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료 농축액 및 퓨레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everage Concentrates and Pure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7, 2013년, pp.997 - 1002  

김단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신기해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주현 ((주)휴럼 중앙연구소) ,  백순옥 ((주)휴럼 중앙연구소)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음료 농축액 및 퓨레로 사용되는 석류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양파추출 농축액, 도라지추출 농축액, 흑마늘 농축액, 홍삼 농축액, 아사이베리 퓨레, 새싹유채 퓨레의 이화학적 특성,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능(DPPH radical scavenging, ORAC)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pH는 석류 농축액이 2.81로 가장 낮았으며 양파추출 농축액이 5.1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Brix는 홍삼 농축액이 70.30으로 가장 높았고 새싹유채 퓨레가 1.70으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은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182.71 mg GAE/mL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양파추출 농축액이 8.80 mg GAE/mL로 가장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총 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69.8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ORAC 지수는 블루베리 농축액에서 $27,514{\mu}M$ TE/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도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28.19%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천연물 유래 농축액 및 퓨레는 다양한 항산화 평가모델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농축액 및 퓨레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건강음료의 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 Brix), total 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ie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beverage concentrates and purees. All concentrates and purees were pr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강음료의 주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천연물 유래 음료 농축액 및 퓨레 8종을 선별하여 이화학적 특성(pH 및 Brix),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능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RAC assay)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이들 농축액 및 퓨레에 대한 건강 음료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퇴행성질환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현대사회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생활수준은 향상되었으나 환경오염,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 서구화된 식생활 및 각종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하여 비만, 뇌혈관 질환, 심장병, 고혈압 등의 만성퇴행성질환의 발병률이 증가하였다(1). 만성퇴행성질환의 주요 원인은 체내 생물학적 연소 과정에서 생성되는 reactive oxygen species(ROS)로써 superoxide (O2- ), singlet oxygen(O21), hydrogen peroxide(H2O2) 등이 포함되며 체내에 과량 존재할 경우 세포의 주요 구성 성분인 지질, 단백질, DNA 등의 손상을 일으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된다(2,3).
국내 건강음료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원료는 무엇이 있는가? 건강음료의 주원료가 되는 과일 및 채소 등의 농축액 및 퓨레에는 페놀성 화합물과 flavonoids, dietary fibers, 항산화성 비타민류(vitamin C & E) 등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들 성분들은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저감하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10-12). 국내 건강음료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원료인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석류, 홍삼 등은 항산화(13), 항암(14,15), 항비만(16) 등의 생리활성을 가지며, 특히 석류 농축액, 홍삼 농축액 등을 첨가한 제품류의 항산화(17), 품질특성(18)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커피, 주스 및 음료 등에 건강 콘셉트의 마케팅 차원에서 항산화 성분(총 페놀 함량), 항산화활성(ORAC value), 비타민 함량 등을 표기한 제품들이 상품화 되고 있으며, 천연물을 비롯한 기능성 소재를 이용하여 항산화음료, 스포츠 드링크와 같은 건강음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19).
음료 농축액 및 퓨레로 사용되는 여러 농축액 중 pH가 가장 높은 농축액과 가장 낮은 농충액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음료 농축액 및 퓨레로 사용되는 석류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양파추출 농축액, 도라지추출 농축액, 흑마늘 농축액, 홍삼 농축액, 아사이베리 퓨레, 새싹유채 퓨레의 이화학적 특성,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능(DPPH radical scavenging, ORAC)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pH는 석류 농축액이 2.81로 가장 낮았으며 양파추출 농축액이 5.1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Brix는 홍삼 농축액이 7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Droge W. 2002.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 47-95. 

  2. Halliwell B, Aeschbach R, Loliger J, Aruoma OI. 1995.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3:601-617. 

  3.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4. Stella SP, Ferrarezi AC, dos Santos KO, Monteiro M.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ready-to-drink orange juice and nectar. J Food Sci 76: C392-C397. 

  5. Albertazzi P, Steel SA, Clifford E, Bottazzi M. 2002. Attitudes towards and use of dietary supplementation in a sample of postmenopausal women. Climacteric 5: 374-382. 

  6. Park SH, Hwang HS, Han JH. 2004.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function. Korean J Nutr 37: 364-372. 

  7. Shin EH. 2009.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ueraria flo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139-1144. 

  8. Shin SY, Chung L. 2007.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beverages related to health factor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2: 420-433. 

  9. Solheim R, Lawless HT. 1996. Consumer purchase probability affected by attitude towards low-fat foods, liking, private body consciousness and information on fat and price. Food Quality and Preference 7: 137-143. 

  10. Velioglu YS, Mazza G, G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1.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isneros-Zevallos L, Hawkins Byrne D. 2006.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19: 669-675. 

