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언어교육 활동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Language Activity Contents for Young Children from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for Age 3-5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12, 2013년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언어교육 활동의 내용분석을 통해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시각을 재조명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2013년도에 발행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생활주제별로 3세 10권, 4세 11권, 5세 11권의 총 32권에 제시되어 있는 언어교육 활동 966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기준은 내용체계별, 활동유형별에 따라 언어교육 활동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용체계별 하위영역의 구성은 말하기, 듣기, 읽기와 쓰기의 순으로 언어교육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유형별 구성은 '동화 시', '이야기나누기', '언어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언어교육 활동에 대한 내용체계와 활동유형이 한두 가지 활동에 편중되어 있으며, 연령에 따라서도 비중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언어교육의 현 상황을 점검해보고, 유아 언어교육과 교사용 지도서의 올바른 방향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2, 2013년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언어교육 활동의 내용분석을 통해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시각을 재조명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2013년도에 발행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생활주제별로 3세 10권, 4세 11권, 5세 11권의 총 32권에 제시되어 있는 언어교육 활동 966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기준은 내용체계별, 활동유형별에 따라 언어교육 활동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용체계별 하위영역의 구성은 말하기, 듣기, 읽기와 쓰기의 순으로 언어교육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유형별 구성은 '동화 시', '이야기나누기', '언어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언어교육 활동에 대한 내용체계와 활동유형이 한두 가지 활동에 편중되어 있으며, 연령에 따라서도 비중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언어교육의 현 상황을 점검해보고, 유아 언어교육과 교사용 지도서의 올바른 방향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erspective on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language activities specified in the Teacher's guide to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between Age 3 to 5.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966 language educational activities suggested in 32 gu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erspective on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language activities specified in the Teacher's guide to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between Age 3 to 5.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966 language educational activities suggested in 32 guidebooks(10 for age 3, 11 for age 4, 11 for age 5 - divided by life themes) have been chosen as the analysis object and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category; subordinate scope, and activity type. This analysis showed that children aged 3~5 start their language activities in the order of tal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under the subordinate scope category), and favors activities in the order of 'fairy tale/poem', 'story telling' and 'verbal section'. In conclusion, it has been proven that each category is concentrating on 1~2 activities and the proportion varies depending on the age. Based on the above result, we intend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language education and use this study as the preliminary data to provide a proper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erspective on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language activities specified in the Teacher's guide to Nuri Curriculum for Children between Age 3 to 5.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966 language educational activities suggested in 32 guidebooks(10 for age 3, 11 for age 4, 11 for age 5 - divided by life themes) have been chosen as the analysis object and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category; subordinate scope, and activity type. This analysis showed that children aged 3~5 start their language activities in the order of tal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under the subordinate scope category), and favors activities in the order of 'fairy tale/poem', 'story telling' and 'verbal section'. In conclusion, it has been proven that each category is concentrating on 1~2 activities and the proportion varies depending on the age. Based on the above result, we intend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language education and use this study as the preliminary data to provide a proper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총 32권(3세 10권, 4~5세 각 11권)에서 언어교육활동으로 명시하고 있는 언어교육 활동을 유아의 연령에 따라 내용체계별 하위영역(내용범주-내용) 구성 및 활동유형 구성으로 분류하여 언어교육 활동의 분포 및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언어교육 활동 내용을 내용체계별로 분석하기 위하여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의 내용체계인 ‘내용범주’와‘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기준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들과 연구보조자 1인은 분석에 사용될 자료 중 무작위로 '우리 동네'를 선정하여 언어교육 활동을 발췌하고 분석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첫째, 3-5세 누리과정에 근거하여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행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생활주제별로 총32권 수집하였다. 둘째, 연구보조자 1인에게 연구 목적과 분석기준에 대한 교육을 1회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자들과 연구보조자 1인은 분석기준을 토대로 분석 영역, 분석범주 및 하위범주별로 각 빈도를 하나씩 표시하였다.
둘째, 연구보조자 1인에게 연구 목적과 분석기준에 대한 교육을 1회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자들과 연구보조자 1인은 분석기준을 토대로 분석 영역, 분석범주 및 하위범주별로 각 빈도를 하나씩 표시하였다. 넷째, 분석기준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들과 연구보조자 1인은 분석에 사용될 자료 중 무작위로 '우리 동네'를 선정하여 언어교육 활동을 발췌하고 분석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언어교육 활동을 유아의 연령에 따라 내용체계별, 활동유형별 구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생활주제별로 수록된 유아 언어교육 활동으로, 이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명시하고 있는 누리과정 관련요소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분석대상 활동의 수는 총 966개로,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표 1]과 같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절차를 거쳤다. 첫째, 3-5세 누리과정에 근거하여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행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생활주제별로 총32권 수집하였다. 둘째, 연구보조자 1인에게 연구 목적과 분석기준에 대한 교육을 1회 실시하였다.
