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Kimchi Menus for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7, 2013년, pp.1148 - 1156  

김성혜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김미정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주 (세계김치연구소)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등학생의 김치섭취량 증가를 목적으로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먼저 부산광역시 소재 H 초등학교 학생의 김치 섭취 실태조사 및 초등학교 영양(교)사를(n=87) 대상으로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에 등록된 김치 메뉴의 학교 급식 활용도를 조사하였으며, 문헌 및 실험조리에 근거한 초등학교급식용 김치 메뉴 7가지를 개발하였다. 각각의 메뉴를 학교 급식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를 통하여 메뉴를 평가하였다. 또한 선정된 메뉴의 표준레시피에 대한 영양(교)사의 급식 활용 의사를 알아보았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학년(2학년)과 고학년(5학년)의 급식 시 김치 섭취량은 각각 7.7 g 및 6.9 g으로 한국인을 위한 식사구성안에서 제시한 분량(40 g)의 19.3% 및 17.3%에 불과하였다. NEIS에 등록된 29종의 김치 메뉴에 대하여 설문 대상 학교의 75% 이상에서 연 7회 이상 활용한 메뉴는 단 하나도 없었으며, 김치찌개가 유일하게 절반 정도의 학교에서 제공되었다. 닭살김치튀김, 김치스테이크를 포함한 10가지 메뉴는 전체의 75%가 급식에 전혀 이용하지 않았으며, 밥, 죽, 볶음, 전, 튀김, 구이류는 전체 3/4의 학교에서 김치 메뉴로 활용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메뉴의 김치 사용량이 10~20 g(1인분)이면서 메뉴 재료의 김치 비율이 30%를 넘는 7가지 메뉴를 개발하였다. 1차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 결과 김치치즈크로켓과 김치소스두부덮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다음은 김치완자, 김치닭감자찜, 김치베이컨주먹밥, 김치채소우동볶음, 김치감자샐러드 및 김치계란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50%의 메뉴에 대하여 저학년 및 고학년(n=100) 대상 2차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 결과, 김치완자가 4.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김치닭감자찜 및 김치치즈크로켓도 4점 이상의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김치소스두부덮밥은 1차 조사와 달리 종합점수 3.8점 및 17.1%의 잔반을 보였다. 개발된 8종의 메뉴에 대한 표준레시피를 초등학교 영양(교)사가 평가한 결과 김치치즈크로켓이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았고 김치감자샐러드가 가장 낮았다.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개발은 초등학생의 김치 섭취량 향상 및 김치 기호도의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reference and average consumption of kimchi among youths have been decreasing partly due to the westernization of the diet. In this study, we examined kimchi consumption status and the annual utilization of 29 kimchi menus registered in the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를 개발하기 위하여 NEIS가 제공하는 김치 메뉴 이용도에 관한 초등학교 영양(교)사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였다. 조사 대상 학교의 75%가 급식에 단 한 번도 이용하지 않았다고 답한 10가지의 메뉴를 검토하였으며, 전체의 3/4이 단 한번도 이용하지 않은 조리 형태인 밥, 죽, 볶음, 전, 튀김, 구이를 각각 1가지씩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논문, 요리서, 인터넷을 중심으로 김치 요리에 관한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조사된 김치 메뉴를 주·부식으로 나누고 요리 방법별로 세분화하였다.
