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Gifted and General Students on their Academic Burnout and School Happiness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5 no.1 = no.61, 2013년, pp.152 - 166  

송영명 (경북대학교) ,  정성수 (대구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differences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happiness between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also to explore the effects on school happiness of thei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To resolve the ab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학업성취가 높다고 판단되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학업소진 양상을 비교·탐색하고, 학업소진의 여러 하위 변인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소진, 학교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고, 집단별로 학생들이 추구하는 성취목표와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발생하는 만성적 부적응 상태인 학업소진(academic burnout)이 그들의 학교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들의 ‘삶의 질’, ‘안녕감’, ‘행복’ 등은 학교나 학업성취와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음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취를 위한 목적이나 이유를 포괄할 뿐만 아니라 개인들의 행동과 목적에 도달한 것에 대한 성공과 실패를 판단하는 일종의 기준이 되는 성취목표와 학업소진이 학생들의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비교하여 탐색하고자한다.
  • 특히 최근 연구에서 조기교육과 선행학습의 사회적 조류,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에 대한 사회적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학업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중학생(이서원·장용언, 2011)들을 대상으로, 그리고 중학생들을 인지 능력 및 학문적 성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로 나누어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고, 그들의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소진, 그리고 학교행복감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취목표 지향성은 무엇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성취욕구를 바탕으로 한 성취목표지향성은 성취동기이론에 근거하고 있는데, 이러한 성취목표 지향성은 행복 또는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Ryan, Sheldon, Kasser, & Deci, 1996). 특히 자기향상 및 성장 관련 목표는 웰빙의 다양한 변수들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는 회피경향 접근은 다른 유형의 적응문제와 관련이 있었다 (Heta Tuominen-Soini et al.
과도한 성취욕구의 장, 단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대다수 학생들의 경우는 다른 학생보다 우수한 성적을 받는 것을 성공적인 성취로 여기며, 학업 성취과정에서 자신의 유능성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조준한, 2010). 과도한 성취욕구는 스트레스와 부적응적인 문제를 유발하기도 하지만, 개인적 기준이 높아질수록 성취동기가 높아지며, 우울수준이 낮아지고 자기존중감이 증가한다(Accordino 외, 2000). 즉 학생들이 학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성취동기가 긍정적인 역할을 하며(유평, 2011), 또 성취욕구가 높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희망, 기대의 충족 등과 같은 접근 지향적 정서들을 가지며, 성취욕구가 낮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불안, 방어 및 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과 같은 회피 지향적 정서를 갖게 된다.
성취목표지향성의 목표유형을 이분화하면 숙달목표와 수행목표로 대표되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숙달목표지향성은 성취의 의미를 학습활동에 있어서 배우는 것 그 자체에 가치를 두고 이를 목표로 삼는 것을 의미하며, 수행목표는 학습활동을 통한 배움보다는 특정한 과제에 얼마나 타인보다 유능한가를 보여주는 것에 관심을 가지므로(문태형, 2005; Meece et al., 1988), 외부에서 정한 규준 수준을 능가한 것에서 자신을 능력이 입증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숙달목표를 가진 학생들은 수행목표를 가진 학생들에 비해서 효과적인 학습 전략과 심층적 처리전략을 사용하고, 도전적인 과제를 선호하며 과제선택과 실패에도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과제에 대한 노력과 지속력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며(Ames & Archer, 1988; Elliot, McGregor, & Gable, 1999), 실패나 부정적인 수행에서는 보다 많은 노력이나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는 귀중한 피드백을 얻음으로써 성공적인 결과를 효과적인 전략과 노력에 귀인한다고 보고한다(Ames, 1992). 반면 수행목표를 가진 학습자는 적은 노력으로 성공하는 것을 중시하고, 열심히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할 것 같은 상황을 피하며, 피상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고, 학업수행의 실패를 자신의 능력부족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있다(Dweck & Leggett, 1988; Pintrich & Schunk,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김종백.김태은(2008). 학교행복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2(1), 259-279. 

  2. 나동진(2010). 영재와 일반학생의 성취목표지향의 비교, 교육학연구 48(3), 25-44. 

  3. 문태형(2005). 유아교사의 성취목표 성향과 교사 효능감간의 관례 연구, 아동학회지 26(4), 21-33. 

  4. 박병기.이종욱(2005).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9(1), 327-352. 

  5. 송영명(2009). 학생과 교사수준변인이 성취목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송인섭 외(2009).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취 목표지향성에 따른 귀인경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8(2), 105-124. 

  7. 신이나(2011). 영재와 일반중학생의 성취목표지 향성 프로파일 분석: 자기효능감 및 학업소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신종호 외(2011). 성취목표지향성, 학교소속감 및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4), 271-292. 

