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큰눈벼와 일품벼의 발아에 의한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암세포 증식억제활성 변화
Changes in Phytochemical Conte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Germinated Geunnun and Ilpum Rice Varie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7, 2013년, pp.1157 - 1161  

성지혜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세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점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최원석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발아를 통해 큰눈벼와 일품벼 두 품종에서의 GABA(${\gamma}$-aminobutyric acid) 함량, 항산화성분 함량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두 품종의 현미는 발아 과정을 통해 GABA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일품벼의 미강층에서 발아 후 가장 큰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성분의 경우, 큰눈벼에서는 발아 후 polyphenol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flavonoid 함량의 경우 두 품종 모두 발아 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세포 증식억제활성 측정 결과, 폐암 세포주의 경우 두 품종 모두 현미상태에서는 발아 후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위암 세포주에서 발아 후에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보다 증가하였다. 따라서 현미의 발아 시 항산화 성분이 용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조건이 확립된다면, 향후 발아현미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보조제 등을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measure the changes in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nd polyphenolic content of two different rice varieties (Geunnun and Ilpum), as well as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both germinated brown rice varieties in cancer cells. The contents of G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높은 기능성성분 함량을 갖도록 개량된 큰눈미와 경상도 대표적 품종인 일품미를 대상으로 현미를 발아시킨 후 발아 전후의 생리활성 물질함량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변화를 알아보고, 발아가 이들 현미의 기능성 성분 변화 또는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고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발아를 통해 큰눈벼와 일품벼 두 품종에서의 GABA(γ-aminobutyric acid) 함량, 항산화성분 함량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BA는 어떤 전구체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인가? GABA는 현미를 발아시킬 때 증가되는 물질로서 전구체인 glutamic acid가 glutamate decarboxylase의 효소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GABA는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비단백 아미노산으로 뇌 혈류개선, 산소공급 증가, 신경안정작용, 스트레스 해소, 기억력 증진, 혈압강하작용, 중풍과 치매 예방, 비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8) 최근 뇌졸중 및 결장암, 대장암 세포의 전이 및 증식 억제효과도 있다고 보고되었다 (11-13).
현미는 발아할 때 어떤 성분의 함량이 높아지는가? 이러한 현미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최근 들어 풍부한 영양은 고루 섭취하고 조직을 연화 하여 식미감을 높인 발아현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4,5). 현미는 발아할 때 각종 비타민, 칼슘, 무기질, 아미노산, 효소, 아라비녹실란(arabinoxylan)의 함량이 높아지며, 특히 생리활성물질인 감마아미노부티르산(γ-aminobutyric acid, GABA)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6,7). 또한 발아 시 현미가 가지고 있는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및 혈압상승억제 등의 좋은 생리활성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8,9).
glutamic acid가 전구체인 GABA는 어떤 질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GABA는 현미를 발아시킬 때 증가되는 물질로서 전구체인 glutamic acid가 glutamate decarboxylase의 효소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GABA는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비단백 아미노산으로 뇌 혈류개선, 산소공급 증가, 신경안정작용, 스트레스 해소, 기억력 증진, 혈압강하작용, 중풍과 치매 예방, 비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8) 최근 뇌졸중 및 결장암, 대장암 세포의 전이 및 증식 억제효과도 있다고 보고되었다 (11-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uliano BO, Bechtel DB. 1985. The rice grain and its gross compositio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N, USA. p 17-18. 

  2. Ko MR, Choi HJ, Han BK, Yoo SS, Kim HS, Choi SW, Hur NY, Kim CN, Kim BY, Baik MY. 2011.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brown and black rices. Food Eng Prog 15: 195-202. 

  3. Kim SK, Cheigh HS. 1979. Radical distribution of calcium, phosphorus, iron, thiamine and riboflavin 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122-125. 

  4. Moon SH, Lee KB, Han MK. 2010. Comparison of GABA and vitamin contents of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different soaking solution. Korean J Food & Nutr 23: 511-515. 

