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역 발효추출물의 HCT-15 대장암 세포 사멸 유도 효과
Apoptosis Induction of HCT-15 Cells by Extracts of Undaria pinnatifida with Fermented Micro-organism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8 no.4, 2013년, pp.33 - 40  

김태윤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한효상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이영종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study the apoptosis effects of fermented Undaria pinnatifida extracts(FUP) against HCT-15 colon cancer cells. Method : By measuring cell proliferation, DNA fragmentation, cell cycle, morphology, and western blot from FUP,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xtractions had up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역발효추출물이 HCT-15 세포 성장증식 억제효과가 apoptosis에 의한 결과인지 조사하기 위해 DNA 분절현상을 조사하였다. HCT-15 세포 (1.
  • 이러한 결과는 미역 발효추출물의 활성성분을 대장암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향후 대장암치료제로 미역발효추출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폭넓은 분자기전 연구에 관한 실험을 보충하여야 하고, 임상에서의항대장암효능을 입증하기 위하여 동물실험모델을 통하여 in vivo 실험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이 등9)이 다시마 Laminaria religiosa 에서 추출한 fucoidan extract 가 apoptosis 와 세포증식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으나, 미역 발효추출물의 항암작용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역 발효추출물의 항암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역발효추출물의 HCT-15 대장암세포에서의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검색하고 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DNA 분절검사 및 cell cycle, morphology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apoptosis 유도신호전달기전에 중요한 Bcl-2, Bax 그리고 caspase-3 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이란 무엇인가? 癌은 정상조직을 파괴하며 인체 내에서 급속도로 자라서 주위 조직에 침윤되고, 다른 조직으로 전이되어 수개월 내지수 년 내에 생명을 빼앗는 무서운 질병이며10), 이러한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대부분 항암제는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도한다11,12). 화학요법에 의한 암치료제는 생체내의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 및 다른 감염증에 대한 저항까지 약하게 하는 부작용을 일으키므로13), 천연물로부터 면역기능을 높여주고 암세포에게만 특수하게 작용하는 항암제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최근 많이 시도되고 있다14).
미역에 함유된 성분은 무엇인가? 미역은 줄기와 잎 등 부위별로 함량이 다르지만, 탄수화물 35.3%, 회분 30.8%, 단백질 15%, 수분 13%, 지방 3.2%, 섬유질 2.7%, 카로틴, 비타민(A, B1, B2, B3, B12, C) 등의 성분과 약리작용을 갖는 요오드, 브롬, 칼슘이 약 1.8%, 유기산 1.6%, 알긴산, 알라닌, 글리신, 프롤린, 팔미트산, fucosterol, fucoidan, 마니톨 등이 함유되어 있다1,4-7). 미역은 혈압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내리며, 갑상선 기능 부족을 바로 잡고, 조직이나 혈액에 들어간 후 병리적 산물의 흡수를 촉진시켜 병태조직을 붕괴하고 용해시키는 작용을 하고1), 김 등8)이 위암치료의 식이요법으로 미역을 권한 바와 같이 미역의 항암효과가 보고되었다.
미역의 약리학적 작용은 무엇인가? 현대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보면, 미역에 존재하는 fucoidan 은 L-fucose, 황산염, 자일로스, 갈락토스, 만노스, 글루쿠론산 등을 가지는 다당체이다22). 그 약리학적 작용은 혈압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내리며, 갑상선 기능 부족을 바로 잡고, 조직이나 혈액에 들어간 후 병리적 산물의 흡수를 촉진시켜 병태조직을 붕괴하고 용해시키는 작용을 하고1), 항암작용8) 뿐만 아니라 apoptosis 유도작용도 알려져 있다9). 이와 같이 효능이 우수하고 식용으로 애용하는 미역을 가지고 발효한 추출액을 대장암에 적용하여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KS, An DK, Shin MK, Kim CM. Wanyeok-Jungyakdaesajeon. Seoul : Jungdam publisher. 1997 : 393-7, 4650-2, 6076-82. 

  2. Kang JW. Haesansikmul-Hak. Seoul : Daehangyogwaseo Co Ltd. 1984 : 214-7. 

  3. Stat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ense medicin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Zhonghuabencao. Vol. 10. Shanghai :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99 : 453-8. 

  4. Lee YJ. A Study on Mineral and Alginic acid Contents by Different Parts of Sea Mustards(Undaria pinnatifida). Kor J Food Culture. 2004 ; 19(6) : 691-700. 

