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상예방교육이 내과병동 노인 환자의 낙상 관련지식,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the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on activity of the Elderly Hospitalized in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0 no.2, 2013년, pp.102 - 111  

정명실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the fall-related knowledge, prevention activity of the elderly hospitalized in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대상자인 환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도중과 교육도중 원하면 언제라도 중단할 수 있으며, 설문지에 대한 응답을 거부하거나 응답 중 중단하는 경우라도 어떠한 불이익도 없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그런 다음 대상자에게 연구참여 서면 동의서를 받았고 설문지 작성이 어려운 환자는 직접 설문내용을 읽어주고 답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내과 병동에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예방교육을 실시하여 간호중재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낙상예방교육이 내과병동에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의 낙상 관련지식,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내과 병동에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예방교육이 낙상 관련지식,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낙상은 병원에 입원한 노인 환자에게 자주 발생하는 문제이므로(Coussement et al.
  •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 내과병동에 입원해 있는 65세 이상의 내과계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예방교육이 낙상 관련지식,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실험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물 사용 횟수가 많고 낙상 관련 동반 질환이 많은 내과병동에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교육을 실시하여 예방교육 전 ‧ 후의 낙상 관련지식, 낙상예방행위 정도에 대한 간호중재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3. 낙상예방교육 실시 후 실험군의 낙상 관련지식이 높을 수록 낙상예방행위는 높을 것이다.
  • 가설 3. 낙상예방교육 실시 후 실험군의 낙상 관련지식이 높을 수록 낙상예방행위는 높을 것이다.
  • 가설 1. 낙상예방교육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낙상 관련지식 정도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낙상예방교육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낙상예방행위 정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상사고는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주요사고 중의 하나로서 여러 가지 복합적인 건강문제를 유발한다(Evans, Hodgkinson, Lambert, & Wood, 2001; Ivziku, Matarese, & Pedone, 2011). 낙상사고는 대상자들의 재원기간을 장기화하고 추가 검사나 수술, 재활치료 등 의료비용을 증가시켜 의료과실 소송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Hendrich, Bender, & Nyhuis, 2003; Kim & Suh, 2002). 따라서 병동에서는 낙상 방지 등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관심도 제고를 위하여 계속해서 그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낙상이란 무엇인가? 낙상이란 갑자기 비의도적인 자세 변화로 인해 바닥에 주저앉거나 넘어지는 것을 의미한다(Fuller, 2000). 본 연구에서는 입원 환자가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내재적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낙상사고로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져서 신체가 바닥에 닿은 것으로 정의하였다.
낙상은 주로 노인 환자에게서 발생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8). 이는 노화과정에 따른 골격근의 양과 질의 감소로 인하여 다른 연령층보다 낙상위험이 10배 정도 높아지기 때문이다(Miller, 2002). 즉 신체의 힘과 균형 감각이 감소하여 낙상사고가 자주 발생하며 약 30%는 찰과상, 염좌와 같은 의학적 주의를 요하는 상해를 동반하고 약 10%는 골절을 유발한다(Berry & Miller,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rry, S. D., & Miller, R. R. (2008). Falls: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relationship to fracture. Current Osteoporosis Reports, 6 (4), 149-154. 

  2. Boyd, R., & Stevens, J. A. (2009). Falls and fear of falling: Burden, beliefs and behaviours. Age and Ageing, 38 (4), 423-428. http://dx.doi.org/10.1093/ageing/afp053 

  3. Cameron, I. D., Murray, G. R., Gillespie, L. D., Robertson, M. C., Hill, K. D., Cumming, R. G., et al. (2010).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in older people in nursing care facilities and hospitals, database systematic review. Wiley Online Library.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5465.pub2 

  4. Cha, K. S., Beak, S. M., & Cho, O. H. (2012). Effects of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the variables related to using orthosis and fear of falling in fracture patients wearing the leg orthosi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9 (2), 131-141. http://dx.doi.org/10.5953/JMJH.2012.19.2.131 

  5. Chen, J. S., March, L. M., Schwarz, J., Zochling, J., Makaroff, J., Sitoh, Y. Y., et al. (2005). A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predicted falls in residents living in intermediate hostel care.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8 (5), 503-508.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04.08.018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 Coussement, J., Paepe, L., Schwendimann, R., Denhaerynck, K., Dejaeger, E., & Milisen, K. (2008).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in acute and chronic care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6 (1), 29-38.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7.01508.x 

