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과학교사에게 필요한 과학교육학 이론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Views on Science Educational Theorie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3년, pp.826 - 839  

이봉우 (단국대학교) ,  심규철 (공주대학교) ,  신명경 (경인교육대학교) ,  김종희 (전남대학교) ,  최재혁 (전남대학교) ,  박은미 (광남고등학교) ,  윤지현 (단국대학교) ,  권용주 (한국교원대학교) ,  김용진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이 예비과학교사에게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과학교육 전공교수들의 설문을 통해 과학교사의 역량과 소양 측면에서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들의 세부 내용들이 어느 정도 중요한지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과학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중등과학교사 임용시험)에 제시된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 관련 문항을 분석하여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과학교육 전공교수들은 탐구과정, 과학지식 평가, 탐구능력 평가 실험장치 및 도구 사용법, 실험실 안전, 학생의 오개념, 토론, 논술 등에 대해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과학교육 전공교수들은 과학 철학, 과학교육과정의 변천, 외국 교육과정, 브루너의 수업이론, 카플러스 순환학습모형, 발생학습모형, 발견학습모형, 클로퍼 교육목표 분류 등의 내용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 분석 결과, 교육과정이나 오수벨 이론 등과 같이 중요도와 관계없이 편중된 영역에서 많은 문항들이 출제된 것으로 나타나 과학교육 연구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론의 중요성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에서 출제된 문항 분포는 관련이 적었다. 본 연구는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출제 경향의 차이를 줄이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views on what and how much science educational theories would be needed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views and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과학 교육이론 관련 출제 문항수는 과학 교수학습이론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그 다음이 과학사 및 과학철학, 과학사 교육과정, 과학 교수학습 방법, 과학 탐구, 과학 평가의 순서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각 영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이 예비과학교사에게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과학교육 전공교수들의 설문을 통해 과학교사의 역량과 소양 측면에서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들의 세부 내용들이 어느 정도 중요한지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예비교사들에게 필요한 과학교과 교육학 이론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을 조사하였으며,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출제 경향과 비교하여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과학교사의 수업역량과 소양 측면에서 과학교육학 이론의 필요한 정도를 질문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최근 5년간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에 출제된 과학교육학 이론 관련 문항을 분석하여 그 분포를 살펴보고, 과학교육연구자의 의견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로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학습해야 할 과학교육학 이론에 대한 조사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과학 교과교육 이론에 대해 과학교육 연구자를 대상으로 과학교사의 수업 역량 및 과학교사의 소양으로서 필요한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으며,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이론 문항과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생각과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로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학습해야 할 과학교육학 이론에 대한 조사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과학 교과교육 이론에 대해 과학교육 연구자를 대상으로 과학교사의 수업 역량 및 과학교사의 소양으로서 필요한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으며,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이론 문항과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생각과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과정은 [그림 1]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예비 교사의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한 과학 교육 이론에 대한 세부 영역별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범대학에서의 중등 과학 예비 교사 양성을 위한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 분석은 2009년도부터 2013년도 임용후보자 선정을 위해 출제된 과학교육학 이론 문항을 대상으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에 대한 의견 조사 범주와 동일하게 과학과 교육과정, 과학사 및 과학철학, 과학 탐구, 과학 교수학습이론, 과학 교수학습 방법, 과학 평가 등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등과학 교사임용시험 출제 문항수와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에 대한 설문 조사 평균 점수를 비교하여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21세기 지식 정보화 시대로 들어서면서 과학 교육을 담당하는 과학 교사에게 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교사 교육 방안에 대한 합의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예비 교사의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한 과학 교육 이론에 대한 세부 영역별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범대학에서의 중등 과학 예비 교사 양성을 위한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 중 가장 핵심은 무엇인가? 교사 양성 기관은 양질의 교사 자원을 확보하고 양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 중 가장 핵심이 교사에 있기 때문으로 유능한 교사의 양성에 대한 끊임없는 요구가 있어왔다(박현주,2005; 심재호, 2006; 조희형, 박승재, 1993; Bales,2007; Cochran-Smith, 2008; Furlong et al,2008; Lin et al, 2006; Martina et al., 2001).
과학교육 전공교수들의 설문을 통해 과학교사의 역량과 소양 측면에서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들의 세부 내용들이 어느 정도 중요한지에 대한 의견을 분석 한 결과는? 또한 중등과학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중등과학교사 임용시험)에 제시된 과학 교과교육학 이론 관련 문항을 분석하여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과학교육 전공교수들은 탐구과정, 과학지식 평가, 탐구능력 평가 실험장치 및 도구 사용법, 실험실 안전, 학생의 오개념, 토론, 논술 등에 대해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과학교육 전공교수들은 과학 철학, 과학교육과정의 변천, 외국 교육과정, 브루너의 수업이론, 카플러스 순환학습모형, 발생학습모형, 발견학습모형, 클로퍼 교육목표 분류 등의 내용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 분석 결과, 교육과정이나 오수벨 이론 등과 같이 중요도와 관계없이 편중된 영역에서 많은 문항들이 출제된 것으로 나타나 과학교육 연구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론의 중요성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에서 출제된 문항 분포는 관련이 적었다. 본 연구는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출제 경향의 차이를 줄이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교사 양성 기관은 무엇이 요구되는가? 교사 양성 기관은 양질의 교사 자원을 확보하고 양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 중 가장 핵심이 교사에 있기 때문으로 유능한 교사의 양성에 대한 끊임없는 요구가 있어왔다(박현주,2005; 심재호, 2006; 조희형, 박승재, 1993; Bales,2007; Cochran-Smith, 2008; Furlong et al,2008; Lin et al, 2006; Martin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희정, 김희백 (2009). 경력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모형 활용 생물 수업을 중심으로.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1), 21-37. 

