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아암 완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 욕구
Childhood Cancer Survivor's Services Needs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8 no.1, 2012년, pp.19 - 28  

김민아 (남가주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  이재희 (유타대학교 사회사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ed to identity specific needs for services and programs to help childhood cancer survivors adjust and adapt to life after treatment.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1 childhood cancer survivors, diagnosed with cancer before the age of 18 and currently betwee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바이버십을 세 단계로 나누어 보시오. 암 서바이버십의 개념은 전미 암 서바이버십 연맹(National Co-alition for Cancer Survivorship)을 창립한 Fitzhugh Mullan이 1985년 본격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시작하면서 연구적 관심을 받게 되었다. 의사이자 암 완치자 당사자이기도 한 Mullan (1985)은 서바이버십을 초기(acute), 중기(extended), 장기(permanent) 서바이버십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 초기 서바이버십은 병을 진단받은 시점부터 치료 과정까지의 기간을 지칭하고, 이 기간에 암 환자 및 가족들은 공포와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초기 서바이버십이란 무엇인가? 의사이자 암 완치자 당사자이기도 한 Mullan (1985)은 서바이버십을 초기(acute), 중기(extended), 장기(permanent) 서바이버십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 초기 서바이버십은 병을 진단받은 시점부터 치료 과정까지의 기간을 지칭하고, 이 기간에 암 환자 및 가족들은 공포와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중기 서바이버십은 집중 치료를 종결하고 정기적인 통원 치료와 검진을 지속하는 기간을 지칭하며, 이 기간에 암 환자들은 재발의 두려움을 크게 느낀다.
참여자가 겪은 심리적 스트레스의 구체적인 예시는? 참여자 대부분은 암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면서 겪게 되는 변화로부터 완치가 된 이후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로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특히, 학업, 취업, 결혼 및 출산에 대한 불안감, 가족에 대한 책임감, 사회적 낙인감, 재발에 대한 두려움, 일상생활로의 복귀에 대한 기대와 변화된 현실의 차이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이 있었다. 소아암 완치자들은 이러한 심리적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 상담 및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 Andrykowski, M. A., Cordova, M. J., McGrath, P. C., Sloan, D. A., & Kenady, D. E. (2000). Stability and change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following breast cancer treatment: A 1year follow-up. Psycho Oncology, 9, 69-78. 

  3. Bruce, M. (2006). A systematic and conceptual review of posttraumatic stress in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their parent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 233-256. 

  4. Cella, D. F., Mahon, S. M., & Donovan, M. I. (1990). Cancer recurrence as a traumatic event. Behavioral Medicine, 16, 15-22. 

  5. Cohen, J. A., Mannerino, A. P., & Deblinger, E. (2006). Treating Trauma and Traumatic Grief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NY: Guilford Press. 

  6. Cordova, M. J., Andrykowski, M. A., Redd, W. H., Kenady, D. E., McGrath, P. C., & Sloan, D. (1995). Frequency and correlates of posttraumatic-stress-disorder-like symptoms after treatment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3, 981-986. 

  7. Foa, E. B., Cashman, L., Jaycox, L., & Perry, K. (1997).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9, 445-451. 

  8. Green, B. L., Krupnick, J. L., Rowland, J. H., Epstein, S. A., Stockton, P., Spertus, I., et al. (2000). Trauma history as a predictor of psychologic symptom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8, 1084-1093. 

  9. Kim, Y. J., Cha, G. H., Kim, C. A., Park, Y. J., Kim, H. J., Seo, J. J., et al. (2008). Child cancer survivor's quality of life based on their parent's support and past history.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 85-96. 

  10. Korean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0).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Retrieved December 1, 2010, from http://ncrs.cancer.go.kr/index.do 

  11. Kwon, H. J., Kim, Y. J., & Cha, H. G. (2009). Relationship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o depression in child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5, 219-227. 

  12. Langeveld, N. E., Grootenhuis, M. A., Voute, P. A., & Haan, R. J. (2004).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Pediatric Blood Cancer, 42, 604-610. 

  13.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14. Madan-Swain, A., Brown, R. T., Foster, M. A., Vega, R., Byars, K., Rodenberger, W., et al. (2000). Identity in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5, 105-115. 

  15. Meeske, K. A., Ruccione, K., Globe, D. R., & Stuber, M. L. (2001). Posttraumatic stress,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you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8, 481-489. 

  16. Mullan, F. (1985). Seasons of survival: Reflections of a physician with cancer.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3, 270-273. 

  17. Nathan, P., Ford, J., Henderson, T., Hudson, M., Emmons, K. M., Casillas, J. N., et al. (2009). Health behaviors, medical care, and interventions to promote healthy living in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 study cohort.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7, 2363-2373. 

  18.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4). About survivorship research: Survivorship definitions. Retrieved December 1, 2010, from http://cancercontrol.cancer.gov/ocs/definitions.html 

  19. Nordin, K., & Glimelius, B. (1998). Reactions to gastrointestinal cancer-variation in mental adjustment and emotional well-being over time in patients with different prognoses. Psycho-Oncology, 7, 413-423. 

  20. Oeffinger, K. C., Mertens, A. C., Sklar, C. A., Kawashima, T., Hudson, M. M., Meadows, A. T., et al. (2006). Chronic health conditions in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New England Journal of the Medicine, 355, 1572-1582. 

  21. Smith, M. Y., Redd, W., DuHamel, K., Vickberg, S. J., & Ricketts, P. (1999). Validation of the PTSD-Civilian Version in survivors of bone marrow transplantation.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2, 485-499. 

  22.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London: Sage Publications Inc. 

  23.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5).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Thousand Oaks, CA: Sage. 

  24. Wang, C. (1999). Photovoice: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trategy applied to women's health. Journal of Women's Health, 8, 185-192. 

  25. Welch-McCaffrey, D., Hoffman, B., Leigh, S. A., Loescher, L. J., & Meyskens, F. L. Jr. (1989). Surviving adult cancers. Part 2: Psychosocial implicatio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11, 517-524. 

  26. Yi, J., & Zebrack, B. (2010). Self-portraits of families with young adult cancer survivors: Using photovoice methodology.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8, 219-243. 

  27. You, M. A. (2006). Content analysis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 survivors of Leukemia.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2, 304-3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