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보건교과 운영차시별 건강지식, 건강태도 및 건강행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Health Knowledge, Health Attitude and Health Behavior Based on the Hours of Health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7 no.2, 2013년, pp.304 - 312  

차영숙 (장흥고등학교) ,  최순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health knowledge, health attitude and health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hours of health educational parameters imparted. Methods: After obtaining informed consent from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from 474 middle school stud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교과 운영차시에 따라 중학생들의 건강지식, 건강태도 및 건강행위 정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비교하는 서술적 상관성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학생의 건강지식, 건강태도 및 건강행위 정도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지식, 건강태도 및 건강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보건교과 미운영, 운영17차시, 운영34차시별 건강지식, 건강태도 및 건강행위 정도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자는 현 보건교과내용 중심의 34차시 보건교과 운영과 기존의 교과운영에 따라 중학생의 건강지식, 건강태도, 건강행위 정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바람직한 보건교과 운영시간을 제시하여 보건교과가 필수교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초·중등 교육과정 부분 수정고시에 의한 개정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중학교는 2009학년도에 1개 학년에서 재량활동 시간에 보건교육을 연간 17시간 이상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보건교과 운영차시에 따라 중학생의 건강지식, 건강태도, 건강행위 점수의 차이를 파악하여 적절한 보건교과 운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계적인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Statistics Korea, 2009). 보건교육이 성인보다 더 효과적이고 사회․경제적 비용감소와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인식하에 학생, 학부모, 교사들 사이에 체계적인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저 출산과 고령화 사회로 초등학생과 중학생 수가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므로 어린 학생들의 건강관리를 잘하는 것도 국가의 중대한 책무가 되었다(Lee, J.
우리나라의 보건교과 운영 현황은 어떻게 되는가? 정부는 2008년 9월 ‘2008 개정교육과정’을 고시하게 되었고, 이 개정교육과정이 시행되던 2009년 첫해에는 전국의 약 90%정도의 학교가 보건교육을 실시하였으나, 2010년부터 일부 중고등학교에서는 보건을 선택과목으로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2011년에는 중․고등학교 전체의 10%에도 못 미치는 정도에서 보건을 선택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다(Health Education Forum, 2011). 2011년 전남지역 중학교 보건교과 운영 현황은 15.
학교 보건교육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학교 보건교육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습경험을 제공하여 그들의 질병예방뿐 만 아니라 건강의 유지․증진과 의사결정기술을 함양하고 개인적 책임감을 형성시켜서 건강관련 지식, 태도 및 건강행위 실천 습관을 발달시키게 된다(Yoo, 2010).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인 암,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자살, 당뇨병 중 대부분은 어렸을 때부터 바람직한 생활습관이 형성된다면 거의 예방 가능한 질병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ng, J. H. (2009).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in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2. Cha, M. H., Kim, S. E., Park, K. M., Lee, H. R., Jeong, H. S., Ju, J. H., & Choi, M. H. (2010). Middle School Health. Seoul.: Donghwasa. 

  3. Cho, C. M. (2009). The effects of regular health education affecting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o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2(2), 49-59. 

  4. Choi, G. H. (2000). A study on middle?high school students health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ung Hee University, Seoul. 

  5. Eum, J. S. (2004). Effects of a parent-involvement sex education program for high primary-school grad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8(1), 143-153. 

  6. Health Education Forum (2011). Health Education Status Analysis, Retrieved November 2, 2011, from http://www.gsy.or.kr/news release 

  7.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2011). Select the Current Status of Regular Health Education. Chonnam: Author. 

  8. Jung, H. J., Kim, C. Y., Cho, B. L., Yoo, S. H., Lee, S. B., Bang, E., Yoon, J. Y., & Lee, J. H. (2010). Middle School Health. Seoul: Chunjae Education. 

  9. Jung, Y. H., Choi, Y. H., & Kim, N. Y. (2012).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6-27. 

  10. Lee, G. Y., Sim, I. O., Mun, Y. J., & Song, Y. H. (2010). Effects on heal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08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2), 151-161. 

  11. Lee, J. Y., Kim, Y. G., Ho, E. G., Ji, H. Y., Cho, S. N., & Jung, M. H. (2010). Health Education Statu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y National Health Education Guidelin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2), 172-180. 

  1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2008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notice. Seoul: Author. 

  13. No, H. I. (2003).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health knowledge to health attitude and health practical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Park, M. H. (1982). Knowledge, practice of health and needs toward health educ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5. Park, K. M. (2011). The effects of school health education through lessons on health knowledge, health attitude and health behavio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16. Song, M. H. (2005). Effect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program 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iu. 

  17. Statistics Korea (2009). 2008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August 4, 2010, from http://www.kostat.go.kr/Statisticalunderstanding/Health, social, welfare/Cause of Death Statistics 

  18. Woo, O. Y. (2011). A Comparative study of the act related to health subject and curriculum operating system in Korea and Finland. Journal of Low of Education, 23(1), 149-178. 

  19. Woo, O. Y., Ku. M. U., Kim, G. J., Kim, M. S., Sin, S. G., Lee, J. H., Ji, H. Y., & Hwang, J. S. (2010). Middle School of Health. Seoul.: Institute for Better Education. 

  20. Yang, H. S. (2001).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health symptom, health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1. Yoo, E. H. (2010). A health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operation of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P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