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 개발: 영어마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ask-based Program: Focused on English Villag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7, 2013년, pp.440 - 451  

임희주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원)

초록

영어마을은 한국 고유의 영어교육 모델로서, 2004년 최초 설립이래로 지금까지 전국적으로 설립 운영되어지고 있다. 이에 영어교육관계자들은 영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영어마을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영어마을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할만한 영어마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논문은 아직 미비하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영어마을 프로그램으로 과업중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현장으로 'A' 영어마을이 선정되었고, Brown[17]과 Long과 Crookes[36]가 제안한 모형을 바탕으로 영어마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7단계를 제시하고, 각각의 단계에 대한 설명과 활동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운영시 고려해야 될 점을 논의 하였고, 본 연구가 과업중심 어린이영어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glish village in Korea is an unique model for English education and a number of English village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since 2004. Although educators related to English education have acknowledged English village' growth,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development of English vill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몇 몇의 선행연구들은 프로그램의 방향제시나 제안 정도에 그치고 있고,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한 영어마을인 A 영어캠프1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과업중심(task-based)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모델 수업을 실행하여, 이에 따른 운영상의 고려할 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A 영어마을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떻게 프로그램이 보완·개선되어져야 하는가이다.
  • 앞에 언급한 선행연구에서 보듯이 영어마을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와 실행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영어마을 프로그램의 단점을 보완, 수정하는 절차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다음은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 정규프로그램(5일), 주말프로그램(2일), 방학프로그램(10일), 특별프로그램(1일)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규 프로그램의 수업과정에 중점을 두었다. 그 이유는 다른 프로그램들이 특정 기간에만 진행되는 것에 비해 정규 프로그램은 일 년 동안 연속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영어마을 프로그램 개발로 과업중심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고, A 영어마을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사례를 보여주었다. 영어마을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용할 시에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리고 이종복[9]의 연구에서는 개발과정을 재구성하는 절차를 보여주었다. 연구의 결과로 성공적인 프로그램의 운영 조건으로 정보공유의 필요성, 인적 네트워크의 구성 및 관리, 교사 및 스태프의 선발 및 교육, 학생선발, 부수적 효과에 대해 제안 하였다. 영어마을의 프로그램이 개발이나 평가 없이 운영 될 경우 경제적, 교육적 효과 저하에 대한 우려도 언급하였다.
  • 또한, 영어마을 프로그램 개발자들의 인터뷰 중 현 홈스테이 수업이 개발하기 가장 꺼려하는 수업 중의 하나였고, 적절한 수업내용을 구성하지 못해 거의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수업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 홈스테이 체험실에 대한 프로그램을 재 디자인하고 개발되었다.
  •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A 영어마을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떻게 프로그램이 보완·개선되어져야 하는가이다.
  • 둘째, 영어마을 체험수업에서 교육 보조자료가 과업 중심 프로그램에 맞게 제작되어지고 활용되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정해진 교재와 수업분량이 있는 학교 영어수업과 달리 영어마을의 체험수업은 실제와 같은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영어 구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제에 맞는 교육 자료를 수준별로 개발하고[13], 실재적인 언어자료를 충분히 제공해주어 언어습득 환경을 조성하거나[4], 학습자들의 지적호기심을 유발 할 수 있는 교재 및 학습자료를 보급[2]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업중심 언어교수는 무엇을 기초 분석의 단위로 보았는가? 이는 절차(procedure)[42], 과정(process)[14][16], 그리고 과업중심[36]이다. 이 중에서 과업중심 언어교수는 과업 (task)을 기초 분석의 단위로 보았다[23-25][32]. 넓은 의미에서 Crookes[23]는 과업은 “일이나 활동의 하나로, 대체적으로 특정 목적과 함께, 교육과정의 일부분으로써 착수된 연구를 위한 데이터를 끌어내기 위해 사용된,”(p.
교육과정 개발은 어떤 과정을 포함하는가? 교육과정 개발은 일반적으로 디자인, 실행, 그리고 평가를 포함한다[17][30][43]. 지난 40년간 언어교육과정 개발의 다양한 교육과정 모델과 과정들이 제안되어왔다[17][29][30][39][40][43][48-51].
과업중심 교수요목의 3가지 형태는 각각 무엇인가? 1980년대까지, 과업중심 교수요목의 3가지 형태가 제안되었다. 이는 절차(procedure)[42], 과정(process)[14][16], 그리고 과업중심[36]이다. 이 중에서 과업중심 언어교수는 과업 (task)을 기초 분석의 단위로 보았다[23-25][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강경옥, 정동빈, "영어마을 평가준거 모형 개발", 현대영미어문학, 제26권, 제4호, pp.143-167, 2008. 