  12. Nijveldt RJ, van Nood E, van Hoorn DE, Boelens PG, van Norren K, van Leeuwen PA. 2001. Flavonoids: a review of probable mechanisms of action and potential applications. Am J Clin Nutr 74: 418-425. 

  13. Su MS, Silva JL. 2006. Antioxidant activity, anthocyanins, and phenolics of rabbiteye blueberry (Vaccinium ashei) byproducts as affected by fermentation. Food Chem 97: 447-451. 

  14. Seeram NP, Adams LS, Zhang Y, Lee R, Sand D, Scheuller HS, Heber D. 2006. Blackberry, black raspberry, blueberry, cranberry, red raspberry, and strawberry extracts inhibit growth and stimulate apoptosis of human cancer cells in vitro. J Agric Food Chem 54: 9329-9339. 

  15. Rocha A, Wang L, Penichet M, Martins-Green M. 2012. Pomegranate juice and specific components inhibit cell and molecular processes critical for metastasis of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136: 647-658. 

  16. Lee SK, So SH, Hwang EI, Koo BS, Han GH, Ko SB, Kim NM. 2008. Effect of ginseng and herbal plant mixtures on anti-obesity in obese SD rat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37-444. 

  17. Kim BH, Eun JB.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7-421. 

  18. Kim DK, Baik MY, Kim HK, Hahm YT, Kim BY. 2012. Manufacture of the red ginseng vinegar fermented with red ginseng concentrate and rice wine, and its quality evalu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79-184. 

  19. Park JH, Kim SY, Kang MG, Yoon MS, Lee YI, Park EJ.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evaluation of juice containing Protaetia brevitar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41-48. 

  20.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21. Stagos D, Portesis N, Spanou C, Mossialos D, Aligiannis N, Chaita E, Panagoulis C, Reri E, Skaltsounis L, Tsatsakis AM, Kouretas D. 2012. Correlation of total polyphenolic content with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24 extracts from Greek domestic Lamiaceae species. Food Chem Toxicol 50: 4115-4124. 

  22. Roy MK, Koide M, Rao TP, Okubo T, Ogasawara Y, Juneja LR. 2010. ORAC and DPPH assay comparison to assess antioxidant capacity of tea infusions: relationship between total polyphenol and individual catechin content. Int J Food Sci Nutr 61: 109-124. 

  23.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4. Rice-Evans C, Miller N,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25. Huang WY, Zhang HC, Liu WX, Li CY. 2012. Survey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composition of blueberry, blackberry, and strawberry in Nanjing. J Zhejiang Univ Sci B 13: 94-102. 

  26. Bondet V, Brand-Williams W, Ber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WT-Food Sci Technol 30: 609-615. 

  27.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75-1381. 

  28. Huang D, Ou B, Prior R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1856. 

  29. Prior RL, Hoang H, Gu L, Wu X, Bacchiocca M, Howard L, Hampsch-Woodill M, Huang D, Ou B, Jacob R. 2003.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FL)) 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ic Food Chem 51: 3273-3279. 

  30. Prior RL, Wu X,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4290-4302. 

  31. Speisky H, Lopez-Alarcon C, Gomez M, Fuentes J, Sandoval-Acuna C. 2012. First web-based database on total phenolics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of fruits produced and consumed within the south Andes region of South America. J Agric Food Chem 60: 8851-8859. 

  32. Feeney MJ. 2004. Fruits and the prevention of lifestyle-related diseases. Clin Exp Pharmacol Physiol 2: S11-S13. 

  33. Massey RC, Crews C, Davies R, McWeeny DJ. 1978. A study of the competitive nitrosations of pyrrolidine, ascorbic acid, cysteine and p-cresol in a protein­based model system. J Sci Food Agric 29: 815-821. 

  34. Jin Q, Park JR, Kim JB, Cha MH. 1999. Physiological activity of Zizyphus jujaba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93-598. 

  35. Cooney RV, Ross PD, Bartolini GL. 1986. N-nitrosation and N-nitration of morpholine by nitrogen dioxide: inhibition by ascorbate, glutathione and alpha-tocopherol. Cancer Lett 35: 83-90. 

  36. Lee GD, Chang HG,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37.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38. Maisuthisakul P, Suttajit M, Pongsawatmanit R. 2007. Assessment of phenolic content and free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some Thai indigenous plants. Food Chem 100:1409-1418. 

  39. Mayeux PR, Agrawal KC, Tou JS, King BT, Lippton HL, Hyman AL, Kadowitz PJ, McNamara DB. 1998.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allicin, a constituent of garlic oil. Agents Actions 25: 182-1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