  8. Deery, H. A., Day, L. M., & Fildes, B. N. (2000). An impact evaluation of a falls prevention program among older peopl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2 (3), 427-433. http://dx.doi.org/10.1016/S0001-4575 (99)00043-3 

  9. Ennett, S. T., Tobler, N. S., Ringwalt, C. L., & Flewelling, R. L. (1994). How effective is drug abuse resistance education? A meta-analysis of Project dare outcome evaluation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4 (9), 1394-1401. 

  10. Evans, D., Hodgkinson, B., Lambert, L., & Wood, J. (2001). Falls risk factors in the hospital setting: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7 (1), 38-45. http://dx.doi.org/10.1046/j.1440-172x.2001.00269.x 

  11. Fischer, I. D., Krauss, M. J., Dunagan, W. C., & Birge, S. (2005). Patterns and predictors of inpatient falls and fall-related injuries in a large academic hospital.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rmiology, 26 (10), 822-827. http://dx.doi.org/10.1086/502500 

  12. Fuller, G. F. (2000). Falls in the elderly.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 61 (7), 2159-2168. 

  13. Hendrich, A. L, Bender, P. S., & Nyhuis, A. (2003). Validation of the Hendrich II fall risk model: A large concurrent case/control study of hospitalized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16 (1), 9-21. http://dx.doi.org/10.1053/apnr.2003.016009 

  14. Hill-Westmoreland, E. E., Soeken, K., & Spellbring, A. M. (2002). A meta analysis of fall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Nursing Research, 51 (1), 1-8. 

  15. Ivziku, D., Matarese, M., & Pedone, C. (2011). Predictive validity of the Hendrich fall risk model II in an acute geriatric uni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8 (4), 468-474.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0.09.002 

  16. Kim, C. G., & Suh, M. J. (2002).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9 (2), 210-228. 

  17. Kim, E. K., Lee, J. C., & Eom, M. R. (2008). Falls risk factors of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5), 676-684. http://dx.doi.org/10.4040/jkan.2008.38.5.676 

  18. Kim, M. Y. (2008). Fall-related knowledge and prevention behavior among hospitalized elderly in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9. Lee, H. M. (2008). Medication use and falls in in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Miller, C. A. (2002). The connection between drugs and falls in elders. Geriatric Nursing, 23 (2), 109-110. http://dx.doi.org/10.1067/mgn.2002.123794 

  21. Mores, J. M. (2002). Enhancing the safety of hospitalization by reducing patient fall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0 (6), 376-380. http://dx.doi.org/10.1067/mic.2002.125808 

  22. Nurmi, I. S., Luthje, P. M., & Kataja, J. M. (2004). Long term survival after falls among the elderly in institutional car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38 (1), 1-10. http://dx.doi.org/10.1016/S0167-4943 (03)00079-7 

  23. Park, K. H. (2011). The effects of the precautional education of fall down on the fall-related knowledge, attitude, precautional activity of guardians of hospiltaliz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4. Roach, S. S. (2001). Introductory gerontological nursing. Philadelphia: Lippincott. 

  25. Sarah, N. H., Andrew, J. M., David, G., & Couteur, L. (2007). Clinical pharmacology in the geriatric patient. Fundamental & Clinical Pharmacology, 21 (3), 217-230. http://dx.doi.org/10.1111/j.1472-8206.2007.00473.x 

  26. Scheffer, A. C., Schuurmans, M. J., Dijk, N., Hooft, T., & Rooij, S. E. (2008). Fear of falling: Measurement strategy, prevalence,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among older persons. Age and Ageing, 37 (1), 19-24. http://dx.doi.org/10.1093/ageing/afm169 

  27. Shin, K. R., Shin, S. J., Kim, J. S., & Kim, J. Y. (2005).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activity related to fall, and depression of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 104-112. 

  28. Zijlstra, G. A., Jolanda, C. M., Erik, Jacques, T. M., Yardley, L., & Kempen, J. (2007). Interventions to reduce fear of falling in community-living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5 (4), 603-615.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7.01148.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