데이터처리
다섯째, 최종적으로 확정된 분석기준은 타당성을 보장받기 위하여 누리과정 지도서 집필에 참여한 유아교육전문가 2인에게 자문을 구하는 검증의 과정을 거쳤다. 여섯째, 연구자들과 연구보조자 1인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에서 발췌한 966개의 언어교육활동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자료 분석 처리는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이론/모형
또한 언어교육 활동 내용을 활동유형별로 분석하기 위하여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5]에서 명시하고 있는 활동유형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단, 요리활동은 대소집단활동에서 제외되었으나, 유아교육현장에서 소집단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도서에 활동방법으로 제시되어 있으므로 분석기준에 포함시켰다.
성능/효과
첫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언어교육 활동의 내용체계별 하위영역 구성은 어떠하며, 연령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내용범주별 내용은 ‘느낌, 생각, 경험 말하기’가 394개(40.8%), ‘동요, 동시, 동화 듣고 이해하기’가 199개(20.6%), ‘이야기 듣고 이해하기’가 88개(9.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불일치하는 부분은 서로간의 의견을 조율하여 분석자간의 일치율이 96%-99%로 나타났다. 다섯째, 최종적으로 확정된 분석기준은 타당성을 보장받기 위하여 누리과정 지도서 집필에 참여한 유아교육전문가 2인에게 자문을 구하는 검증의 과정을 거쳤다. 여섯째, 연구자들과 연구보조자 1인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에서 발췌한 966개의 언어교육활동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자료 분석 처리는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즉, 3~5세의 모든 연령에서 ‘느낌, 생각, 경험 말하기’와 관련된 언어교육 활동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동요, 동시, 동화 듣고 이해하기’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소집단활동 중 ‘동화·시’ 유형이 278개(29.6%)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이야기나누기’가 247개(26.3%), ‘음악’이 30개(3.1%) 순으로 나타났다.
대소집단활동과 자유선택활동 모두에서 다루어지는 언어교육 활동 중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낸 것은 ‘느낌, 생각, 경험 말하기’로 365개 (38.9%)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동요, 동시, 동화듣고 이해하기’가 211개(22.5%)로 나타났다.
또한 자유선택활동에서도 대소집단활동과 동일하게 ‘느낌, 생각, 경험 말하기’가 127개(13.5%)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다음으로는 ‘낱말과 문장으로 말하기’가 49개(5.2%)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내용 가운데 ‘쓰기 도구 사용하기’는대소집단활동과 자유선택활동에서 각각 한 개의 유형에서만 다룸으로써 기타 다른 내용범주들과의 활동 개수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소집단 활동유형별로 살펴보면 3세는 ‘동화·시’ 104개(11.1%), ‘이야기나누기’ 57개(6.1%) 순으로, 4세는‘이야기나누기’와 ‘동화·시’ 유형이 79개(8.4%)로 동일 하게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5세는 ‘이야기나누기’ 111개(11.8%), ‘동화·시’ 95개(10.1%) 순으로 나타났다.
