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1, 2013년, pp.21 - 28  

이정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혈관센터) ,  한지은 (나사렛대학교 간호학과) ,  박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 암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 정도와 그 관련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소아암 진단을 받고 서울 소재 1개 대학병원에서 외래 또는 입원치료중인 8-18세 소아청소년 암환자 67명과 그 부모 67명인 총 134명이었다. 삶의 질은 Varni 등(2002)의 The PedsQL 3.0 Cancer Module을 사용하여 소아청소년 암환자와 그 부모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삶의 질 관련 요인은 소아청소년 암환자와 그 부모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으로 하였다. 결과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 점수는 평균 75.07점, 부모가 보고한 자녀의 삶의 질 점수는 64.40점으로, 부모가 보고한 삶의 질이 소아청소년 암환자가 보고한 삶의 질보다 낮았다. 8-12세 소아 암환자가 보고한 삶의 질 점수는 평균 78.04점, 13-18세 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 점수는 평균 71.62점으로 소아에 비해 청소년의 삶의 질 정도가 낮았다. 소아청소년 암환자와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은 소아암환자가 보고한 삶의 질 점수와 부모가 보고한 삶의 질 점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소아청소년 암환자가 보고한 삶의 질 점수와 부모가 보고한 삶의 질 점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은 소아청소년 암환자가 인지하는 정도와 부모가 인지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으며, 소아와 청소년 사이에도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quality of life of pediatric patients with cancer (children and adolescents) by examining the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34; 67 pediatric patients and 67 par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 암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 정도와 그 관련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 정도를 관찰하고 삶의 질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그러나 삶의 질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측정에는 발달 단계와 질병 특성을 감안해야 한다는(Fayed, Schiariti, Bostan, Cieza, & Klassen, 2011; Hinds, 2010) 측면에서 볼 때, 암을 가진 소아청소년을 위한 삶의 질 측정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이 어느 정도인지 관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 질병 사망의 가장 주된 원인은? 소아암은 소아 질병 사망의 가장 주된 원인으로 0-14세 연령 중 암 발생률은 10만 명당 약 13.8명이고 이중 백혈병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NCIC], 2012).
삶의 질의 무엇과 같은 개념인가? 삶의 질은 ‘안녕’, ‘기능상태’, ‘건강상태’ 등과 같은 개념으로, 복잡한 여러 요인들이 연관되어 나타나는 주관적인 현상이다(Eddy & Cruz, 2007; Klassen, Anthony, Khan, Sung, & Klaassen, 2011). Hinds 등(2004) 은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삶의 질을 일상생활을 할 수 있고, 다른 사람과 소통하며, 관심받는다는 느낌, 불편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문제 들에 적응하고, 질병경험의 의미를 찾으려하는 안녕하다는 느낌이라고 정의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ggott, C. R., Dodd, M., Kennedy, C., Marina, N., Matthay, K. K., Cooper, B., et al. (2010). An evaluation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following myelosuppressive chemotherapy. Support Care Cancer, 19, 353-361. 

  2. Cantrell, M. A. (2007).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hood cancer: State of the science. Oncology Nursing Forum, 34, 103-111. 

  3. Cho, S. Y., Shin, H. Y., Choi, M. S., & Choi, H. Y. (2009). Surve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appin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 129-144. 

  4. Eddy, L., & Cruz, 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qulality of life in chidren with chronic health problems: A systemic review.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2, 105-114. 

  5. Eiser, C., & Morse, R. (2001). Quality of life measures in chronic diseases of childhood.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5, 1-162. 

  6. Fayed, N., Schiariti, V., Bostan, C., Cieza, A., & Klassen, A. (2011). Health status and QOL instruments used in childhood cancer research: Deciphering conceptual content us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denitions. Quality of Life Research, 20, 1247-1258. 

  7. Ferrell, B., Grant, M., Padilla, G., Vemuri, S., & Rhiner, M. (1991). The experience of pain and perceptions of quality of life: Validation of a conceptual model. Hospice Journal, 7, 9-24. 

  8. Han, K. J., Yi, Y. H., Sim, I. O., & Choi, Y. J. (2005). Dimensions and attributes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school-age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 167-178. 

  9. Hicks, J., Bartholomew, J., Ward-Smith, P., & Hutto, C. J. (2003). Qulality of life among childhood leukemia patients.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0, 192-200. 

  10. Hinds, P. S., Billups, C. A., Cao, X., Gattuso, J. S., Burghen, E., West, N., et al. (2009).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at the time of diagnosis with osteosarcoma or acute myeloid leukemia.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3, 156-163. 

  11. Hinds, P. S., Gattuso, J. S., Fletcher, A., Baker, E., Coleman, B., Jackson, T., et al. (2004). Quality of life as conveyed by pediatric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Quality of Life Research, 13, 761-772. 

  12. Hinds, P. S. (2010). Progress in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6, 18-25. 

  13. Kim, M. H., Chung, C. M., Rhee, M. A., Ryu, C. J., Won, S. C., & Shin, Y. J. (2011). Discrepancy between parent and child report on quality of life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 and adolescen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control group.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 483- 500. 

  14. Klassen, A. F., Anthony, S. J., Khan, A., Sung, L., & Klaassen, R. (2011). Identifying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cancer and childhood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Support Care Cancer, 19, 1275-1287. 

  15.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2003). Adolescence. Seoul: YangSue- Won Publishing Co. 

  16. Lee, J. W., & Park, H. R. (2010). Fatigue in pediatric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6, 66-72. 

  17. Lee, B. R., & Park, H. J. (2011). Self-repor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schoolage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24, 129-152. 

  18. Meeske, K., Katz, E. R., Palmer, S. N., Burwinkle, T., & Varni, J. W. (2004). Parent proxy-report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fatigue in pediatric patients diagnosed with brain tumors an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ancer, 101, 2116-2125. 

  19. Meeske, K. A., Patel, S. K., Palmer, S. N., Nelson, M. B., & Parow, A. M. (2007).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diatric cancer survivors. Pediatric Blood Cancer, 49, 298-305. 

  20.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0, Decemb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08. Seoul: Author. 

  21. Nathan, P. C., Furlong, W., & Barr, R. D. (2004). Challenges to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receiving cancer therapy. Pediatric Blood Cancer, 43, 215-223. 

  2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data. (2012, December 27).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0. Retrieved January 10, 2013, from http://www. cancer.go.kr. 

  23. Park, E. S., Oh, W. O., Suk, M. H., & Yoon, Y. M. (2009). From their own response: Experiences of Korea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and their fami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350-358. 

  24. Shin, H. G., Yoo, I. Y., & Oh, E. G. (2010).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patterns of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6, 220-229. 

  25. Sitaresmi, M. N., Mostert, S., Gundy, C. M., Sutaryo, & Veerman, A. J. (2008).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Indonesian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6(96), http://dx.doi.org/10.1186/1477-7525-6-96 

  26. Sung, L., Yanofsky, R., Klaassen, R. J., Dix, D., Pritchard, S., Winick, N., et al. (2011). Quality of life during active treatment for pediatric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128, 1213-1220. 

  27. Tsuji, N., Kakee, N., Ishida, Y., Asami, K., Tabuchi, K., Nakadate, H., et al. (2011). Validation of the Japanese version of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PedsQL) cancer modul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9(22), http://dx.doi.org/10.1186/1477-7525-9-22 

  28. Varni, J. W., Burwinkle, T. M., Katz, E. R., Meeske, K., & Dickinson, P. (2002). The PedsQL in pediatric canc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generic core scales,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and cancer module. Cancer, 94, 2090-2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