  2. 곽영순 (2008). 중등 과학과 내용교수지식 및 초임교사 수업컨설팅 연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ORM 2008-29-3.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규칙 개정계획(안). 교육인적자원부 교원양성연수과. 

  5.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2006).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6. 김갑성, 전제상, 김지희 (2007). 국가 수준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2007-07. 

  7. 김갑성, 박영숙, 정광희, 김기수, 김재춘, 김병찬(2009). 교원양성체제 개편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OR 2009-02. 

  8. 김교흥,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 (2004). 중등 생물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생물교사 임용 고사와의 관련성분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2), 142-157. 

  9. 김미연 (2009). 초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실험 안전에 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범기, 김영민, 윤상학 (1994). 학생 과학탐구 시범대회의 평가. 제1회 학생과학탐구올림픽대회 평가연구보고서, pp.113-147. 

  11. 김영민, 문지선, 박정숙, 임길선 (2010).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경력과학교사들과 초임과학교사들의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02-1016. 

  12. 김영신, 권용주, 김용진, 김희백, 서혜애, 손연아, 정은영,정진수, 차희영(2012). 생명과학교육론. 서울: 자유아카데미. 

  13. 김은희, 이미숙, 이길재 (2009). 과학사 개념틀에 근거한 교육 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유전 개념 분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3), 403-417. 

  14. 김인환, 차정호, 김창만, 김학범 (2010). 예비 과학교사들이 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내용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29-436. 

  15. 김정곤, 김인호, 정계준, 김봉곤, 구인선 (1991). 과학교사 재교육의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97- 115. 

  16. 김희경 (2007). 과학 교사의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조건과 모형. 초등과학교육, 26(3), 295-308. 

  17. 박선희, 심규철 (2006). 중등 생물 교사 임용 시험의 과학 교육 관련 문항 분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2), 246-256. 

  18. 박현주 (2005).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21- 430. 

  19. 심규철 (2010). 영국의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 분석 연구: 영국 로햄튼 대학교를 중심으로.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8(3), 492-506. 

  20. 심규철, 김정민 (2008). 수업 실기 대회를 통한 생물과 예비 교사의 수업 실기 능력 제고 방안 연구. 생물교육(구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1), 85-94. 

  21. 심재호 (2006). 과학교사 전문성과 실험 연수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 27- 37. 

  22. 양혜정, 동효관, 권용주, 오경환, 김용진 (2011). 중등생물교사 임용 제3차 시험에 대한 수험생의 인식 조사: 수업능력, 심층면접과 실험능력의 평가를 중심으로.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3), 401-412. 

  23. 여성희, 강순자 (2004). 중등학교 교원 연수에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1(1), 323-345. 

  24. 여성희, 강순자, 심규철 (2003). 중등과학교사 교원연수 실태 및 인식 조사 연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4), 339-346. 

  25. 이봉우, 신동희 (2011). 과학사 활용 과학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815-826. 

  26. 임찬빈, 이화진, 곽영순, 강대현 (2004).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I) -일반 기준 및 교과(사회, 과학, 영어) 기준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4-5. 

  27. 임청환 (2003). 과학 교과 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35-249. 

  28.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29. 조희형, 박승재 (1993). 과학교직관과 과학교사상에 대한 문헌연구및실태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77-388. 

  30.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11).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3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0-56. 

  32. Bales, B. (2007). Teacher education reform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theoretical constructs of stakeholder med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Policy & Leadership, 2(6). (http://www.ijepl.org) Accessed: May 27 2012. 

  33. Cochran-Smith, M. (2008). The new teac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directions forward. Teachers and Teaching:Theory and Practice, 14, 271-282. 

  34. Furlong, J., McNamara, O., Campbell, A., Howson, J., & Lewis, S. (2008). Partnership, policy and politics: initial teacher education in England under New Labour.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4, 307-318. 

  35. Inoue, N. (2009). Rehearsing to teach: content-specific de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explanations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35(1), 47-60. 

  36. Jegede, O. & Taplin, M. (2000). Trainee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knowledge about expert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 42(3), 287-308. 

  37. Lin, C. Y., Hu, R., & Changlai, M. L. (2005). Science curriculum components favored by Taiwanese biology teach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 269-280. 

  38. Martina, M. A., Raymond, D., & Gathier, C. (2001). Teacher training: Orientations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Ministry of Education, Quebec, Canada. 

  39. Matthews R. (1994).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Y: Routledge. 

  40. Neiss, M. L. (2005). Preparing teachers to teach science and mathematics with technology: Developing a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509-523. 

  41. NSTA(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03).Standard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http://www.nsta.org/pdfs/NSTAstandards2003.pdf) Accessed : May 10 2013. 

  42. Odom, A. L., Stoddard, E. R., & LaNasa, S. M. (2007). Teacher practices and middle-school science achiev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 1329-1346. 

  43.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 Foundation of the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44. Smith, I., Brisard, E., & Menter, I. (2006). Models of partnership developments in initial teacher education in the four components of the United Kingdom: recent trends and current challenges.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32, 147-164. 

  45. Van der Valk, T. & de Jong, O. (2009). Scaffolding Science Teachers in Open-inquiry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6), 829-850. 

  46. Winterbottom, M., Brindley, S., Taber, K. S., & Fisher, L. G. (2008). Conceptions of assessment: trainee teachers' practice and values. The Curriculum Journal, 19, 193-213. 

  47. Zembylas, M. (2007). Emotional ecology: The intersection of emotional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 355-3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