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기술훈련 기반 학교 보건교육이 중학생의 건강지식, 태도, 실천 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hool Health Education based on Life Skill Trai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8 no.3, 2015년, pp.211 - 219  

이은영 (관천 초등학교) ,  김정남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based on life skill training (LST) on middle school students'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Methods: For this study, 961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Korea, were selected. The students receiv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에 대한 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데 그쳐서는 안 되며 지식습득을 통한 태도 및 실천행위의 변화로 이어질 때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지킬 수 있는 건강 생활습관이 형성된다. 이에 본 연구는 Botvin의 LST을 활용한 보건교육이 중학생들의 건강지식, 태도, 실천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LST 기반 학교 보건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Botvin, 1988). 좀 더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살펴보면 의사결정, 문제해결능력개선, 흥분, 분노, 좌절감 등에 맞서는 방법, 매체의 영향을 파악, 분석, 해석하고 적절히 저항하는 능력, 개인행동변화 및 자기개선의 적절한 목표 설정 및 자기 모니터링, 자기 강화법 교육을 포함한 개인관리기술을 지도하고, 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대화, 칭찬기법, 남녀 사이의 관계, 언어 비언어적 주장행동 등을 포함한 사회적 기술을 지도하여 학생의 일반적 사회적 능숙함을 향상 시키고자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들(중1~고3)의 흡연률은 어떠한가? 2014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들(중1~고3)의 흡연률은 2005년11.8 %에서 9.2%로 2.6% 감소하였다. 하지만 전자담배 사용 청소년 비율이 2014년 현재 5%인 것을 감안하면 실제적 흡연률은 증가 했다고 볼 수 있다.
G*Power 표본수 계산 프로그램은 무엇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하였는가? 최소 연구대상자 수를 산출하기 위해 G*Power 표본수 계산 프로그램(Franz, Edgar, Axel., & Albert.
2014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결과, 청소년 음주율은 어떤 변화를 보였는가? 하지만 전자담배 사용 청소년 비율이 2014년 현재 5%인 것을 감안하면 실제적 흡연률은 증가 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청소년 음주율은 2005년 27%에서 2014년 16.7%로 감소하였으나 위험 음주율은 2005년 44.2%에서 2014년 47.5%로 오히려 상승하였고 신체이미지 왜곡 인지율은 2008년 28.2%에서 2014년 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ewJersey: Prentice Hall. 

  2. Botvin, G. J., Eng, A., & Williams, C. L. (1980). Preventing the onset of cigarette smoking through Life Skills Training. Preventive Medicine, 9(1), 135-143. 

  3. Botvin, G. J., & Eng, A. (1982). The efficacy of a multicomponent approach to the prevention of cigarette smoking. Preventive Medicine, 11(2), 199-211. 

  4. Botvin, G. J., Renick, N., & Baker, E. (1983). The effects of scheduling format and booster sessions on a broad-spectrum psychosocial approach to smoking preventio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6(4), 359-379. 

  5. Botvin, G. J., Dusenbury, L., Baker, E., James-Ortiz, S., Botvin, E. M., & Kerner, J. (1992). Smoking prevention among urban minority youth: Assessing effects on outcome and mediating variables. Health Psychology, 11(5), 290-299. 

  6. Botvin, G. J. (1988). Preventing adolescent drug abuse through life skills training: Theory, evidence of effectiveness, and implementation issues. In J. Crane(Ed.), Social Programs That Work, 39-50. 

  7. Botvin, G. J., Griffin, K. W., Daiz, T., & Ifill-Williams, M. (2001). Drug abuse prevention among minority adolescencts: Posttest and one year follow up of a school based preventive intervention. Prevention Science, 2(1), 1-13. 

  8. Botvin, G. J., Griffin, K. W., Paul, E., & Macaulay, A. P. (2008). Preventing tobacco and alcohol us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life skills training.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Substance Abuse, 12(4), 1-17. 

  9. Botvin, G. J., & Griffin, K. W. (2014). Life skills training: Preventing substance misuse by enhancing individual and social competence. New Directions for Youth Development, 14(1), 57-65. 

  10. Botvin, G. J., Griffin, K. W., & Williams, C. (2015). Preventing daily substance use among high school students using a cognitive behaviour competence enhancement approach. World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3), 48-53. 

  11. Chun, H. S. (2015). Effects of smoking, drinking and drug use on the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by using the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rough from 2008 to 201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8(2), 99-110. 

  12. Franz, F., Edgar, E., Axel, B., & Albert, G. L.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13. Hong, J. E., & Kwang, H. S. (2003). The effect of substance abuse prevention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 focused on alcohol and smoking.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3), 61-76. 

  14. Hong, M. S., & Chung, H. S. (2014).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smoking level and suicidal ideation of youth.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1), 50-57. 

  15. Jessor, R., & Jessor, S. L. (1977). Problem behavior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A longitiudinal study of youth. New York: Academic Press. 

  16. Kim, H. K., Kwon, E. J, Lim, J. H., Jung, H. I., Cha, J. K., Cho, S. K., et al. (2011). The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clinics in the Korean armed forces: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life skill approach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4),79-94.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November 3).The online research of health behaviour in youth. Retrieved December 14, 2014, from http://yhs.cdc.go.kr/new/?cpds&s1&gbnviewok&sp&sw&ps10&gp1&ix8.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october 15). Number of students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Retrieved October 15, 2015,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SCHOOL&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19. Lee, A. J. (2004).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life skill trai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Lee, S., Aos, S., Drake, E., Pennucci, A., Miller, M., & Anderson, L. (2012). Return on investment: Evidence-based options to improve statewide outcomes(11-07-1201B). Washington: Washington Stat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21. Mahdi M., Tahere H., & Parvaneh T. (2014). Effect of life skills training on drug abuse preventive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5(5), 577-583. 

  22.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1). Middle school curriculum(2011-361). Seoul: The Ministry of Education. 

  23. Washington State Institute for Public. (2013. November). Benefits and costs of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youth. Retrieved November 11, 2013, from http://www.wsipp.wa.gov/ReportFile/1396/Wsipp_Prison-Police-and-Programs-Evidence-Based-Options-that-Reduce-Crime-and-Save-Money_Full-Report.pdf 

  24. Yim, Y. S. (2003). Study on the effect of life skills training program on smoking high school girls: Focus on the decrease in amount of smoking through life skill adv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Zollinger, T. W., Saywell, R. M., Muegge, C. M., Wooldridge, J. S., Cummings, S. F., & Caine, V. A. (2003). Impact of the life skills training curriculum on middle school students tobacco use in marion county, Indiana, 1997-2000. Journal of School Health, 73(9), 338-3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