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상자옹호이론의 발전전망과 아동간호에의 적용방안
Review on the Theory of Nursing Client Advocacy and Its Applications in Child Healthcare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3, 2013년, pp.149 - 158  

조갑출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초록

서론 의료현장의 대형화, 관료화로 인한 인간기본권 침해로 인해 간호사의 옹호역할이 필수적인 간호활동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옹호 개념이 간호문헌에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약 40년 전의 일로, 그동안 꾸준히 진화되고 발전되어 왔으나 여전히 대상자옹호 개념은 명료하지 않고 임상실무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 이에 개념을 명확히 하고 아동간호실무적용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론 2000년 이후에 발표된 실증적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대상자옹호이론의 발전과 옹호연구의 동향, 아동간호영역에서의 적용에 대해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옹호 개념은 이론적 개념에서 실천적 간호활동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해졌으며, 대상자옹호 개념은 체계적인 중범위 이론(mid-range theory)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옹호 개념에 대한 연구는 개념의 조작화나 방법론이 다양하게 확대되어, 간호대상자옹호가 간호중재로서 실무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아픈 아동이건 건강한 아동이건 아동은 성인에 비해 자신을 위한 권리주장이나 선택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우선적인 옹호간호의 대상이다. 넷째, 임상아동간호실무, 건강한 아동을 위한 건강증진실무에 대상자옹호이론을 적용할 수 있다. 개인옹호, 단체옹호, 자기옹호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아동간호영역에서 대상자옹호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다. 여섯 번째,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옹호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간호사의 준비가 필요하다. 결론 옹호 개념은 총합적이고 구체적인 이론적 구조로 서술되어 체계적인 중범위 이론(mid-range theory)으로 발전하였다. 이론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증가되어 개념의 조작화가 이루어졌으며, 간호중재로서 실무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동은 전형적인 취약인구층이므로 임상아동간호, 아동건강증진 실무영역, 아동간호연구 등의 분야에서 대상자옹호이론의 적용가능성이 높다.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옹호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에 대한 아동간호사의 훈련과 준비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1990, descriptive studies about the concept of client advocacy have been published in the health journals. However, empirical studies of the concept are still lacking. There are not enough bases to apply the concept of client advocacy in nursing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nco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옹호간호를 잘 수행하기 위한 아동간호사의 역량과 준비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상자옹호를 촉진하는 요소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이러한 대상자옹호 개념의 속성은 간호사-대상자의 관계와 관련된 속성, 옹호의 동기와 관련된 속성, 옹호활동과 관련된 속성, 옹호의 반응과 관련된 속성으로 구성된다(Cho, 1996). 간호대상자옹호를 촉진하는 요소는 간호사-환자 관계, 환자의 요구와 상태에 대한 인식,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 의사의 간호사에 대한 파트너십, 간호사의 책임감 등이다. 간호사의 옹호활동을 저해하는 요소는 지지부족, 법적 윤리적 지침부족, 의사소통의 제한, 의사의 리더십, 동기부족, 업무량 과중으로 인한 시간부족 등으로 보고되고 있다(Cho, 1996; Cawley & McNamara, 2011; O’Connor & Kelly, 2005).
보호적 옹호간호척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Hanks (2010)는 환자옹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보호적 옹호간호척도(Protective Nursing Advocacy Scale, PNAS)를 개발하였다. 환자보호에 주안점을 두고 옹호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신념과 행동을 측정하는 4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Vaartio 등(2009)은 치료적 시술로 인한 통증 간호를 하는 간호사들의 옹호활동을 구조화하여 간호사용 도구와 환자용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대상자옹호란 무엇인가? “대상자옹호는 간호사와 대상자의 긍정적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행위 과정으로서, 불리하거나 약자 입장에 있는 대상자를 보호하고 인권을 존중하기 위하여 간호사가 수행하는 통상적인 간호활동의 하나이다. 윤리적인 딜레마나 갈등이 있는 상황에서, 인본주의적 신념에 따라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존중하기 위한 간호사의 윤리적인 판단에서 우러나오는 행위이다. 여러가지 위해나 불이익으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하며, 대상자의 권익을 지향하고 그 편을 들어서 대변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정보를 제공하여 스스로 결정하도록 도우며, 양질의 적정진료가 수행되도록 감시하고, 대상자 및 그와 관련된 사람들과의 사이에서 조정하고 중개한다. 대상자에게 애착을 가지고 염려하며, 투지를 가지고 지속적이고 소신있게 시도한다. 대상자옹호는 간호사의 도덕적 성숙성과 전문직 업무능력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행위로서, 옳은 것을 위하여 불이익을 감수하는 용기있는 행위이다. 이러한 간호사의 옹호활동은 대상자의 권익을 향상 시키고 힘을 북돋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ldwin, M. A. (2003). Patient advocacy: A concept analysis. Nursing Standard, 17(21), 33-39. 