  2. 강후동, 김미경, 이재희, 이선, "효과적인 초등학교 영어체험학습센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영어교육, 제63권, 제2호, pp.333-359, 2008. 

  3. 안정미, 정동빈, "영어마을 활성화를 위한 소프트화 방안연구", 영어영문학연구, 제34권, 제1호, pp.193-222, 2008. 

  4. 우충환, "영어체험관 수업 프로그램 운용에 관한 연구: 체험실별 학습자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현대영미어문학, 제27권, 제1호, pp.151-170, 2009. 

  5. 이병민, "EFL 영어학습 환경에서 학습시간의 의미", 외국어교육, 제10권, 제2호, 2003. 

  6. 이병민,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강사의 상호작용분석", 영어교육, 제64권, 제4호, pp.199-231, 2009. 

  7. 이병천, "역할놀이 중심 영어체험학습시설 활용 방안에 따른 초등영어 수준별 과제활동의 필요성", 초등영어교육, 제13권, 제3호, pp.5-33, 2007a. 

  8. 이병천, "초등학교 영어체험학습시설의 활용 실태 및 개선방안", 영어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pp.251-278, 2007b. 

  9. 이종복, "지역형 소규모 영어체험센터 프로그램개발 사례", 영어어문교육, 제14권, 제3호, pp.341-356, 2008. 

  10. 임희주,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task-based 'English village' curriculum in Korea, 미출간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2011a. 

  11. 임희주, "Needs analysis for effective English village curriculum in Korea", 영어학, 제11권, pp.627-647, 2011b. 

  12. 임희주, 김금선, "영어체험마을 학습모형에 대한 연구", 현대영미어문학, 제27권, 제3호, pp.225-246, 2009. 

  13. 김정오, "영어체험센터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461-470, 2012. 

  14. M. P. Breen, Process syllabus for the language classroom, In C. J. Brumfit (Ed.), General English syllabus design: ELT document, Oxford, UK: Pergamon Press, No.118, pp.47-60, 1984. 

  15. M. P. Breen, Learner contributions to task design, In C. Candlin & D. Murphy (Eds.), Language learning task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pp.23-46, 1987. 

  16. M. P. Breen and C. Candlin, "The essentials of communicative curriculum in language teaching," Applied Linguistics, Vol.1, pp.89-112, 1980. 

  17. J. D. Brown, The elementary of language curriculum: A system approach to program development, New York: Heinle & Heinle, 1995. 

  18. J. D. Brown, T. Hudson, J. M. Norris, and W. Bonk, An investigation of second language task-based performance assessments, Tech. Rep. No.24, Honolulu, HI: University of Hawaii, Second Language Teaching & Curriculum, 2002. 

  19. M. Bygate, P. Skehan, and M. Swain, (Eds.), Researching pedagogic tasks: Second language learning, teaching and testing, Harlow, UK: Longman, 2001. 

  20. C. N. Candlin, Syllabus design as a critical process: ELT documents, No. 118, London: Pergamon Press & The British Council, 1984. 

  21. C. N. Candlin, Toward task-based language learning, In C. N. Candlin & D. Murphy (Eds.), Lancaster practical paper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Language learning tasks, Vol.7, pp. 5-22,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7. 

  22. W. Y. Chang, Taiwanese elementary students'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s learning English in English village program in Kaohsiung count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lliant International University, 2010. 

  23. G. Crookes, Task classification: A crossdisciplinary review, No.4, Honolulu, HI: University of Hawaii, Center for Second Language Classroom Research,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1986. 

