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ocial Adjustment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3, 2013년, pp.238 - 245  

오수미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암센터) ,  이혜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김광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박경덕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암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사회적응 관련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후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서울시내 S대학병원에서 10-19세의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 79명과 그의 부모 79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아동의 사회적응은 Koo와 Choi (1998)의 사회적 역량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사회적응 관련 요인은 신체기능, 우울, 자아존중감, 대처전략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은 평균 83.5점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가족과의 대화시간, 학교생활의 즐거움, 친구관계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기능, 적극적 대처전략,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우울, 공격적 대처전략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아동의 신체기능이 사회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가족과 친구를 포함한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아동의 신체 정서적 측면이 모두 고려되어야 하고 효과적인 대처전략의 사용과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social adjustment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ocial adjust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79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his/her parents.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related to characteristic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요인들 간에 밀접한 관련성을 있음을 제시하였다. 현재 소아암 아동을 간호하는 데 있어 간호사의 역할은 주로 치료중인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하지만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이는 간호학적 접근을 통해 예방 및 중재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료 종료 후의 아동까지 포함하는 간호사로서의 가능한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간호 영역을 확대하는 간호학적 의의를 가진다.
  • 친구관계 만족도의 경우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사회 적응의 범주 안에 포함될 수 있는 개념이지만, 아동이 표현한 친구관계에서의 만족도를 친구에게서 받는 지지로 해석한다면 아동이 인지한 친구의 지지가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친구가 아동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환경 중 하나임을 보여주고 아동의 치료기간 동안에도 친구와의 관계가 단절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본 연구는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이 사회의 일원으로 긍정적으로 재통합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다음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갖는다.
  • 셋째,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이 치료가 종료된 후 학교와 사회로 되돌아갔을 때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 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이 사회의 일원으로 통합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암 아동은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가? 소아암 아동은 치료 기간 동안 사회와의 분리와 치료 종료 후 경험 하는 여러 가지 신체 · 정서적 후유장애로 인해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신체 기능의 제약으로 인한 학교로의 복귀의 어려움, 우울이나 불안은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Gurney et al., 2009).
사회적응이란 무엇인가? 사회적응이란 개인을 둘러싼 사회 환경에 대한 적응을 의미한다. 이는 장기간의 치료가 끝난 후 사회로 되돌아가서 또래관계에서의 어려움이나 사회적 고립과 같은 어려움에 부딪힐 수 있는 소아암 아동에게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Seo, 2010).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사회적응 관련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후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수집된 자료는 SPSS 18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은 평균 83.5점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가족과의 대화시간, 학교생활의 즐거움, 친구관계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기능, 적극적 대처전략,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우울, 공격적 대처전략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아동의 신체기능이 사회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가족과 친구를 포함한 소아암 치료 종료 아동의 사회적응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아동의 신체 정서적 측면이 모두 고려되어야 하고 효과적인 대처전략의 사용과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derfer, M. A., Navisaria, N., & Kazak, A. E. (2009). Family functioning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3(5), 717-725. http://dx.doi.org/ 10.1037/a0015996 

  2.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6), 561-571. http://dx.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3 1004 

  3. Bhatia, S., Jenney, M. E. M., Wu, E., Bogue, M. K., Rockwood, T. H., Feusner, J. H., et al. (2004). The minneapolis-manchester quality of life instru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youth form. The Journal of Pediatrics, 145(1), 39-46. http://dx.doi.org/10.1016/j.jpeds.2004.02.034 

  4. Calaminus, G., Weinspach, S., Teske, C., & Gobel, E. (2007). Quality of survival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fter treatment for childhood cancer: The influence of reported late effect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Klinische Padiatrie, 219(3), 152-157. http://dx.doi.org/10.1055/s- 2007-973846 

  5. Campbell, L. K., Scaduto, M., Slyke, D. V., Niarhos, F., Whitlock, J. A., & Compas, B. E. (2009). Executive function, coping, and behavior in survivors of childhood acute lymphocytic leukemia.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4(3), 317-327. http://dx.doi.org/10.1093/jpepsy/jsn080 

  6. Evan, E. E., Kaufman, M., Cook A. B., & Zeltzer, L. K. (2006). Sexual health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ancer. American cancer society, 107(7), 1672-1679. http://dx.doi.org/10.1002/cncr.22101 

  7. Felder-Pluig, R., Peters, C., Matthes-Martin, S., Lamche, M., Felsberger, C., Gadner, H., et al. (1999). Psychosocial adjustment of pediatric patients after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4(1), 75-80. http://dx.doi.org/10.1038/sj.bmt.1701853 