  9. 신효정 외(2011). 중학생의 정신건강과 학업소진의 단기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8(2), 133-152. 

  10. 유평(2011). 희망과 자기조절학습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를 매개변인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윤여홍(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19(1), 5-10. 

  12. 윤현상.김삼곤(2001).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자기 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 및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13(2), 194-211. 

  13. 이서원.장용언(2011).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족응집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8(11), 111-136. 

  14. 이영복(2009). 청소년의 학업 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이자영(2010). 과도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1(4), 1551-1565. 

  16. 이희영.안삼태.최태진(2003). 영재아 부모들의 고민 유형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5(2), 193-205. 

  17. 조준한(2010). 청소년의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학교의 목표 및 사회적 지지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조한익.이현아(2010).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에 있어서 성취목표의 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17(12), 131-154. 

  19. 최윤미.양난미.이지연(2002). 상담자 소진 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81-598. 

  20. 한기순.김영미(2008). 영재들은 행복한가? 영재, 잠재영재, 일반학생의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비교, 영재교육연구 18(3), 519-542. 

  21. 한기순.황은하(2010).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간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18(3), 27-45. 

  22. 한순미(2003). 중다목표관점에서의 성취목표와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3), 291-312. 

  23. 홍승표(2010). 영재.잠재영재.일반학생의학교 소진경험 및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9(1), 75-96. 

  24. 황희숙.김말숙(2010). 수학 영재교육에 대한 일반 영재학생과 사이버 영재학생의 인식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2(3), 316-329. 

  25. 황희숙.조환옥(2011).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사회적 능력 및 자기조절능력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3(3), 388-399. 

  26. Accordino D. B. Accordino, M. P. & R. B. (2000). An investigation of perfectionism. mental health, achievement motivation adolescents, Psychology in the School, 7(6), 535-545. 

  27. Ames C., & Archer, J. (1988).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3), 260-267. 

  28. Ames, C. (1992). Achievement goals, motivational climate, and motivational processes. In G. Robert(Ed.), Motivation in sports and exercise, Champaign, IL: Human Kinetics Books. 

  29. Andrews, F. M. & Withy, S. B. (1976). Social indicator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30. Compton, W. C. (2005).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31. Dweck, C. S. (1986).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on learning, American Psychologist, 41, 1040-1048. 

  32. Dweck, C. S., & Elliot, E. S. (1983). Achievement motivation, In P. Mussen & E. M. Hetherington(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pp.643-691), NY: Wiley. 

  33. Dweck, C. S., & Leggett, E, I. (1988). A social- 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95, 256-273. 

  34. Elliot, A. J. (1999).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s, Educational Psychology, 34, 169-189. 

  35. Elliot, A. J., McGregor, H. A. (1999). Achievement goals, strategies, and exam perfor,ance: A mediational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1(3), 549-563. 

  36. Heta Tuominen-Soini, Katariina Salmela-Aro B, Markku Niemivirta (2008).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A person-centered analysis, Learning and Instruction, 18, 251-266. 

  37. Maslach & Jackson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38. Maslash, C., & Leiter, M. P. (1997). The truth about burnout, Jossey-Bass. 

  39. McGregor, H. A. & Elliot, A. J. (2002). Achievement goal as predictors of achievement-relevant processes prior to task engag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 381-395. 

  40. Meece, J. L., Blumenfeld, P. C., & Hoyle, R. H. (1988). Students'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eit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514-523. 

  41. Nicholls, J. G. (1984). Achievement motivation: Conceptions of ability, subjective excperience, task choice, and performance, Psychological Review, 91, 328-346. 

  42. Pintrich, P. R. (2000a). An achievement goal theory perspective on issues in motivation terminology, theory, and research,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92-104. 

  43. Pintrich, P. R. (2000b).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pp.451-502), San Diego, CA: Academic Press. 

  44. Ryan, R. M., Sheldon, K. M., Kasser, T., & Deci, E. L. (1996). All goals are not created equal: An organismic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goals and their regulation, In P. M. Gollwitzer & J. A. Bargh (Eds.), The Psychology of Action: Linking Cognition and Motivation to Behavior(pp.7-26). New York: Guilford. 

  45.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46. Schaufeli, W. B., Martez, I. M., Marques Pinto, A., Salanova, M., & Bakker, A. B.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47. VandleWalle, D., Cron, W. L., & Slocom, J. W. (2001).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following performance feedbac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4), 629-640. 

  48. Witkow, M. R., & Fuligni, A. J. (2007). Achievement goals and daily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with Asian, Latino, and European American background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 584-59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