  • 한편 김치의 섭취량 증가가 메뉴 개발의 주된 목적이므로 각 김치 메뉴에 있어 김치의 순 사용량이 10~20g인 메뉴로 한정하였다. 즉 현재의 김치 섭취량을 감안할 때 김치 메뉴의 활용을 통하여 급식 시 김치 섭취량의 평균이 김치의 1인 1회 분량인 40 g의 약 50~75% 정도 되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개발하는 김치 메뉴의 레시피 및 조리 공정을 초등학교 급식용으로 최적화하기 위하여 수차례의 실험조리를 통하여 분량을 조절하고, 김치의 염도를 감안하여 양념, 특히 소금, 간장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맛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 초등학생의 김치섭취량 증가를 목적으로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먼저 부산광역시 소재 H 초등학교 학생의 김치 섭취 실태조사 및 초등학교 영양(교)사를(n=87) 대상으로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에 등록된 김치 메뉴의 학교 급식 활용도를 조사하였으며, 문헌 및 실험조리에 근거한 초등학교급식용 김치 메뉴 7가지를 개발하였다.
  • 종합적으로 볼 때 초등학교에서 NEIS에 등록된 김치 메뉴의 활용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에 초등학교 단체급식에서의 다양한 김치 메뉴법 개발 및 실용적 측면에서의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12), 본 연구에서 드러난 NEIS 김치 메뉴의 낮은 활용도는 그러한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결과라 하겠다. 위에서 언급한 초등학생의 낮은 김치 섭취율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때 적절한 해법은 급식 대상자의 기호를 반영한 조리 공정 등 새로운 김치 메뉴를 개발하여 자주 제공함으로써 초등학생의 김치 및 김치 메뉴에 대한 친숙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김치의 섭취를 향상시키는 일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생의 김치섭취량 증가를 목적으로 새로 개발한 메뉴의 기호도 조사 결과는 어떠한가? 이를 바탕으로 메뉴의 김치 사용량이 10~20 g(1인분)이면서 메뉴 재료의 김치 비율이 30%를 넘는 7가지 메뉴를 개발하였다. 1차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 결과 김치치즈크로켓과 김치소스두부덮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다음은 김치완자, 김치닭감자찜, 김치베이컨주먹밥, 김치채소우동볶음, 김치감자샐러드 및 김치계란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50%의 메뉴에 대하여 저학년 및 고학년(n=100) 대상 2차 기호도 및 잔반량 조사 결과, 김치완자가 4.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김치닭감자찜 및 김치치즈크로켓도 4점 이상의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김치소스두부덮밥은 1차 조사와 달리 종합점수 3.8점 및 17.1%의 잔반을 보였다. 개발된 8종의 메뉴에 대한 표준레시피를 초등학교 영양(교)사가 평가한 결과 김치치즈크로켓이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았고 김치감자샐러드가 가장 낮았다.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급식용 김치 메뉴 개발은 초등학생의 김치 섭취량 향상 및 김치 기호도의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치가 건강식품으로 인식되는 이유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도 드러나듯이 김치는 한국인이 하루 한 끼 이상 먹는 식품으로 섭취량이나 섭취빈도 면에서 한국인 식단에서 가장 중요한 부식의 하나이다(2). 김치는 다른 채소에 비하여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함량은 높고 칼로리와 지방 함량은 낮아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김치에 관한 학계의 관심과 노력으로 김치의 항산화(3,4), 항비만 및 혈중 지질저하 효과(5,6), 항당뇨(7,8), 항암(9,10) 및 면역증진 효과(11) 등 다양한 건강증진 기능이 과학적으로 규명되었다.
김치의 건강증진 기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김치는 다른 채소에 비하여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함량은 높고 칼로리와 지방 함량은 낮아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김치에 관한 학계의 관심과 노력으로 김치의 항산화(3,4), 항비만 및 혈중 지질저하 효과(5,6), 항당뇨(7,8), 항암(9,10) 및 면역증진 효과(11) 등 다양한 건강증진 기능이 과학적으로 규명되었다. 그러나 한국인의 식생활이 풍부해짐에 따라 김치의 섭취량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고, 김치 섭취량 감소는 연령이 낮을수록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un JW, Ko JY. 2011. A case study on the management innovation of a hotel industry and menu R&D. Hotel Manag Res 20: 125-141.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IV).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 300-347. 