  8. Gesten, E. L. (1976). A health resources inventory: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of the personal and social competence of primary-grade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5), 775-786. http://dx.doi.org/10.1037/0022-006X.44.5.775 

  9. Gurney, J. G., Krull, K. R., Kadan-Lottick, N., Nicholson, H. S., Nathan, P. C., Zebrack, B., et al. (2009). Social outcomes in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 study cohort.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7(14), 2390-2395. http://dx.doi.org/10.1200/JCO.2008.21.1458 

  10. Hong, Y. R. (2005). Factors influencing headache in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183-1189. 

  11. Jo, S. C., & Lee, Y. S. (1990). Development of the Korean from of the Kovacs'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4), 943-956. 

  12. Kazak, A. E., DeRosa, B. W., Schwartz, L. A., Hobbie, W., Carlson, C., Ittenbach, R. F., et al. (2010). Psychological outcomes and health beliefs in adolescent and you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and control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8(12), 2002-2007. http://dx.doi.org/ 10.1200/JCO.2009.25.9564 

  13. Kim, D. H., & Yoo, I. Y. (2004).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among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3), 534-540. 

  14. Kim, M. H., Chung, K. M., Rhee, M. A., Ryu, C. J., Won, S. C., & Shin, Y. J. (2011). Discrepancy between parent and child report on quality of life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 and adolescen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control group.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16(3), 483-500. 

  15. Koo, S. J., & Choi, B. G. (1998).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variable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1), 23-34. 

  16. Korn, M., & Rossman, B. L. (1972). A social competence scale and symptom checklist for the preschool child. Developmental Psychology, 6(3), 430-444. http://dx.doi.org/10.1037/h0032583 

  17. Kovacs, M. (1985).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Psychophamacology Bulletin, 21, 996-998. 

  18. Lee, H. J., & Won, H. T. (1995). Self-concepts and paranoid tendency. Psychological Science, 4(2), 15-29. 

  19. Min, H. Y., & Yoo, A. J. (1998). Development of daily hassles coping scale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7), 83-96. 

  20.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2, Decemb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0. Retrieved July 14, 2013,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 MENU_ID031604&CONT_SEQ283331&page1 

  21. Noll, R. B., Bukowski, W. M., Davies, W. H., Koontz, K., & Kulkarni, R. (1993). Adjustment in the peer system of adolescents with cancer: A two-year study.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18(3), 351-364. http://dx.doi.org/10.1093/jpepsy/18.3.351 

  22. Park, H. J., Nam, B. H., Yun, Y. H., Yang, W. J., Kang, H. J., Shin, H. Y., et al. (2007). Establishment of Korean childhood cancer survivor cohort and long-term follow-up system. Clinical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14(1), 1-42. 

  23. Park, J. A., & Jeong, M. J. (2001). Relationships between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and behavior problems in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2(3), 107-122. 

  24. Punyko, J. A., Gurney, J. G., Baker, K. S., Hayashi, R. J., Hudson, M. M., Liu, Y., et al. (2007). Physical impairment and social adaptation in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rhabdomyosarcoma: A report from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 study. Psycho-Oncology, 16(1), 26-37. http://dx.doi.org/10.1002/pon.1072 

  25. Robert, R. S., Ottaviani, G., Huh, W. W., Palla, S., & Jaffe, N. (2010). Psychosocial and functional outcomes in long-term survivors of osteosarcoma: A comparison of limb-salvage surgery and amputation. Pediatric Blood & Cancer, 54(7), 990-999. http://dx.doi.org/10.1002/pbc.22419 

  26. Rog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Sallquist, J. V., Eisenberg, N., Spinrad, T. L., Reiser, M., Hofer, C., Liew, J., et al. (2009).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ity: Trajectories across six years and relations with social competence. Emotion, 9(1), 15-28. http://dx.doi.org/10.1037/a0013970 

  28. Seo, J. H. (2010). Psychosocial aspects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3(4), 471-476. http://dx.doi.org/10.3345/kjp. 2010.53.4.471 

  29. Wakimizu, R., Hiraga, N., Furuya, K., Fukushima, T., Tsuchida, M., Koike, K., et al. (2011).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discharge and associated factors in childhood cancer patients in Japan. BioScience Trends, 5(6), 264-272. 

  30. Zebrack, B. J., & Chesler, M. A. (2002). Quality of life in childhood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11(2), 132-141. http://dx.doi.org/10.1002/pon.5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