대 소집단 활동에서는 비율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연령에서 ‘이야기나누기’ 유형과 ‘동화·시’ 유형에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언어교육 활동의 교육과정 내용체계별 하위영역 구성을 살펴본 결과, 특정 내용범주에 편중되어 있고, 나머지 내용범주와의 관련성은 매우 미미한 것을알 수 있었다. 즉, 언어교육 활동과 관련된 교육과정의 내용범주는 총 4개인데 그 중 말하기와 듣기가 90% 정도를, 읽기와 쓰기가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 중 3세와 5세의 차이를 분석해 보면, ‘말하기’는 141개에서 203개로 1.5배 증가, ‘듣기’는 106개에서 131개로 비슷하며, ‘읽기’는 9개에서 24개로 3배 증가, ‘쓰기’는 3개에서 31개로 1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총 4개의 내용범주 중 3세 유아에게는 말하기와 듣기가, 5세 유아에게는 읽기와 쓰기가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대소집단 활동을 10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동화․시’와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각각 전체의 30%로 2개의 활동에서 60% 정도의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5세도 마찬가지로 위의 두 내용이 각각 40%, 15%로 두 가지의 내용에서 절반이상의 활동을 차지하였으나, 나머지 9개의 내용들도 골고루 포함하고 있었다. 이로써 연령이 높아질수록 보다 다양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별 내용을 포함하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언어교육 활동의 활동유형별 분포경향을 살펴본 결과, 대소집단활동이 65%를 자유선택활동이 35%를 차지하였다. 대소집단 활동을 10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동화․시’와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각각 전체의 30%로 2개의 활동에서 60% 정도의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자유선택 활동을 7개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주로 ‘언어’ 영역에서만 언어교육 활동이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쌓기’ 영역에서는 11개의 교육과정 내용 중에서 단지 3개의 내용(‘낱말과 문장으로 말하기’, ‘느낌, 생각, 경험 말하기’, ‘상황에 맞게 바른 태도로 말하기’)만을 언어교육 활동에서 주로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령에 따른 생활주제별 하위영역 구성을 살펴본 결과, 연령 증가에 따라 대소집단 활동 및 자유선택 활동에서 모두 언어교육 활동의 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유형별로 언어교육 활동이 특정한 유형에 치중되어 있으며, 연령별로도 고르게 분포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언어교육 활동이 통합적으로 구성되고 적용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다양한 활동 유형과 연령 간 균형을 고려한 언어교육 활동이 될 수 있도록 교사용지도서에 보다 다양한 활동들이 골고루 제시되는 한편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도 융통성 있게 보완·적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후속연구
누리과정 교사 연수를 통해 위와 같은 점을 안내하여 교사들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대로만 활동하기 보다는 각 학급의 실정과 특성에 맞도록 보다 폭넓고 다양한 방식의 활동을 개발·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 이루어질 누리과정 개정 연구 시 생활주제별, 활동유형별, 연령별 분포를 고르게 하여 1년에 걸친 활동 간 균형 및 통합은 물론, 연령 증가에 따른 발달과 통합의 원리가 잘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누리과정 의사소통영역의 내용체계인 내용범주와 내용에 따라 연령별로 중요도의 수준을 달리하여 적용내용과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한 점과 함께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 선정, 언어교육 활동의 내용범주 및 내용, 활동유형 등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언어교육 활동으로 명시하고 있는 바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지도서에 미처 제시되지 않은 언어교육 활동으로까지 분석의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유아교육의 본질인 통합교육의 의미를 보다 드러내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활동의 개수를 상대적인 비율로 분석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세분화된 기준과 방법으로 분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선정, 언어교육 활동의 내용범주 및 내용, 활동유형 등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언어교육 활동으로 명시하고 있는 바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지도서에 미처 제시되지 않은 언어교육 활동으로까지 분석의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유아교육의 본질인 통합교육의 의미를 보다 드러내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활동의 개수를 상대적인 비율로 분석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세분화된 기준과 방법으로 분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에 개정된 스웨덴이나 오스트리아의 교육과정에서도 언어의 비중이 큰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에 개정된 스웨덴이나 오스트리아의 교육과정에서도 언어의 비중이 크다. 이는 핵심역량에서 의사소통을 강조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14]. 또한 유아기의 언어사용 능력은 모든 학습에 필요한 기초학습능력으로써 중요할 뿐만 아니라 점진적으로 발달해가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언어교육이 필요하다[1].
유아기는 무엇인가?
인간의 언어는 인간만의 것이고, 인간 모두의 것이며, 인간이 가지고 있는 능력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고, 인간성의 총체적인 표현체라고 말하면서 인간에게 있어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유아기는 언어능력 발달에서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로, 구어 사용 능력이 급격히 확장되고, 문어 사용에 대한 흥미와 이에 대한 기초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이다. 영아기에 주로 많이 사용되었던 몸짓, 표정 등의 비언어적 표현이 줄어들면서, 유아기에는 주변 생활에서 경험한 다양한 사물이나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를 이해하고 또 이를 적합한 어휘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3].
유아기에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언어교육이 필요하다
이는 핵심역량에서 의사소통을 강조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14]. 또한 유아기의 언어사용 능력은 모든 학습에 필요한 기초학습능력으로써 중요할 뿐만 아니라 점진적으로 발달해가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언어교육이 필요하다[1].
참고문헌 (34)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 고시(제2007-153), 교육과학기술부, 200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