  3. Kim HY, Noh JS, Song YO. 2008. Inhibition effect of 3- (4'-hydroxyl-3',5'-dimethoxyphenyl) propionic acid in Kimchi with anti-atherogenic activity on the accumulation of lipids in the organs of ApoE(-/-)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15-1421. 

  4. Mo EK, Kim SM, Yang SA, Jegal SA, Choi YS, Ly SY, Sung CK. 2010. Properties of baechu kimchi treated with black rice water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7: 50-57. 

  5. Yang YJ, Ahn IS, Han JS. 2005. Anti-obesity effect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merican preferred kimchi added to garcinia cambogia extracts (hydroxy citric ac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76-783. 

  6. Kong YH, Cheigh HS, Song YO, Jo YO, Choi SY. 2007. Anti obesity effects of Kimchi tablet composition in rats fed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29-1536. 

  7. Yang YR, Kim HL, Park YK. 2008. Effects of onion kimchi extract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ntent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45-451. 

  8. Lee SY, Song YO, Han ES, Han JS. 2012.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food intakes, and serum lipid levels according to kimchi consumption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351-361. 

  9. Chang SK, Kim HJ.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n vivo anti-cancer effects of potato Kimchi prepared by adding hot water extracts of potato.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302-310. 

  10. Han GJ, Son AR, Lee SM, Jung JG, Kim SH, Park GY. 2009. Improved quality and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and baked (Guwun)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996-1002. 

  11. Lee IH, Lee SH, Lee IS, Park YK, Chung DK, Choue R. 2008. Effects of probiotic extracts of Kimchi on immune function in NC/Nga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82-87. 

  12. Ji HJ, Park SI. 2009. A survey on preference and intake of Kimchi for elementary school meal service. Korean J Culinary Res 15: 56-72. 

  13. Kang JH, Lee KA. 2008. The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kimchi, tteok and eumcheong varieties-. Korean J Food Culture 23: 543-555. 

  14. Paek TH, Kim NY, Han MJ. 2010. Preference and intake pattern for kimchi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5: 262-269. 

  15. Ji HJ, Nam ES, Park SI. 2008. A surve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imchi. Korean J Food & Nutr 21: 572-582. 

  16. Choi HS. 1995. Critical review on biochemical characteristic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5: 89-101. 

  17. Moon HJ, Lee YM. 1999. A survey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and eating behaviors about Kimchi in Seoul and Kyunggido area. Korean J Diet Culture 14: 29-42. 

  1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201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p 2-9. 

  19. Jang MS. Lee JM, Lee SR. 2006. Portion control by analyzing Kimchi intake on the school lunch program menu.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521-534. 

  20. Han JS, Kim HY, Kim JS, Suh BS, Han JP. 1997. A surve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13: 259-265. 

  21. Kim EY, Park YH, Jung LH, Jeon ER. 2010. Perception of kimchi and preference of foods using kimchi in school meals - 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n J Food Culture 25: 241-250. 

  22. Moon JM, Kim HS. 2010.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about kimchi and development of kimchi as a menu item for meal service. Korean J Food Culture 25: 598-606. 

  23. Im YH. 2005.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preference for Kimchi-applied dishe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50-84. 

  24. CAN-Pro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4.0. 201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25. Lee YJ, Chang KJ. 1998. Prelimina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oper portion using consumed size and food preference of frequently served meals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in Inchon. II. A study on the consumption size of frequently served meals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in Inchon. J Korean Diet Assoc 4: 132-144. 

  26. Kim J, Ko SH, Kim JY, Kim HY. 2000. A study on plate waste and nutrient intake of school lunch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Dietary Culture 15: 29-40. 

  27. Lee MJ, Jang MS. 200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ntake rate of kimchi provided to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in Su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6:79-85. 

  28. Moon SW, Lee MK, Na TK. 2011. Kimchi intake patterns and preferences among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focusing on the school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Culinary Res 17:142-154. 

  29. Cho AR, Kang OJ, Cheong HS. 2011.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awareness and intake patterns of Kimchi in Changwon. J Korean Diet Assoc 17: 276-286. 

  30. Han BR. 2004. One hundred Kimchi of korea that we must absolutely learn about. Hyeonamsa, Seoul, Korea. p 230-253. 

  31. Bae YH, Yang DH. 2009. Food service management & culinary practice workbook. Kyomunsa, Seoul, Korea. p 116-133 

  32. http://koreanfood.rda.go.kr/tf_srch/TF_detail.aspx?TFCodeTF10001620. 

  33. http://www.hskimchi.co.kr/hs/biz/biz3.htm. 

  34. http://www.jungoneshop.com/board/boardRecipe/detail.do? cPage2&BRC_IDX469&searchText&searchType1. 

  35. Yoo KA, Kim BE. 2011. Party recipes beloved by Koreans. Andbooks, Seoul, Korea. p 38-39. 

  36. Yoo SMY. 2011. Healthful lunch menus made easy. Recipe Factory, Seoul, Korea. p 180-181. 

  37. Kim SH, Choi WK, Kim JS. 2007. Catching up on baking bread and cookies -for bakers. Sungandang, Seoul, Korea. p 44-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