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nalyzing the Effects of Policy PR on the Policy Support, Government Trus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7, 2013년, pp.190 - 202  

오경수 ((사)미디어전략연구소) ,  천명재 ((사)미디어전략연구소) ,  김희경 ((사)미디어전략연구소)

초록

정부가 정책PR을 수행하는 이유는 국민의 정책지지와 정부신뢰를 얻기 위한 것이다. 정책지지와 정부신뢰는 정부가 정책을 입안하고 수행하는데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동반성장 정책을 중심으로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반성장 정책PR 활동과 정책PR의 성과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수록 동반성장 정책과 동반성장 정책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동반성장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수록 동반성장 정책지지가 높아졌다. 셋째, 동반성장 정책지지가 높을수록 정부신뢰(전문성, 윤리성, 신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신뢰를 이끌어내는 효과적 수단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나아가 정부신뢰 제고를 위해서는 정책PR 뿐만 아니라 정책의 투명하고 공정한 집행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overnment has been doing policy PR to acquire policy support and government trust of people. Because it is believed that policy support and government trust of people can be a driving force of government activity.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government's policy PR o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정책PR 관련 기존 연구는 아직까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풍부한 상황이라고 보기 힘들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Grunig의 공공정보 모델에 입각하여 정책PR을 통해 정책정보 확산이 유발하는 공중의 태도변화 효과로서 정부지지와 정부신뢰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부신뢰, 정책PR, 정책지지의 상호연관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특히 정부신뢰가 매우 낮은 상황에서 정책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정책PR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정책PR을 정책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포함시켰다.
  • 또한 정책PR은 정책에 대한 국민의 동의와 지지를 이끌어내고 정부신뢰를 높이는 수단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동반성장 정책을 중심으로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동반성장 정책에 주목한 이유는 최근 산업의 융복합화와 기술의 복잡성 증대로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네트워크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경제적, 사회적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중요한 정책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특히 인터넷,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의 등장은 국민이 정책정보를 획득하고 의견을 표명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둘째,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추진 방식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것이다.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현대사회에서 정부가 다른 사회구성원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지 않은 채 정책을 추진할 경우 좌초될 가능성이 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utnam(1995)은 신뢰란 무엇이라고 했는가? Putnam(1995)은 신뢰가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근간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1]. 신뢰는 조직, 사회, 국가 등의 공동체가 집단생활을 영위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핵심가치라는 것이다[2].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무엇에 필수적인가? 신뢰는 조직, 사회, 국가 등의 공동체가 집단생활을 영위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핵심가치라는 것이다[2]. 특히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국가 공동체의 유지와 발전에 필수적이다.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정부와 국민의 협력적 가치를 증진시켜 정책의 효과성 제고에 기여하기 때문이다[3].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국가 공동체의 유지와 발전에 필수적인 이유는? 특히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국가 공동체의 유지와 발전에 필수적이다.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정부와 국민의 협력적 가치를 증진시켜 정책의 효과성 제고에 기여하기 때문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R. D. Putnam, "Tuning in, Tuning out: The Strange Disappearance of Social Capital in America," Political Science & Politics. Vol.28, pp.664-683, 1995. 

  2. 박희봉, 이희창, "신뢰와 정부경쟁력: 한중일 3국의 시민의식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20권, 제2호, pp.289-318, 2011. 

  3. 박희봉, 이희창, 조연상, "우리나라 정부신뢰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7권, 제3호, pp.45-66, 2003. 

  4. J. Citrin, "Comment: The Political Relevance of Trust in Government,"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Review, Vol.68, No.3, pp.973-988, 1974. 

  5. A. H. Miller, "Political Issues and Trust in Government: 1964-1970,"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68, No.3, pp.951-972, 1974. 

  6. 박종민, "정책 산출이 정부신뢰에 주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제25권, 제1호, pp.291-305, 1991. 

  7. J. S. Nye, "In Government We Don't Trust," Foreign Policy, Vol.108, pp.99-111, 1997. 

  8. 박종민, 배정현, "정부신뢰의 원인: 정책결과, 과정 및 산출", 정부학연구, 제17권, 제2호, pp.117-142, 2011. 

  9. http://www.pressbyp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73 

  10. K. Newton, "Trust, Social Capital, Civil Society, and Democracy,"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Vol.22, No.2, pp.201-214, 2001. 

  11. J. Grunig and T. Hunt, Managing Public Relation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4. 

  12. 이재광, 거버넌스, 정책 마케팅, 정책PR의 관계 - 지역개발정책에 대한 적용가능성 탐색,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3. 박선희, "성매매방지법의 정책PR 수행과정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 제6권, 제1호, pp.229-266, 2006. 

  14. 김공록, 문명제, "정책PR과 공중의 반응: 정보유형과 정보선호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07. 

  15. 신호창, 이두원, 행정 PR원론, 서울: 이화여자대학출판부, 2002. 

  16. 오현주, 기피사업에 대한 정부 정책PR 유형변화 분석: 방폐장 지역유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7. 차영란,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 활용 PR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103-116, 2013. 

  18. 이예종, 이주호, 변성수, 이재은, "재난관리 효과성 제고를 위한 재난관리 PR체계 개선방안: 소방방재청 '월간 재난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의 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338-346, 2011. 

  19. 김대희, 강창민, 양덕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홍보 효과성 제고방안: 제주특별자치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1호, pp.197-216, 2010. 

  20. 김영석, 설득커뮤니케이션, 나남, 2008. 

  21. R. Hardin, "Trust in Government," Braithwaite & Levi (Eds.), Trust and Government(pp. 9-27),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998. 

  22. S. Blackburn, "Trust, cooperation, and human psychology," In Valerie Braithwaite and Margaret Levi(ed.), Trust and Governance, (pp. 28-45),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998. 

  23. R. M. Kramer, "Trust and Distrust in Organizations: Emerging Perspective, Enduring Ques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9, pp.569-598, 1999. 

  24. V. A. Chanley,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Public Trust in Government,"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64, No.3, pp.239-256, 2000. 

  25. M. J. Hetherington, "The Political Relevance of Political Trust,"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92, No.4, pp.791-808, 1998. 

  26. 채원호, 손호중, "정책실패와 신뢰", 한국행정논집, 제17권, 제1호, pp.103-129, 2005. 

  27. L. G. Zucker, "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 1840-1920," In B. M. Staw and L. L. Cummings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8, pp.53-111, Greenwich, CT: JAI Press, 1986. 

  28. R. J. Lewicki and Barbara Benedict Bunker, "Developing and maintaining trust in work relationships," In R. M. Kramer & T. R. Tyler (Eds.), Trust in organizations, Thousand Oaks, CA: Sage, pp.114-139, 1996. 

  29. 이종수, "정부에 대한 신뢰와 그 결정요인", 사회과학논집, 제32권, pp.67-86, 2001. 

  30. 박순애, "정부에 대한 이해와 정부 신뢰의 관계: 우리나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0권, 제2호, pp.73-97, 2006. 

  31. http://www.winwingrowth.or.kr/introduce/construct.jsp 

  32. http://www.winwingrowth.or.kr/customer/notice.do 

  33.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11. 

  34. 송수근, 소셜미디어 시대의 정부홍보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5. 신호석, 이메일을 활용한 정부의 정책홍보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박정훈, 신정희, "정부신뢰, 정책효능성, 정책지지간의 연관성 실증연구: 주거지역 내 CCTV 설치정책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8권 제3호, pp.1-24,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