  5. Koo JG, Jo KS, Do JR, Woo SJ.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and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J Kor Fish Soc. 1995 ; 28(2) : 227-36. 

  6. Pettitt TR, Jones AL, Harwood JL. Lipids of the marine red algae, chondrus crispus and polysiphonia lanosa. Phytochemistry. 1989 ; 28 : 399-408. 

  7. Hong JS, Kwon YJ, Kim YH, Kim MK, Park IW, Kang KH. Fatty acid composition of Miyeok(Undaria pinnatifida) and Pare(Enteromorpha compressa). J Kor Soc Food Nutr. 1991 ; 20(4) : 376-80. 

  8. Kim JS, Ryo BH, Park DW, Ryo GW.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umors diet. J Kor Oriental Oncology. 1995 ; 1(1) : 231-48. 

  9. Lee JJ, Song YK, Lim HH. Fucoidan extract from Laminaria religiosa suppresses ischemia-induced apoptosis and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us of gerbils. Kor J Oriental Medicine. 2006 ; 27(4) : 105-15. 

  10.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Jongyang-Hak.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1989 : 1-7. 

  11. Nieves-Neira W, Pommier Y. Apoptotic response to camptothecin and 7-hydroxystaurosporine (UCN-01) in the 8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of the NCI Anticancer Drug Screen: multifactorial relationships with topo isomerase I, protein kinase C, Bcl-2, p53, MDM-2 and caspase pathways. Int J Cancer. 1999 ; 82(3) : 396-404. 

  12. Piazza GA, Rahm AL, Krutzsch M, Sperl G, Paranka NS, Gross PH, Brendel K, Burt RW, Alberts DS, Pamukcu R et al. Antineoplastic drugs sulindac sulfide and sulfone inhibit cell growth by inducing apoptosis. Cancer Res. 1995 ; 55(14) : 3110-16. 

  13. Mervyn J, Mary D, Gerald MC. Antitumor activity of 1-naphthol against L1210 leukemia in vivo and enrlich ascites tumor cells in vivo and in vitro. Cancer letters. 1986 ; 33(3) : 347-54. 

  14. Lee CH. Studies on the Inhibitory Effect of Berberidis Ramulus to the Liver and Colorectal Ramulus. Graduate School of Kyungwoon University. 2007. 

  15.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metric assay. Cancer Res. 1987 ; 47(4) : 943-6. 

  16. Nicoletti I, Migliorati C, Pagliacci MC, Grignani F, Riccardi C. A rapid and simple method for measuring thymocyte apoptosis by propidium iodide staining and flow cytometry. J Immunol Methods. 1991 ; 139(2) : 271-9. 

  17. Luo Y, Kessel D. Initiation of apoptosis versus necrosis by photodynamic therapy with chloroaluminum phthalocyanine. Photochem Photobiol. 1997 ; 66(4) : 479-83. 

  18. Tao HJ. Mingyibielu. Beijing : Renminweisheng publisher. 1986 : 157. 

  19. Lee SS. Bonchokangmok. Seoul : Daeseongmoonhwasa. 1995 : 396-8. 

  20. Cho JK. Hanbanglimsangjongyanghak. Daejeon : Joomin publisher. 2005 : 753. 

  21. Kim HS, Bae TJ.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Seaweed Using Microorganisms and Its Application -I. Screening of Microfloras Involved in Hydrolysi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J Kor Fish Soc. 2002 ; 35(4) : 438-44. 

  22. Duarte MER, Cardoso MA, Noseda MD, Cerezo AS. Structural studies on fucoidans from the brown seaweed Sargassum stenophyllum. Carbohydr Res. 2001 ; 333(4) : 281-93. 

  23. Evan G, and Littlewood T. A matter of life and cell death. Science. 1998 ; 281(5381) : 1317-22. 

  24. Piao W, Yoo J, Lee DK, Hwang HJ, Kim JH. Induction of G(2)/Mphase arrest and apoptosis by a new synthetic anti-cancer agent, DW2282, i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s. Biochem Pharmacol. 2001 ; 62(11) : 1439-47. 

  25. Antonsson B, Martinou JC. The Bcl-2 protein family. Exp Cell Res. 2000 ; 256(1) : 50-7. 

  26. Riedl SJ, Shi Y. Molecular mechanisms of caspase regulation during apoptosis. Nat Rev Mol Cell Biol. 2004 ; 5(11) : 897-9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