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2 no.1, 2013년, pp.65 - 78
이관규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조경학과) , 장효진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조경학과) , 이민주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조경학과) , 조현길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조경학과)
Since pursuing the pleasant life for people, there is an increase of desire to appreciate outstanding scenery with the difference in certain level fo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human on landscaping, However, the quality of landscaping has become artificial with the pleasance to be declining du...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산림경관 관리를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 기본적으로 산림경관 관리를 위해 해당 구역을 어떠한 방향으로 관리할지 설정하기 위해 보전지역 구역구획, 경관관리가 집중적으로 필요한 지역, 경관변화에 민감한 지역 등을 구획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제기하였고(강미희와 김성일, 2010; 산림청, 2011b; 이관규와 박찬우, 2012) 산림청에서는 이와 관련된 지침을 마련하여 배포한 바 있다(산림청, 2011b). | |
국내에서 경관과 관련된 연구는 무엇이 진행되었는가? | 경관에 대한 사람들의 지각과 이해의 정도 차이는 다르나 일반적으로 우수한 경관을 감상하고자 하는 욕구도 증가하고 있지만(Karjalainen and Tyrvainen, 2002) 도시화로 인해 경관이 인공화되고 쾌적성이 저하되고 있다(장철규 등, 2011). 우리 나라에서는 경관 관리와 관련하여 경관의 보전 및창출을 위해 인간의 경관 인지도에 따른 경관 선호도 연구(정윤희 등, 2002; 박민우와 송형섭, 2003;김세천과 허준, 2007; 허준 등, 2007)나 경관평가 지표설정 연구(김승주와 임승빈, 2009; 강미희와 김성일, 2010; 김재준 등, 2010; 이관규, 2011; 이관규와 박찬우, 2012) 등이 진행되었다. | |
도시화는 경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경관에 대한 사람들의 지각과 이해의 정도 차이는 다르나 일반적으로 우수한 경관을 감상하고자 하는 욕구도 증가하고 있지만(Karjalainen and Tyrvainen, 2002) 도시화로 인해 경관이 인공화되고 쾌적성이 저하되고 있다(장철규 등, 2011). 우리 나라에서는 경관 관리와 관련하여 경관의 보전 및창출을 위해 인간의 경관 인지도에 따른 경관 선호도 연구(정윤희 등, 2002; 박민우와 송형섭, 2003;김세천과 허준, 2007; 허준 등, 2007)나 경관평가 지표설정 연구(김승주와 임승빈, 2009; 강미희와 김성일, 2010; 김재준 등, 2010; 이관규, 2011; 이관규와 박찬우, 2012) 등이 진행되었다. |
구자훈, 2001, 도시조망권과 경관관리: 외국 도시의 조망권 확보 사례, 도시문제, 36(10), 34-48.
김세천, 노재현, 박재철, 허준, 1996, 마이산도립공원의 조망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2), 2074-2085.
김세천, 허준, 2007,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주변 경관이미지 및 선호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1(2), 134-140.
박민우, 송형섭, 2003, 안면도 자연휴양림 경관관리를 위한 시각선호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2(4), 313-320.
산림청, 2004,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
산림청, 2011a, 산림기본통계.
산림청, 2011b, 산림경관 계획관리 업무편람.
산림청, 2012,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
이관규 등, 2008, 산림경관벨트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산림청 보고서.
이관규, 이정환, 장효진, 2009, 국가산림경관인벤토리 작성 연구, 국립산림과학원 1차년도 보고서.
이관규, 이정환, 장효진, 2010, 국가산림경관인벤토리 작성 연구, 국립산림과학원 2차년도 보고서.
이관규, 이정환, 장효진, 2011, 국가산림경관인벤토리 작성 연구, 국립산림과학원 3차년도 보고서.
이관규, 박찬우, 2012, 시각적 질 평가에 의한 산림경관 관리구역 구획방법, 한국임학회지, 101(1), 148-157.
임승빈, 2009,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조용준, 이정형, 남승진, 정영덕, 홍안희, 장상근, 손승광, 김영석, 김현숙, 강권, 박현홍, 유창균, 이봉수, 이정림 역, 2006, 일본의 경관계획, 서울, 태림문화사.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 부, 국토해양부, 산림청, 2009, 경관계획수립지침.
British Columbia, 1981, Forest Landscape Handbook.
British Columbia, 1996, Clearcutting and Visual Quality: A Public Perception Study.
British Columbia, 1997, Visual Impact of Partial Cutting.
British Columbia, 2008, Recreation Manual - Forest Landscape Management.
Chang, H., Li, F., Li, Z., Wang, R., Wang, Y., 2011, Urban landscape pattern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networks: A case study of Changzhou city in Southeast China, Ecological Complexity, 8(1), 51-59.
Clay, G. R. and Daniel, T. C., 2000, Scenic landscape assessment: the effects of land management jurisdiction on public perception of scenic beau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9(1-2), 1-13.
Daniel, T. C. and Boster, R. S., 1976, Measuring landscape esthetics: the scenic beauty estimation method,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RM-167, Fort Collins, Rock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Forestry Commission of Tasmania, 2006, A Manual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Fry, G., Tveit, M. S., Ode, A., Velarde, M. D., 2009, The ecology of visual landscapes: Exploring the conceptual common ground of visual and ecological landscape indicators, Ecological Indicators, 9(5), 933-947.
Germino, M. J., Reiners, W. A., Blasko. B. J., Mcleod, D., Bastian, C. T., 2001, Estimating visual properties of Rocky Mountain landscapes using G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3(1-4), 71-83.
Greene, R., Luther, J. E., Devillers, R., Eddy, B., 2010, An approach to GIS-based multiple criteria decision analysis that integrates exploration and evaluation phases: Case study in a forestdominated landscap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60(12), 2102-2114.
Karjalainen, E. and Tyrvainen, L., 2002, Visualization in forest landscape reference research: a Finnish perspectiv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9(1), 13-28.
Meitner, M. J., 2004, Scenic beauty of river views in the Grand Canyon: relating perceptual judgments to location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1), 3-13.
Ode, A., Fry, G., Tveit, M. S., Messager, P., Miller, D., 2009, Indicators of perceived naturalness as drivers of landscape preferenc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0(1), 375-383.
Ripple, W. J., Bradshaw, G. A., Spies, T. A., 1991, Measuring forest landscape patterns in the cascade range of Oregon, USA, Biological Conservation, 57(1), 73-88.
USDA Forest Service, 1968, Forest Landscape Description and Inventories - a basis for landplanning and design.
USDA Forest Service, 1973, National Forest landscape management. Volume1.
USDA Forest Service, 1974, National Forest landscape management. Volume2.
USDA Forest Service, 1993, Forest Landscape Analysis and Design.
USDA Forest Service, 1995, Landscape Aesthetics: A Handbook for Scenery.
Yanar, T. A. and Akyurek, Z., 2006, The enhancement of the cell-based GIS analyses with fuzzy processing capabilities, Information Sciences, 176(8), 1067-1085.
Zube, H. E., Sell, J. L., Taylor, G. J., 1982, Landscape perception: Research, application and theory, Landscape Planning, 9(1), 1-33.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