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 재가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문헌 분석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A Literature Review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7 no.2, 2013년, pp.372 - 383  

조정민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trends of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Methods: To carry out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s (PICO) strategy, reviewed 241 publish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저소득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우리나라 저소득층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과 실무에 반영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저소득 재가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자녀의 수, 수입, 연령의 인구학적요인과 관절운동능력, 일상생활황동,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건강증진행위, 지각된 건강상태, 우울의 건강관련 요인, 가족지지, 재가복지서비스이용, 여가활동, 이웃의 수의 사회환경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삷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이전 연구들의 결과를 체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재가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저소득 재가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와 정책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수행된 저소득층 재가 환경의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에 영양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문헌들을 수집, 분석, 종합한 문헌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저소득층 노인의 보건·복지에 대한 정책결정과 실무 중재에 반영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삶의 질이란 삶의 전반적인 상황이나 삶의 경험들을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일상생활 전반에 걸친 삶의 만족으로서 인간의 생활에 주요한 개념이다. 삶의 질이란 개념이 갖는 추상성 때문에 만족감, 행복감, 안녕감 등이 관련된 유사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노인의 삶의 질에 자녀의 수를 변수로 확인한 연구중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의 삶의 질에 자녀의 수를 변수로 확인한 연구 중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Chae, & Oh, 1992)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Kim, Kang, & Kim, 2008) 에서는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어 저소득층 노인에게는 자녀와의 동거상태보다 자녀의 수가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 되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의 어려움으로 인해 자녀와의 동거는 일반노인들 보다 많은 제약과 어려움이 수반될 것으로 보여 저소득 노인에게는 오히려 자녀의 수가 삶의 질을 예측하는 변수로 확인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우선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여러 연구에서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우선적인 요소를 신체적기능이라고 보고하고 있고(Lane, 1987; Ro, 1988) 신체적 기능 중에서도 근력, 유연성, 균형감을 주요한 요인으로 밝히고 있다. 또한, 신체적 기능과 더불어 외로움, 고독감, 우울과 같은 정서적 상황과 사회적 지지도 노인의 삷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ae & Oh, 1992; Yang, Kim, & Kim,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 S. S., Kim K. S., & Choi, J. H. (2010). Quality of life older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3), 248-255. 

  2. Chae, S. W., & Oh, K. O. (1992). A study on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2(4), 552-568. 

  3. Choi, H.(1997). Health status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4. Chung, S. D., & Koo, M. J. (2011).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 Comparison among Babyboomers, the Pre-elderly, and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Welfare of the aged, 52, 305-324. 

  5. Egger, M., Smith G .D., & Altman, D. G. (2001). Systematic reviews of observational studies in systematic reviews in health care: Meta-analysis in context (2nd ed.) London: BMJ Books. 

  6. Im, S. Y. (2009).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single household elderly in urban poverty. The Journal of Living Culture Research, 24(1), 31-52. 

  7. Jang, Y. S. (2012). Suicide status and policy task of Korea. health.welfare Issue & Focus 165, 1-8. 

  8. Kim, H. K., Lee, H. J., & Park, S. M. (2010).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279-292. 

  9. Kim, H. R., Oh, K. S., Oh, K. O., Lee, S. O., Lee, S. J., Kim, J. A., Jun, H. Y., & Kang, J. H. (2008).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Korean Aged.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8(5), 694-703. 

  10. Kim, S, H., Kang, H. J., & Kim, Y. J. (2008). The effects of a social network for female elders living alone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on their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3(3), 51-71. 

  11.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Population movement estimation, retrieved November, 20, 2008,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 

  12. Kwon, J. D. & Cho, J.Y. (2000).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3), 61-76. 

  13. Kwon, Y. H., Kim, C. N.,& Kwak, O. G. (2011).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22(3), 262-271. 

  14. Lane, D. A. (1987). Utility, decision,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Chronic Disease, 40(6), 585-591. 

  15. Lee, S. H., & Yang, S. O. (2010). The effects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nd depres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Nursing, 21(1), 21-30. 

  16. Min, K. J.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daily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sung University, Seoul.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Present condition with recipi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guarantees(No 58). Seoul: Author. 

  18. Park, E. S., Kim, S. J., Kim, S. I., Jeon, Y. J., Lee, P .S., & Han, K. S. (1998).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Nursing, 6(2), 238-251. 

  19. Park, K. N. (2004). A study on quality of life on the aged along gender and area characteristics. Women, 21(2), 5-35. 

  20. Park, S. J. (2006).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nent of successful aging for the low-incom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21. Park, Y. R., Kwon, H. J., Kim, K. H., Choi, M. H., & Han, S. E. (2005).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self-esteem,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9, 237-258. 

  22. Park, J .H., & Bae, S. H. (2011). A systematic review of psychological distress as a risk factors for recurrent cardiac event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1(5), 704-714. 

  23. Peters, G. R. (1986). Primary-group support system of the aged. Research on Aging, 9(3), 392-416. 

  24. Ro, Y. J. (1988). An analytical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in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5. Saesayon Media Center, Seoul. (2013, July). Aging poverty rate of Korea 48.3%. Retrieved July 26, 2013, from http://sisun.tistory.com/1274 

  26. Sung, M. H., Lim, Y. M., & Joo, K. 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95-106. 

  27. Yang, S .H., Kim, S. M., & Kim, S. Y. (2001). A study of home health care need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1(1), 31-46. 

  28. Yim, E. S. (2002). Effect of physical abi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9. Yoon, M. S., & Cho, H. J. (2007). A study quality of life and drinking problem with rural and urban elderly. Korean Association Social Welfare conference sourcebook, 4, 515-523. 

  30. Wenger, E. M. (1994). Understanding support network and community care: Network assessment for elderly people(3rd ed.). England: Averbur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