  5. Kum JS, Choi BK, Lee HY, Park JD, Park HJ.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erv 11: 182-188. 

  6. Lee MH, Shin JC. 1996. New techniques for the cultivation of quality rice. In rediscovering Korea rice and development direction. Korean Society of Rice Research Conference, Seoul, Korea. p 239-263. 

  7. Nakagawa K, Onota A. 1996. Accumul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in the rice germ. Food Processing 31:43-46. 

  8. Madar Z. 1983. Effect of brown rice and soybean dietary fiber on the control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Am J Clin Nutr 38: 388-393. 

  9. Muramoto G, Kawamura S. 1991. Rice protein and anti-hypertensive peptid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rice. Nippon Shokuhin Kougyo 34: 18-26. 

  10. Thompson JF, Pollard JK, Steward FC. 1953. Investigations of nitrogen compounds and nitrogen metabolism in plants. Iii. ${\gamma}$ -aminobutyric acid in pla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otato tuber and a new procedure for isolating amino acids other than ${\alpha}$ -amino acids. Plant Physiol 28: 401-414. 

  11. Mody I, De Koninck Y, Otis TS, Soltesz I. 1994. Bridging the cleft at GABA synapses in the brain. Trends Neurosci 17: 517-525. 

  12. Oh SH, Oh CH. 2003. Brown rice extracts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stimulate immune cells. Food Sci Biotechnol 12: 248-252. 

  13. Oh CH, Oh SH. 2004. Effects of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J Med Food 7: 19-23. 

  14. Zhang G, Bown AW. 1997. The rapid determination of ${\gamma}$ - aminobutyric acid. Phytochem 44: 1007-1009. 

  15. Velioglu YS, Mazza G, G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6.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7.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8. SAS. 2000. SAS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9. Yun SJ, Oh SH. 1998.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tobacco cDNA encoding calcium/calmodulin-dependent glutamate decarboxylase. Mol Cells 8: 125-129. 

  20. Jeon JY, Park JH, Kim SH, Choi YH. 2009. Optimization of ${\beta}$ -glucan extraction process from rice bran and rice germ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od Eng Prog 13:8-15. 

  21. Jung EH, Ha TY, Hwang IK. 2010. Anti-hyperglycem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acid concentrates of rice bran and hydroxycinnamic acids in cell assays. Korean J Food & Nutr 23: 233-239. 

  22. Kim DJ, Ryu SN, Han SJ, Kim HY, Kim JH, Hong SG. 2011. In vivo immunological activity in fermentation with black rice bran. Korean J Food & Nutr 24: 273-281. 

  23. Kim SR, Ahn JY, Lee HY, Ha TY. 2004.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30-936. 

  24. Oh SH. 2003. Stimul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synthesis activity in brown rice by a chitosan/glutamic acid germination solution and calcium/calmodulin. J Biochem Mol Biol 36: 319-325. 

  25. Choi HD, Park YK, Kim YS, Chung CH, Park YD. 2004. Effect of pretreatment conditions on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of brown rice and germi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61-764. 

  26. Choi Y, Jeon G, Kong S, Lee J. 2009. Changes in GABA content of selected specialty rice after germination. Food Eng Prog 13: 154-158. 

  27. Kong S, Kim DJ, Oh SK, Choi IS, Jeong HS, Lee J. 2012. Black rice bran as an ingredient in noodles: chemical and functional evaluation. J Food Sci 77: C303-C307. 

  28. Lee YR, Kang MY, Koh HJ, Chin JH, Nam SH. 2004. Screening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germinated giant embryonic ric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16-221. 

  29. Shimade K, Fujikawa K, Yahara K, Nakamura T. 1992. Antioxidant properties of xanthan on the autoxidation of soybean oil in cyclodextrin emulsion. J Agric Food Chem 40: 945-948. 

  30. Manna KM, Naing KM, Pe H. 1995. Amylase activity of some roots and sprouted cereals and beans. Food Nutr Bull 16: 1-4. 

  31. Cho DH, Chung HJ, Cho HY, Lim ST. 2011. Health functions and utilization products of germinated brown rice. Food Science and Industry 44(3): 76-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