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미 불산 누출사고 지점 주변 식물의 불소화합물 농도 분포 및 공기 중 불화수소 농도 추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Fluorides in Plants and the Estimation of Ambient Concentration of Hydrogen Fluoride Around the Area of the Accidental Release of Hydrogen Fluoride in Gumi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9 no.4, 2013년, pp.346 - 353  

구슬기 (원진재단부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최인자 (원진재단부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김원 (원진재단부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선옥남 (원진재단부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김신범 (원진재단부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이윤근 (원진재단부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the foliar fluorine content of vegetation surrounding the area where hydrofluoric acid was accidently released in Gumi, Gyeongsangbuk-do on September 27, 2012. In addition, it also aims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불산 누출 사고 피해지역의 식물을 대상으로 불소 농도를 분석하여 주변 환경의 오염 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사고 당시의 공기 중 불화수소 농도 수준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관계식에는 축적계수(K)와 분석한 식물 중의 불소농도(F)를, 노출시간(T)에는 1일을 대입하여 공기 중 농도(C)를 계산하였다. 노출시간(T)은 탱크 밸브가 열린 채로 8시간 동안 누출되었으므로, 하루 동안 개방된 형태로 식물에 노출되었다는 것을 가정하여 1일로 산정하였다. 최종 공기 중 농도는 ppm으로 계산하였으며, 불화수소 분자량은 20.
  • 사고 지점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농도 분포를 확인 하기 위해 바람의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거리를 측정하고 해당 위치에서 고사된 식물을 채취하였다. 사고 발생 지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식물 잎의 채취 시, 대상 식물 종의 군락은 사고 당시 균일한 공기 중 농도의 불화수소에 노출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채취 대상으로 동일 식물 종의 군락 중 접근 가능한 임의의 수목을 선정하여 잎이 난 가장 낮은 곳, 중간 지점, 높은 지점까지 총 3곳에서 채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산은 주로 어디서 사용되는가? 이번 사고의 원인 물질인 불산은 주로 냉매제인 탄화불소(fluorocarbon), 고옥탄가의 가솔린, 플라스틱, 항공기 부품 및 반도체의 제조에 사용되어 왔다. 그 외에도 알루미늄 제련소, 인산 비료공장, 유리나 벽돌 및 타일 가공 산업 혹은 플라스틱 공장 등에서 석탄, 광물, 점토와 같이 불소가 함유되어있는 물질을 고온으로 가열하면 부산물로 불화수소가 발생한다.
거리에 따른 불소와 불화수소의 농도 추이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 분석으로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나? 통계 분석으로는 거리에 따른 불소와 불화수소의 농도 추이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특정 거리 범위 간의 불소 및 불화수소 농도의 통계적 차이 검정에는 Wilcoxon rank sum test를 실시하였다.
인체가 불화수소에 노출될 경우에 이차적으로 어떤 건강 영향이 일어나는가? 인체가 불화수소에 노출될 경우에는 부식성이 강한 특성 때문에 일차적인 급성 영향으로 피부 및 안구의 자극이나 화상, 기관지 궤양, 폐부종이 발생하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3,10,11) 이차적으로는 만성 노출로 인한 불소 침착증(fluorosis) 등의 건강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3,10,12) 불화수소가 체내에 유입된 경우, 수 시간 내에 나타나는 급성영향이 크며, 소변을 통해 대부분의 양이 24시간 이내에 배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Lee YG. Workshop report on the problems and action strategy on recent chemical accident release: Cases of Samsung Electronics and Gumi - Reform required to secure the right to know for the residents. Seoul: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13. 

  2. Park TJ. Gumi confirms 55.4 billion won compensation fund for hydrofluoric acid release. Kyongbukilbo. 6 March, 2013. 

  3. ATSDR. Toxicological profile for fluorides, hydrogen fluoride, and fluorine. Atlanta: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2003. 

  4. Arnesen AKM, Abrahamsen G, Sandvik G, Krogstad T. Aluminium-smelters and fluoride pollution of soil and soil solution in Norway. Sci Total Environ. 1995; 163(1-3): 39-53. 

  5. Haidouti C, Chronopoulou A, Chronopoulos J. Effects of fluoride emissions from industry on the fluoride concentration of soils and vegetation. Biochem Syst Ecol. 1993; 21(2): 195-208. 

  6. Franzaring J, Klumpp A, Fangmeier A. Active biomonitoring of airborne fluoride near an HF producing factory using standardised grass cultures. Atmos Environ. 2007; 41(23): 4828-4840. 

