본 시험은 가자미를 대상으로 하는 생분해성 자망을 개발하고 기존 나일론 자망과의 어획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된 것으로, 2011년 8월 10일부터 10월 20일과 2012년 9월 11일부터 11월 3일에 각각 8회, 총 16회가 수행되었다. 시험이 수행된 장소는 동경 129° 34′ 40″〜129° 48′ 60″, 북위 35° 10′ 50″〜35° 28′ 60″사이의 해역으로 울산광역시 정자항으로부터 동남쪽으로 약 15〜30마일 떨어진 곳이며 특히 가자미 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Fig. 1).
수산자원 스스로가 자연적인 재생산력을 갖기 위해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일정 수준 이상의 지속적인 어업생산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장의 자원량이 풍부하여야 하며, 어구 사용량, 어획량, 조업기간 등의 규제에 의한 수산자원관리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 않게 수산자원 스스로의 자연적인 재 생산력도 매우 중요하다. 여기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수산생물이 잘 살아갈 수 있는 서식환경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그물은 대부분 나일론과 같은 화학섬유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잘 썩지 않아 자연적인 분해가 어려우며, 사용 후에는 지저분한 경우가 많아 수거 및 재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yaz A, Acarli D, Altinagac U, Ozekinci U, Kara A and Ozen A. 2006. Ghost fishing by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s in izmir bay. Turkey Fish Res 79, 267-271. 

  2. Bae BS, An HC, Jeong EC, Park HH, Park SW and Park CD. 2010. Fishing power estimation of biodegradable traps in the East Sea. J Kor Soc Fish Tech 46, 292-301. 

  3. Bae BS, An HC, Park SW, Park HH and Chun YY. 2009. Catch characteristics of shrimp trap by submerged time. J Kor Soc Fish Tech 45, 201-210. 

  4. Bae BS, Cho SK, Park SW and Kim SH. 2012. Catch characteristics of the bioderadable gill net for flounder. J Kor Soc Fish Tech 48, 201-210. 

  5. Brown J and Macfadyen G. 2007. Ghost fishing in European waters: Impacts and management responses. Marine Policy 31, 488-504. 

  6.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NFRDI). 2002. Fishing gear of Korea. Hangul Graphics, Busan, 513-515. 

  7. Park SK, Park SW and Kwon HJ. 2009. Economic analysis of biodegradable snow crab gill net model project. J Kor Soc Fish Tech 45, 276-286. 

  8. Park SW, Park CD, Bae JH and Lim JH. 2007a. Catching efficiency and development of the biodegradable monofilament gill net for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J Kor Soc Fish Tech 43, 28-37. 

  9. Park SW, Bae JH, Lim JH, Cha BJ, Park CD, Yang YS and Ahn HC. 2007b. Development and physical properties on the monofilament for gill nets and traps using biodegradable alophatic polybutylene succinate resin. J Kor Soc Fish Tech 43, 281-290. 

  10. Park SW and Bae JH. 2008. Weather ability of biodegradable polybutylene succinate (PBS) monofilaments. J Kor Soc Fish Tech 44, 265-272. 

  11. Park SW, Kwon HJ and Park SK. 2010. Estimation of economic benefits of biodegradable fishing net by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J Kor Soc Fish Tech 46, 265-273. 

  12. Revill AS and Dunlin G. 2003. The fishing capacity of gillnets lost on wrecks and on open ground in UK coastal waters. Fish Res 64, 107-113. 

  13. Ryu KE and Kim YB. 1998. Biodegradation of polymers. Polym Sci Tech 9, 464-472. 

  14. Tschernij V and Larsson PO. 2003. Ghost fishing by lost gill nets in the baltic sea. Fish Res 64, 151-1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