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집단따돌림 피해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Bullied Children on Bullying: Ego-Resilience Mediatio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2, 2013년, pp.214 - 224  

최연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김나영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bullied children. The focus in this study was on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2 bulli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years 5 and 6. The data were analy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가장 적합한 모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은 집단따돌림 피해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집단따돌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부분 매개모형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초등학생 고학년에 속하는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집단따돌림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보건교사가 집단따돌림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아탄력성이라는 아동의 보호요인이자, 내적 자원을 발달, 증진시킬 수 있는 정신건강 보건교육 프로그램 및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할 때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 본 연구는 여러 문헌과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집단따돌림 피해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수로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개념적 틀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이 있는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집단따돌림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집단따돌림 피해 아동에게 우울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 수준을 측정하여 상담 및 교육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중재하여야 할 것이며,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이 집단따돌림 아동에게 필요한 중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과 자아탄력성을 관련시켜 수행한 연구와 관련된 중재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집단따돌림 문제에 접근하여 개인 내적 자원으로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인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정신 건강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집단따돌림 피해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가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이 매개 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아동의 외부적 환경요인이라볼 수 있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아동의 내적요인인 자아탄력성의 영향을 검증한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집단따돌림 피해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가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이 매개 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아동의 외부적 환경요인이라볼 수 있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아동의 내적요인인 자아탄력성의 영향을 검증한 연구이다. 먼저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집단따돌림 피해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집단따돌림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lweus가 말한 집단따돌림이란? 집단따돌림이란 용어는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데 bullying, harrassment, peer abuse, mobbing 등과 일본의 이지메라는 표현 등이 있다. 집단따돌림을 bullying으로 정의한 Olweus (1978)는 한 학생이 반복적, 지속적으로 한 명, 혹은 그 이상의 다른 학생 들의 부정적 행위에 노출되었을 때 집단따돌림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자아탄력성이란? Rutter (1985)는 환경의 역경과 스트레스적 상황 조건하에 놀랍게 잘 기능하고 스트레스를 잘 극복하는 아동을 발견하고 그러한 아동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자아탄력성(ego-resilience)이라고 언급하였다.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와 역경, 위험에도 불구하고 건강하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되며 긴장, 인내의 수준을 상황에 따라 조절할수 있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스트레스를 견뎌내는 저항능력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설명된다(Block & Kremen, 1996). 자아탄력성이 높은 아동은 삶은 의미가 있으며 스스로 운명을 통제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외향적이며, 성실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자신의 경험에 대해 개방적인 특성을 가지며 (Ku, Hwang, & Kim, 2001), 아동의 높은 자아탄력성은 학교 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Ha & Lee, 2009).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집단따돌림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집단따돌림 피해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집단따돌림 피해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집단따돌림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 집단따돌림 피해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집단따돌림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를 검증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olescent Violence Prevention Foundation. (2012, April, 23). 2011 The actual condition of school violence. Retrieved August 8, 2012, from http://blog.naver.com/bakbht?Redi rectLog&logNo156204036 

  2. Block, J. H.,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2), 349-361. 

  3.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4. Chae, S. K., & Song, Y. H. (2004). The characteristics of a child who has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 The Journal of play Therapy, 8 (2), 1-13. 

  5. Choi, E. S., & Chae, J. H. (2000). A study of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bullying. Understanding People, 21, 109-137. 

  6. Choi, Y. J., Jhin, H. K., & Kim, J. W. (2001). A study on the personality trait of bullying & victimized school children.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2 (1), 94-102. 

  7. Ha, M. S., & Lee, S. B. (2009). The influence of the children-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 elasticity to adjust to school lif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8 (3), 247-258. 

  8. Hong, S. H. (2007).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 161-177. 

  9. Hur, J. Y.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resilience, peer relation and facilit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0. Jackson, D. L. (2003). Revisiting sample size and number of parameter estimates: Some support for the N:q hypothe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0 (1), 128-141. 

  11. Jung, H. N., & Cho, O. K. (2011). The role of empathy and selfesteem between parents' parenting behavior and attitudes on bullying.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21 , 87-114. 

  12. Khu, B. Y. (1999). Causes and prevention of bullying on adolescents( 29). Seoul: Korea Youth Counselling & Welfare Institute. 

  13. Kim, J. S. (2009). The Relations among the classroom climate, the ego-resilience, and the school adjustmen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4. Kim, H. W. (2011). Psychological and school maladjustment resulted by peer rejection and peer victimization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 (5), 321-356. 

  15. Kim, K. S., & Kim, H. K. (2011). A study on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 (2), 143-170. 

  16. Ku, H. M., Hwang, S. T., & Kim, J. H. (2001). The personality traits of ego resili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 (3), 569-581. 

  17. Lee, E. Y. (2012).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ommunication style and peer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2012 The Actual condition based on complete enumeration survey. Retrieved June 9, 2012, from http://www.mest.go.kr/web/ 45859/ko/board/view.do?bbsId294&boardSeq30338 

  19. Olweus. D. (1978). Aggression in the schools: Bullies and whipping boys. Washington, DC: Hemisphere. 

  20. Park, E. H. (1997). The relationships between ego-resiliency, IQ and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1. Park, E. H. (2010). The influence of rearing attitude of parents and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in school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2. Park, J. W. (2005). A study on the ecosystematical factors victimization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Park, J. Y., & Chae, K. M. (2011). The role of parenting behaviors, child's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bullying/being bullied.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30 (1), 45-67. 

  24. Pontzer, Daniel. (2010). A theoretical test of bullying behavior: Parenting, personality, and bully/victim relationship. Journal of Family Violence, 25 (3), 259-273. 

  25. Roh, E. S. (2010).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6. Rohner, R. P. (1991). The warmth dimension: Foundation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theory. NY: Sage Publication. 

  27. Rutter. M. (1985). Resilience in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7, 598-611. 

  28.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29. Song, H. R.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 ostracizing and adolescent's ego-resiliency and school-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0. Sung, Y. H. (1993). The effects of parental social support system on children's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