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조 건축문화재의 화재위험도 평가지표 및 활용방안 연구 -사찰 건축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ire Risk Assessment Index on the Wooden Cultural Properties -focused on buddhist templ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7, 2013년, pp.3550 - 3561  

강석진 (국립경상대학교 건축학과 (공학연구원)) ,  고명환 (국립경상대학교 건축학과 (공학연구원)) ,  김동진 (국립경상대학교 건축학과 (공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화재로 지정된 주요 목조 건축물을 방재(특히 화재예방)의 관점에서 안전하게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목조 건축문화재의 방재현황(화재 위험도)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와 활용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체크리스트는 관리 운영 대응의 관리운영, 배치계획 시설계획의 건축계획, 소방시설 방범시설의 설비계획으로 구성하였다. 내장사와 화엄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현장조사에서는 중요도가 높은 항목들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categorized checklist for fire risk assessment on the wooden cultural properties and to carry out field survey. The survey checklist was composed of categories such as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measures(management, training and countermeasure), arch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평가 및 조사내용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관리, 계획, 설비요소’ 등으로 유형화된 평가항목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목조 문화재의 화재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화재예방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으로 유형별 평가지표를 마련하고 현장조사를 통해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현장조사 체크리스트는 ‘관리운영, 건축계획, 설비 요소’의 3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관리운영 요소는 ‘관리체계, 교육체계, 대응체계’, 건축계획요소는 ‘배치계획과 시설계획’, 설비요소는 ‘소방시설과 방범시설’로 유형화시킬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앞 단계에서 도출된 3개의 대분류와 7개의 중분류 평가항목에 대한 적절성과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한옥설계 전문과정(국토해양부에서 지원하는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건축분야 종사자 35명을 대상으로 2012년 12월 한달간 강의가 있는 토요일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목조 건축물의 방재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어 현장조사를 진행함으로서 이전 연구들에 비해서 구체적으로 문제점들을 규명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체크리스트를 근거로 화재피해 경험이 있었던 목조 사찰건축물을 평가한 결과 여전히 화재에 취약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음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문화재로 지정된 주요 목조 건축물을 방재(특히 화재예방)의 관점에서 안전하게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목조 건축문화재의 방재현황(화재 위험도 평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와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한편, 관련법령에 의하면 전통 건조물이란 지정문화재가 아닌 것으로 건립·건조된 지 50년 이상 되고 역사적으로 중요성을 가지는 민가, 사찰, 향교, 서원, 사우(사우), 정자 등을 의미한다[5].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목조 건축문화재란 유형 문화재의 목조 건축물류와 전통 건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조 건축물의 연소는 어떤 단계로 진행되는가? 목조 건축물의 연소는 ‘화재초기, 성장기, 최성기, 감쇠기’의 4단계로 진행되는데, 목조 건축물의 재료가 연소하기 쉬운 가연물로 구성되어 있어 불이 서서히 타들어 가다가 산소가 대량 공급되면 일순간 화염에 휩싸이는 Flash Over현상이 발생하며, 빠른 시간에 최성기에 달하여 1,000℃를 넘게 된다. 이러한 최성기를 지나면 공기의 흐름이 좋아져서 냉각작용에 의해 급격하게 온도가 떨어지고 실내온도는 화재발생 후 약 15분에서 200~300℃정도까지 낮아지며 한동안 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3,4,8].
목조 건축물의 방재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 및 활용방안 연구의 한계는? 그러나 연구의 주요결과인 체크리스트의 타당성과 중요도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다양한 전문가 집단과 관련 공무원들에 대한 의견수렴이 부족했고, 현장조사 대상이 제한된 한계가 있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 이에 대한 보완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목조 건축문화재의 화재원인은? 목조 건축문화재의 화재원인은 방화, 산불, 실화, 낙뢰, 인근지역의 산불과 같은 직접적 요인과 화인(火因)과 위험물보유 및 인접, 화기사용, 노후 전기가스시설, 건조한 기후 조성 등과 같은 간접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을 바탕으로 문화재청 및 지방자치단체 담당 기관에서는 화재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뉴얼 등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나 현장에서의 활용성이 낮고 현장 관리자의 매뉴얼 숙지정도도 미흡한 문제점이 언론 및 연구논문 등을 통해서 제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H. S. Jang, W. S. Cho, and H. K. Kim, "A Study on the Methods of Fire-Safety in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ol.10, No.4, pp.25-32, 2008. 

  2. J. H. Lee, "A Study on the Fire Safety Survey for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7, No.2, pp.253-260, 2011. 

  3. M. H. Back and J. H. Lee, "The Study for Fire Prevention of Main Wooden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24, No.3, pp.1-8, 2010. 

  4. E. J. Kim, S. S Han, and K. H. Lee, "A Study on the Fire Protection of Wood Cultural Properties in Kyu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4, No.4, pp. 25-33, 2002. 

  5. J. H. Lee, Y. H. Choo, and W. J. Kim, "A Basic Study for the Fire Safety Design of Historic Building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2, No.2, pp.243-250, 2006. 

  6. J. K. Kim, Y. S. Kim, Y. R. Kim, M. O. Yoon, T. W. Kim, S. G. Kim, S. D, Kim, S. H. Kim, J. R. Park, T. P. Um, and H. M. Suk, "Study for Fire Protection System of National Heritage", Proceeding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07. 

  7. M. H. Back and H. P. Lee,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Countermeasures of Tradition Buddhist Temple Cultural Treasure : A Case Study of the Fire Damage of the Naksansa which was due to Yangyang Forest Fi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20, No.2, pp.64-71, 2006. 

  8. M. O. Yoon, "The characteristics of fire on the cultural property and disaster prevention method", Proceeding of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pp.139-141, 2008. 

  9. M. S. Oh, "A study of improvement of cultural heritage disaster management", Thesis of Master's degree, Mokwon Univ., 2005. 

  10. T. W. Kim, "The strategies of disaster countermeasure for cultural properties which leads a Korea-Japanese comparative study", Proceeding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08. 

  11. Y. S. Park, "A Disaster Prevention Measure for Cultural Assests", Thesis of Master's degree, Yongin Univ.,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