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5 no.1 = no.61, 2013년, pp.274 - 286
최두진 (부산대학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ducational functions of Kyujanggak(奎章閣) during King Jeongjo(正祖) and reflect its significance Kyujanggak was established by King Jeongjo in 1776. The main function of Kyujanggak was keeping and managing Eopil(御筆) and it continued to perform what Jiphyeonjeon(...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백범 김구가 문화강국이 되기를 강조하면서, 백범정신선양회에서 제언한 것은 무엇인가? | 지식기반사회(knowledge-based society)로 정의되는 21세기는 특히 ‘문화의 세기’와 더불어 나아가야 한다. 일찍이 겨레의 선각자 백범 김구도 “나는 우리나라가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경제력도 아니다. 인류가 불행한 것은 인의와 사랑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류의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은 오직 문화이다. 나는 우리나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되지 말고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원이 목표가 되고 모범이 되기를 원한다.”(백범정신선양회, 1992: 260-261)라고 제언하면서 앞으로 우리나라가 세계평화와 인류 행복 창출의 선도적 역할을 하는 가장 모범적인 문화강국이 되기를 강조하였다. | |
백범 김구의 말에 따르면, 우리가 스스로 반드시 해결해야하는 지상과제란 무엇인가? | ”(백범정신선양회, 1992: 260-261)라고 제언하면서 앞으로 우리나라가 세계평화와 인류 행복 창출의 선도적 역할을 하는 가장 모범적인 문화강국이 되기를 강조하였다. 따라서 지식기반 사회의 튼튼한 구축과 문화강국의 건설은 우리가 스스로 반드시 해결해야하는 지상과제인 것이다. | |
정조가 문화의 창달과 명실상부한 왕도정치를 위해 행한 것은 무엇인가? | 이런 교류와 통합을 호학군주(好學君主)인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18세기에 시도하였다. 그는 문화의 창달과 명실상부한 왕도정치를 위해 군사(君師)로서 몸소 규장각을 설립하여 학문공동체와 학습공동체를 운영하였다. 정조가 세운 규장각은 당시의 성균관에서부터 향교에 이르기까지 그 교육의 역할이 제대로 이루어지 못하였고, 노론의 대세 아래에서 교육적 논의도 편향적인 모습을 보이는 상황에서 교육의 근본과 기본을 제대로 수행하게 하여 그 모범을 보인 기관으로 평가할 수 있다. |
규장각지(奎章閣志)
일성록(日省錄)
정조실록(正祖實錄)
홍재전서(弘齋全書)
강순애(2005). 奎章閣의 圖書編纂 刊印 및 流通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도연 외 20인(2011). 새로운 대학을 말한다, 서울: 매경출판(주).
김동배(2009). 군사 정조의 인재정책에 나타난 리더십 연구 -규장각 초계문신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문식(2007). 정조의 제왕학, 경기: 태학사.
남권희(1983). 奎章閣 書庫의 書目과 藏書變? 分析: 現存書目을 中心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백범정신선양회(1992). 백범일지, 서울: 하나미디어.
서범종(2003). 朝鮮時代 讀書堂의 敎育學的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설석규(1984). 규장각과 정조의 혁명 정치,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안광래(1986). 甲辰新編 奎章閣志 硏究 -圖書館的 機能과 司書의 役割을 中心으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세열 역주(2005). 奎章閣志, 경기: 한국학술정보(주).
이이화(1979). 奎章閣小考 -奎章閣志를 중심으로 본 ?觀-, 규장각 제3권, 149-165쪽.
이행숙(1982). 奎章閣藏書의 構成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옥자(2001).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서울: 효형출판.
정옥자(2007). 규장각의 지식기반사회적 의의와 동아시아문화, 조선시대 문화사 (상), 서울: 일지사 388-414쪽.
정옥자(2012).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경기: 돌베개.
최두진(2009). 정조대의 초계문신 교육제도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영우(2008). 규장각, 서울: 지식산업사.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