  2. Bu, X., & Wu, Y. B. (2008).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instrument: Attitude toward patient advocac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1(1), 63-75. 

  3. Bu, X., & Jezewski, M. A. (2007). Developing a mid-range theory of patient advocacy through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7(1), 101-110. 

  4. Cawley, T., & McNamara, P. M. (2011). Public health nurse perceptions of empowerment and advocacy in child health surveillance in West Ireland. Public Health Nursing, 28(2), 150-158. 

  5. Church, E. J. (2004). Patient advocacy: The technologist's role. Radiologic Technology, 75(4), 272-292. 

  6. Cho, K. C. (1994). An analysis of situation needed a consumer advocacy. Journal of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16(1), 49-70. 

  7. Cho, K. C. (1996). A content analysis of the advocacy concept perceived by nurses at nursery room.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1), 13-26. 

  8. Cho, K. C. (2006). Nursing client advocacy as a prescriptive theory. Journal of Nursing Query, 15(1), 72-85. 

  9. Choi, S. S., Kim, J., Lee, J. S., & Hwang, S. H. (2012). A review on research regarding self-advocacy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9(3), 249-273. 

  10. Fowler, M. D. (1989). Social advocacy. Heart & Lung, 18(1), 97-99. 

  11. Gadow, S. (1980). Existential advocacy: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ursing. In T. Pence, & J. Cantrall (Ed.), Ethics in nursing : An anthology (pp. 41-51). New York: National League for Nursing. Pub. No. 20-2294. 

  12. Hanks, R. G. (2008).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advocacy. Nursing Ethics, 15(4), 468-477. 

  13. Hanks, R. G. (2010).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measure protective nursing advocacy. Nursing Ethics, 17(2), 255-267. 

  14. Hyland, D. (2002).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autonomy and patient advocacy: Implications for nursing practice. Nursing Ethics, 9(5), 472-482. 

  15. Jeon, S. Y. (2005). A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work education and advocac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ork valu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4), 35-65. 

  16. Johnson, P. E. (2006). Patient assistance programs and patient advocacy foundations: Alternatives for obtaining prescription medications when insurance fails.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63(21), S13-17. 

  17. Kim, Y. H., Kim, H. L., Kim, Y. R., Lim, J. H., & Hyun, M. S. (2012). The effects of a rights advocacy program for mentally ill person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9(1), 16-23. 

  18. Lee, M. H. (2004). A study on the advocacy system for service user in social welfa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2), 29-52. 

  19. MacDonald, H. (2007). Relational ethics and advocacy in nursing: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7(2), 119-126. 

  20. MacDonald, J., Edwards, N., Davies, B., Marck, P., & Guernsey, J. R. (2012). Priority setting and policy advocacy by nursing associations: A scoping review and implications using a socio-ecological whole systems lens. Health Policy, 107(1), 31-43. 

  21. Mahlin, M. (2010). Individual patient advocacy, collective responsibility and activism within professional nursing associations. Nursing Ethics, 17(2), 247-254. 

  22. Nahigian, E. (2003). Factors associated with advocacy decisions of registered professional nurses employed as staff nurses in inpatient adult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Buffalo. 

  23. O'Connor, T., & Kelly, B. (2005). Bridging the gap: A study of general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advocacy in Ireland. Nursing Ethics, 12(5) 453-467. 

  24. Rai, S. D. (2007) Social entrepreneurship in nursing: A tool for learning, advocacy and income generation. Singapore Nursing Journal, 34(3), 7-15. 

  25. Rasmussen, L. (2012). Patient advocacy in clinical ethics consultation. American Journal of Bioethics, 12(8), 1-9. 

  26. Segesten, K. (1993). Patient advocacy: An important part of daily work of the expert nurse.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7(2), 129-135. 

  27. Vaartio, H., Leino-Kilpi, H., Suominen, T., & Puukka, P. (2009). Measuring nursing advocacy in procedural pain ca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Pain Management Nursing, 10(4), 206-219. 

  28. Vaartio, H., & Leino-Kilpi, H. (2005). Nursing advocacy: A review of the empirical research 1990-2003.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2(6), 705-714. 

  29. Ware, L. J., Bruckenthal, P., Davis, G. C., & O'Conner-Von, S. K. (2011). Factors that influence patient advocacy by pain management nurses: Result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pain management nursing survey. Pain Management Nursing, 12(1), 25-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