  24. G. Crookes and M. H. Long, "Task-based second language teaching: A brief report (Pt.1)," Modern English Teacher, Vol.24, pp.26-28, 1987a. 

  25. G. Crookes and M. H. Long, "Task-based second language teaching: A brief report (Pt.1)," Modern English Teacher, Vol.24, pp.20-23, 1987b. 

  26. C. J. Doughty and M. H. Long, "Optimal psycholinguistic environments for distance foreign language learning," Language Learning and Technology, Vol.7, pp.50-80, 2003. 

  27. R. Ellis, Task-base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8. A. Finch, English reflections: An interactive, reflective learner journal, Kyungpook, Korea: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29. K. Graves, Designing language courses: A guide for teachers, Boston: Heinle & Heinle, 2000. 

  30. R. K. Johnson, A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the coherent language curriculum. In R. K. Johnson (Ed.), The second language curriculum,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23, 1989. 

  31. J. Lee, Tasks and communicating in language classrooms, Boston: McGraw-Hill, 2000. 

  32. M. H. Long, A role for instruc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K. Hyltenstam & M. Pienemann (Eds.), Modelling and assess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levedon, UK: Multilingual Matters, pp.377-393, 1985. 

  33. M. H. Long, Task, group, and task-based interactions, University of Hawaii Working Papers in ESL, Vol.8, pp.1-26, 1989. 

  34. M. H. Long, Focus on form: A design feature in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In K. de Bot., D. Coste., R. Ginsberg. and C. Kramsch (Eds.), Foreign language research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pp.39-52, Amsterdam: John Benjamins, 1991. 

  35. M. H. Long, Focus on form i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R. D. Lambert & E. Shohamy (Eds.), Language policy and pedagogy: Essays in honor of A. Ronald Walton, Amsterdam: John Benjamins, pp.179-192, 2000. 

  36. M. H. Long and G. Crookes, "Three approaches to task-based syllabus design," TESOL Quarterly, Vol.26, pp.27-56, 1992. 

  37. M. H. Long and P. Robinson, Focus on form: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C. Doughty & J. Williams (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5-41, 1998. 

  38. S. McKay, "Syllabus: Structural, situational, notional," TESOL Newsletter, Vol.12, No.11, 1978. 

  39. I. S. P. Nation and J. Macalister, Language curriculum design, London: Routledge, 2010. 

  40. D. Nunan, Syllabus design,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41. D. Nunan, Designing tasks for the communicative classroom,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42. N. S. Prabhu, Second language pedagog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43. J. C. Richards,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4. J. C. Richards, J. Platt, and H. Weber, Longman dictionary of applied linguistics, London: Longman, 1985. 

  45. P. Robinson, "The cognition hypothesis, task design, and adult task-based language learning," Second Language Studies, Vol.21, pp.45-105, 2003. 

  46. P. Skehan, "A framework for the implementation of task-based instruction," Applied Linguistics, Vol.17, pp.38-62, 1996. 

  47. P. Skehan, A cognitive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48. L. Stenhouse, An introduction to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London: Heinemann, 1975. 

  49. H. Taba,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1962. 

  50. R. Tyler,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instruction,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1949. 

  51. R. White, The ELT curriculum: Design, innovation and management, Oxford, UK: Basil Blackwell, 1988. 

  52. D. Wilkins, National syllabuses and the concept of minimum adequate grammar. In S. P. Corder & E. Roulet (Eds.), Linguistic insights in applied linguistics, Brussels: AIMAV. Paris: Didier, pp.119-128, 1974. 

  53. D. Wilkins, National syllabus, London,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54. J. Willis, A framework for task-based learning, London: Longman, 1996. 

  55.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203/e2012032817595793820.htm 

  56. http://pdf.hankooki.com/hk/view_hk.htm?execviewsearch&height1640&GCCAA01099&CNo134282981&scope0&period4&startdate2001-01-01&enddate2013-03-22&page1&page_size10&idx1 

  57.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642659 

  58. http://www.english-village.or.kr/exclude/userIndex/wwwIndex.do 

  59. http://sev.go.kr/ 

  60. http://news1.kr/articles/9767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