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공간에서 나타나는 미디어 특성에 관한 연구 - 뉴 미디어와 HCI 이론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Adaptability and Methods of Public space in media - Focused on new-media and HCI theory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2 no.1 = no.96, 2013년, pp.203 - 210  

고귀한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강선경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digital technology, space design is developing in a new direction with the changing paradigm. The space creates an interactive environment by motivating the User'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the digital madia. In this social stream, it is very important to think about how this new paradigm a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은 누구에게 있어서나 경쟁력의 원천이며 시간적 연속성과 공간적 동시성이 서로 공명하여 발전, 쇠퇴하기도 한다. 물리공간에 전자공간을 연결하여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이 하나로 통합되어 공진화할 수 있게 하는 4차 공간 혁명이 진행되고 있는 현대 시점에서 미디어에 대한 적용성과 인간과 컴퓨터간의 상호작용성의 내용이 기반되는 HCI이론에 입각하여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디지털과 미디어의 발달은 현실성과 가상성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대적 의미와 체험을 통한 관계 지향적 경향을 보인다.
  • 본 논문의 독자적 연구성을 높이기 위해 공간에서 나타나는 미디어 특성에 대한 이용자와의 관계성을 연구한 논문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를 분석 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났던 공간 개념과 이용자와의 관계성 연구를 HCI 관점에서 분석하여 공공공간에서 나타나는 미디어 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이러한 개념은 현대 공간 표현방법에 있어 비-물질화 경향과 체험적 공간디자인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통해 공간 내-외부에서 목적에 따라 이미지를 전송하는 미디어 기술에 따른 HCI 이론의 발전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지금까지 공간 내에 고정되고 정적으로 머물러 있던 환경이 미디어 기술과 HCI이론에 따른 미디어 공간 환경과 상호작용성에 관한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시대를 기반으로 발달한 미디어로 인해 진화하는 현대사회의 현상이 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인간의 소통이 발생하는 공공공간에 기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을 통하여 공공공간의 개념, 기능, 지향점과 미디어 기술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HCI이론과 상호작용성에 대한 관계성을 분석하고 공간개념의 시대별 변화를 알아본다.
  • 이러한 맥락에서 HCI의 학문은 인터렉션 디자인과 같은 맥락을 이루고 있다. 인터렉션 디자인 역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시각적, 물리적 형태와 기능에 앞서 사용자의 지각, 인식, 행동 유행과 그를 둘러싼 환경 그리고 행해지는 일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행한다.9) 학습이나 정보를 취하는 데는 모든 감각을 동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가설 설정

  • 인터렉션 디자인 역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시각적, 물리적 형태와 기능에 앞서 사용자의 지각, 인식, 행동 유행과 그를 둘러싼 환경 그리고 행해지는 일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행한다.9) 학습이나 정보를 취하는 데는 모든 감각을 동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여러 미디어를 같이 사용할수록 정보 효과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술과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변해지고 그 적용 영역이 넓어지고 있으나 공간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공간과 이용자간 상호작용성에 대한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CI의 특성은? HCI는 사람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시스템이 사람과 잘 어울려서 주어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이 둘 사이의 상호작용 방법과 절차를 설계하고 평가하는 것이며 이는 단순히 시스템의 외관만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시스템이 서로 협력하여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HCI의 학문은 인터렉션 디자인과 같은 맥락을 이루고 있다.
공공공간이란? 공공공간은 공공과 공간이라는 단어가 결합하여 생긴 말로 공공성을 내포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공간으로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으며 사회적인 합의를 바탕으로 구축된 구성원 전체의 공통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에서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요소가 있음에 따라 알 수 있는것은? 디지털 미디어의 큰 특징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요소에 있다. 이는 미디어에 의한 정보의 교류가 유기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뜻하며 동시에 선형적이고 계획된 방식이 아닌 비선형적이고 스토리텔링적 방식으로 소통됨을 알 수 있다. 미디어가 적용된 공간에서 나타나는 HCI의 이론이 기반된 공간에서도 행위의 주체인 인간은 공간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교류를 하고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비선형적 공간의 스토리를 경험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타카하시 나가사와 야스시 니시무라 신야, 환경과 공간, 정무웅 정혁진 역, 태림문화사, 2001 

  2. A. N. Whitehead, 과학과 근대세계, 오영환 역, 서울: 신광사, 1989 

  3. Clement Mok, 디지털 시대의 정보디자인, 김옥철 역, 안그라픽스, 1999 

  4. Chasles Jencks, 건축2000, 박향섭 역, 법문출판사, 1991 

  5. Hight, Christopher, Perry, Chris, Collective Intelligence in Design, AD, Wiley, 2006 

  6. Garcia, MARK, Architextiles, JohnWiley & SonsInc, 2007 

  7. 강성중 권영걸, 공간에서의 인터렉션 디자인 개념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3호 통권 50호, 2005 

  8. 김민선, HCI 개념을 적용한 공공공간 디자인 연구, 이화여대 석논, 2007 

  9. 지동철, 공간에 적용된 다이나믹 유저 인터페이스의 유형분석 연구, 숭실대 석논, 2010 

  10. 서경원 임경란,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시공간 개념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통권 61호, 2007 

  11. 서동진, 감성커뮤니티를 위한 디지털 매개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 2001 

  12. 이상민 차주영 임유경, 도시 공공공간 개선방향 설정을 위한 개념 정립 및 현황 조사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8 

  13. 이보임 강성중, 공간 콘텍스트의 유형에 따른 공공공간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적용 방법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권 2호,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