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소음성 난청 예방교육의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 on the Prevention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Adolescence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7 no.2, 2013년, pp.357 - 371  

김홍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to the prevention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A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신념 모델에 근거하여 소음성 난청 예방교육을 개발·적용하고, 교육 전·후 건강신념 변화 분석을 통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는 학교에서의 청소년 소음성 난청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어 질 것이다.

가설 설정

  • 제 1 가설 : 실험군의 지각된 민감성은 중재 후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 제 2 가설 : 실험군의 지각된 심각성은 중재 후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 제 3 가설 : 실험군의 지각된 유익성은 중재 후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 제 4 가설 : 실험군의 지각된 장애성은 중재 후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 제 5 가설 : 실험군은 예방교육 후 시점별로 건강신념(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의 변화를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청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보건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6%에서 실시되고 있다(Kann, Telljohann, &Wooley, 2007).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전체 초·중·고의 65.1%만이 보건교사가 배치되어 있어(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12), 모든 학교에서 보건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2009년 개정 보건 교과서에서 청력장애 예방에 관한 내용은 한 단락에서 반 페이지 정도의 분량에 그치고 있어, 청각 건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다루기에는 제한적이다(Jung et al., 2011). 청소년 소음성 난청 예방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부각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서는 체계적으로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청소년 소음성 난청 증가의 원인은? 청소년의 경우 오랫동안 음향기기를 사용하거나 일일 사용 시간이 길수록 청력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는 등(Park et al., 2006), 과도한 음악소리는 청소년 소음성 난청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Daniel, 2007). 미국의 경우 12∼19세 청소년의 16.
보건교육 프로그램에는 어떠한 것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보건교육 프로그램은 건강행위변화 이론에 근거하여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전략이 포함되어야 한다. 건강신념모델에 의하면 건강행위 실천여부는 특정 행위가 특정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와 특정 결과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가치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ach, E. R., Williams, W., & Gilliver, M. (2012). A qualitative study of earplug use as a health behavior: The role of noise injury symptoms, self-efficacy and an affinity for music. Health Psychology, 17(2), 237-246. http://dx.doi.org/10.1177/1359105311412839 

  2.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12). Educat ion statistics. Retrieved April 15, 2013, from http://cesi.kedi.re.kr/ 

  3. Chung, S. K., & Kim, S. S. (2009). Health belief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drinking behavior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youth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lcohol Science, 10(1), 15-32. 

  4. Daniel, E. (2007). Noise and hearing loss: A review. Journal of School Health, 77(5), 225-231. http://dx.doi.org/10.1111/j.1746-1561.2007.00197.x 

  5. Gee, M. Y., Jeong, H. S., & Kim, Y. I. (200 4).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 educat ion on female workers' self-efficacy, health belief and practical intention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ea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3(2), 130-139. 

  6. Ghaffari, M., Tavassoli, E., Esmaillzadeh, A., & Hassanzadeh, A. (2012). Effect of Health Belief Model based intervention on promoting nutritional behaviors about osteoporosis prevention among students of female middle schools in Isfahan, Iran. J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1, 14. Retrieved July 17, 2013, from http://www.jehp.net/text.asp?2012/1/1/14/98572/. http://dx.doi.org/10.4103/2277-9531.98572 

  7. Glanz, K., Rimer, B. K., & Lewis, F. M. (2008).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San Fransisco: Jossey-Bass. 

  8.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3). Disease statistics. Retrieved May 7, 2013, from http://www.hira.or.kr/ 

  9. Henderson, E. B., Testa, M. A., & Hartnick, C. (2010). Prevalence of noise-induced hearing-threshold shifts and hearing loss among US youths. Pediatrics, 127(1), e39-e46. http://dx.doi.org/10.1542/peds.2010-0926 

  10. Hong, H. N., Kang, T. H., & Hong, B. N. (2013). Survey on the use of MP3 Player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to their hearing threshold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32(1), 56-63. http://dx.doi.org/10.7776/ASK.2013.32.1.056 

  11. Hong, Y. M., Lee, C. Y., Lee, K. H., Bae, S. H., Ham, O. K., & Han, J. H. (2004). Predicting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8(2), 218-224. 

  12. Jang, S. H., Yang, S. J., & Kim, S. J. (2012).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Belief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2), 227-238.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2.227 

  13. Jung, H. J., Kim, C. Y., Jo, B. R., Yoo, S. H., Lee, S. B., Bang, E., Yoon, J. Y., & Lee, J. H. (2011). Health. Seoul: Chunjae Education. 

  14. Kann, L., Telljohann, S. K., & Wooley, S. F. (2007). Health education: Results from the school health policies and programs study 2006. Journal of School Health, 77(8), 408-434. http://dx.doi.org/10.1111/j.1746-1561.2007.00228.x 

  15. Kim, E. J. (2009). Problems of Usage of Earphones, PCPs on Hearing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2(1), 107-118. 

  16. Kim, K. W., Jung, J. Y., & Suh, M. W. (2011). Effects of earphone style and noise environment on listening levels when using portable music players in the laboratory.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16(3), 408-415. 

  17. Kim, J. J. (2001). Hearing threshold as a func tion of age, sex, and frequency for Korean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18.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2). 2012 Internet use survey. Retrieved May 15, 2013, from http://www.kisa.or.kr/notice/pressView.jsp?modeview&p_No8&b_No8&d_No1009/ 

  19. Kwak, H. W., & Kim, N. H. (2012). Study on Relations among Use of Earphones, Stress, and Hearing Threshold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26-136.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126 

  20. Kwon, S. J., Kim, T. K., & Jung, H. Y. (2006). Comparison of the knowledge, attitude and the preventive behavior of noise according to noise-induced hearing loss prevention educa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5(1), 5-13. 

  21. Lee, C. H., Gu, E. J., & Bae, M. H. (2005). MP3.CD player, earphones use status and subjectively perceived hearing health surve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ealth Teacher, 15, 45-55. 

  22. Lee, E. J., & Kim, H. O. (2011). Effects of HPV vaccination educaton on college women's knowledge, health belief, and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1(5), 715-723.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715 

  23. Meyer-Bisch, C. (1996). Epidemiological evaluation of hearing damage related to strongly amplified music personal cassette players, discotheque, rock concerts: High-definition audiometric survey on 1364 sub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35(3), 121-142. 

  24. Moon, J. S. (1990).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5. Park, J. S., Oh, S. H., Kang, P. S., Kim, C. Y., Lee, K. S., Hwang, T. Y., & Sakong, J. (2006). Effects of the personal stereo system on hearing in adolescen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9(2), 159-164. 

  26. Rosenstock, I. M. (1974).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Health Education & Behavior, 2(4), 354-386. 

  27. Shamsi, M., Bayati, A., Mohamadbeygi, A., & Jajik, R. (2010).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HBM) on preventive behavior of self-medication in woman with pregnancy in Arak, Iran. Pejouhandeh, 14(6), 324-331. 

  28. The Korean Orthodontic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earing loss 7 Living Tips. Cheongwon: CDC. 

  29. Vogel, I., Brug, J., Hosli, E. J., van der Ploeg, C. P. B, & Raat, H. (2008). MP3 players and hearing loss: Adolescents' perceptions of loud music and hearing conservation. Journal of Pediatrics, 152(3), 400-404. http://dx.doi.org/10.1016/j.jpeds.2007.07.009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Deafness and hearing loss. Retrieved May 5, 2013,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00/en/index.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