  7. Koblar A, Tavear G, Ponikvar-Svet M. Effects of airborne fluoride on soil and vegetation. J Fluor Chem. 2011; 132(10): 755-759. 

  8. Vike E. Uptake, deposition and wash off of fluoride and aluminium in plant foliage in the vicinity of an aluminium smelter in Norway. Water Air Soil Pollut. 2005; 160(1-4): 145-159. 

  9. Cooke JA, Johnson MS, Davison AW. Determination of fluoride in vegetation: A review of modern techniques. Environmental Pollution (1970). 1976; 11(4): 257-268. 

  10. Wing JS, Sanderson LM, Brender JD, Perrotta DM, Beauchamp RA. Acute health effects in a community after a release of hydrofluoric acid. Arch Environ Health. 1991; 46(3): 155-160. 

  11. Peters D, Miethchen R. Symptoms and treatment of hydrogen fluoride injuries. J Fluor Chem. 1996; 79(2): 161-165. 

  12. Erdal S, Buchanan SN. A quantitative look at fluorosis, fluoride exposure, and intake in children using a health risk assessment approach. Environ Health Perspect. 2005; 113(1): 111-117. 

  13. Carpenter R. Factors controlling the marine geochemistry of fluorine. Geochim Cosmochim Acta. 1969; 33(10): 1153-1167. 

  14. NIER. Report on the Stat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mergency Plan of Accidental Release of Hydrogen Fluoride in Gumi.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15. Jacobson JS, Heller LI. A simple, rapid potentiometric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fluoride in vegetation. Environmental Letters. 1971; 1(1): 43-47. 

  16. Horntvedt R. Accumulation of airborne fluorides in forest trees and vegetation. Eur J Forest Pathol. 1997; 27(2): 73-82. 

  17. Surface Weather Observation Dat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vailable: http://www.kma.go.kr/ weather/observation/past_cal.jsp?stn279&yy2012 &mm9&x24&y11&obs12012 [accessed 3 May 2013] 

  18. Krelowska-Kulas M. Content of fluorine in vegetables and fruits from an industrial area. Nahrung. 1994; 38(4): 397-401. 

  19. ACGIH. 2012 TLVs and BEIs: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2012. 

  20. MOEL. Exposure Standard of Chemicals and Physical Parameters.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2; 39-42. 

  21. Weinstein LH. Fluoride and plant life. J Occup Environ Med. 1977; 19(1): 49-78. 

  22. Doley D. Experimental analysis of fluoride susceptibility of grape vine (Vitis Vinifera L.): Foliar fluoride accumulation in relation to ambient concentration and wind speed. New Phytol. 1984; 96(3): 337-351. 

  23. Sylvester AW, Parker-Clark V, Murray GA. Leaf shape and anatomy as indicators of phase change in the grasses: comparison of maize, rice, and bluegrass. Am J Bot. 2001; 88(12): 2157-2167. 

  24. McKenney TC. Differentiation of sterile specimens of Nyssa sylvatica Marsh. and Diospyros virginiana L. Castanea. 1967: 186-189. 

  25. Raman A, M CJE. The anatomical features of powdered Ginkgo biloba L. leaf as observed by light microscopy. J Med Food. 1998; 1(2): 89-95. 

  26. Christie K, Currie M, Davis LS, Hill M-E, Neal S, Ayers T. Rhamnaceae Buckthorn family. Canotia. 2006; 2(1): 23-46. 

  27. Nwachukwu C, Mbagwu F, Onyeji A. Morphological and leaf epidermal features of Capsicum annuum and Capsicum frutescens. Nature and Science. 2007; 5(3): 54-60. 

  28. Tanaka K, Yu H-C, Kim YS. Cultivation of Perilla. Perilla: CRC Press; 1997. p.9-17. 

  29. SEWPaC. Wild radish: Raphanus raphanistrum. Department of Sustainability, Environment, Water, Population and Communities, 2011. 

  30. Paris HS, Janick J, Daunay M-C. Medieval herbal iconography and lexicography of Cucumis (cucumber and melon, Cucurbitaceae) in the Occident, 1300-1458. Ann Bot. 2011; 108(3): 471-484. 

  31. Kortekamp A, Zyprian E. Leaf hairs as a basic protective barrier against downy mildew of grape. J Phytopathol. 1999; 147(7-8): 453-4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