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2형 당뇨질환모델인 KK-$A^y$를 이용하여 녹차와 발효녹차의 항당뇨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 녹차는 비발효녹차에 비해 높은 항당뇨 활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발효녹차 섭취군의 혈당은 당뇨 대조군보다 낮게 유지되었으며, 60일 이후에는 시판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화혈색소값도 8.08%로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 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간 조직의 DNA microarray 분석결과, 이러한 발효녹차의 항당뇨 활성은 glycolysis 활성화를 통한 glucose 이용율 및 베타세포 function 증가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발효녹차는 혈중 triglyceride 수치를 낮추고 HDL-cholesterol 수치를 높이는 등 당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지질대사이상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미루어 보아 발효녹차는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상업적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diabetic effect of green tea fermented by cheonggukjang was evaluated using KK-$A^y$ mice, a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Over a 90 day testing period, food and water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fed fermented green tea (FGT) and a group fed commerc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82.5±2.5℃에서 2시간 1차 건조한 후, 82.5±2.5℃에서 2시간 열풍 건조하여 수분 3% 이하의 녹차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Hybridization 된 이미지는 Agilent’s DNA microarray scanner로 분석하였으며, Feature Extraction Software(Agilent Technology, Palo Alto, CA, USA)를 이용하여 각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 KCTC 11351BP, Bacillus subtilis KCTC 11352BP, Bacillus sonolensis KCTC 11354BP 및 Bacillus circulans KCTC 11355B인 청국장을 동결 건조한 후, hot kneader (300-500 L, Daehan Food Machine, Inc., Gyeonggi, Korea)를 이용하여 82.5±2.5℃에서 4시간 동안 열처리한 녹차분말에(Ingreen, Seoul, Korea) 1% 비율(w/w)로 첨가하였다.
  • 분석을 위한 혈청은 glucose 및 insulin 함량 측정 시 사용한 혈청과 동일한 조건으로 준비하였다.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은 ADVIA automated hematology analyzer (Bayer ADVIA 1650, Tarrytown, NY,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Bacillus spp. 균주들이 포함된 청국장 분말을 이용하여 발효녹차를 제조하고, 발효녹차의 제2형 당뇨모델 마우스 KK-Ay에 대한 혈당강하 효과를 확인하고 기전 구명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혈당은 공복시간 없이 매 10일 마다 90일 동안 일정한 시간에 꼬리정맥으로부터 전혈을 채취하여 혈당스트립(ACCU-CHEK Sensor, Roche, Basel, Switzerlan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당화혈색소(HbA1c)는 실험식이 종료 후 16시간 절식 시킨 마우스의 안와 정맥에서 전혈을 취하여 A1c 측정용 카트리지에 주입한 후, 당화혈색소 측정기(Easy A1c, Asan pharmaceutical, Seoul, Korea)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대조군, 녹차 식이군 및 발효녹차 식이군의 간 조직에서 RNA를 추출한 후 Agilent’s Low RNA input amplication kit (Agilnet tech., Wilmington, DE, USA) 프로토콜에 따라 cy3 또는 cy5가 결합된 aminoallyl-UTP로 RNA를 증폭시켜 cy3/cy5가 표지된 cDNA를 합성하고 이를 정량 및 정성 분석하여 assembled Agilent’s Mouse Oligo Microarray (44K)와 65℃에서 17시간 동안 hybridization 시켰다.
  • (5주령, 수컷)를 Clea (Tokyo, Japan)에서 구입하여 1주일간 순화시킨 후, 체중에 따라 난괴법에 의해 7마리씩 4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은 AIN-93G 일반사료를 공급하였으며, 양성대조군, 녹차 원료, 녹차 발효물 첨가군은 일반 사료에 각 시료를 0.4% 첨가한 사료를 제조하여 식이로 공급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인 바나바 주정추출물을 사용하였다.
  • 매 10일 마다 일정한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식이섭취량 및 수분 섭취량을 급여량과 잔여량의 차이로 측정하였으며 식이 효율(feed efficiency ratio: FER)은 체중 증가량을 식이 섭취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 사육실 온도는 23±2℃, 습도는 50±5%, 명암주기는 12시간 간격으로 설정하고 물과 사료를 자율 급식시켰다.
  • 상등액 4 µL를 취해 tinder 시약 1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8분 방치한 후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glucose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산출하였으며, insulin 함량은 SHIBAYAGI사의 mouse insulin ELISA kit (TMB type, Shibukaw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발효녹차와 비발효녹차를 급여한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간 조직에서 총 36,910개의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이들 유전자가 up/down regulation되는 pattern을 이용하여 Hierarchical clustering (HCL)을 수행하였다. HCL은 전체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석하여 그 패턴이 비슷한 유전자 또는 투여군으로 묶어가는 방법으로 발현이 증가된 것은 붉은색, 발현이 감소한 것은 녹색으로 나타내었는데, 분석 결과, 녹차 및 발효녹차 급여 시 유전자의 발현량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Fig.
  • 5℃에서 4시간 동안 열처리한 녹차분말에(Ingreen, Seoul, Korea) 1% 비율(w/w)로 첨가하였다. 총 중량의 40%에 해당하는 수분을 공급한 후 시료를 발효통에 충진시키고 온도 25℃, 습도 60% 조건에서 30일 동안 고체발효를 진행하였다. 82.
  • 상등액 4 µL를 취해 tinder 시약 1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8분 방치한 후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glucose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산출하였으며, insulin 함량은 SHIBAYAGI사의 mouse insulin ELISA kit (TMB type, Shibukaw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혈청 glucose 및 insulin 함량으로부터 HOMA-IR을 구하였다.
  • 혈당은 공복시간 없이 매 10일 마다 90일 동안 일정한 시간에 꼬리정맥으로부터 전혈을 채취하여 혈당스트립(ACCU-CHEK Sensor, Roche, Basel, Switzerlan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당화혈색소(HbA1c)는 실험식이 종료 후 16시간 절식 시킨 마우스의 안와 정맥에서 전혈을 취하여 A1c 측정용 카트리지에 주입한 후, 당화혈색소 측정기(Easy A1c, Asan pharmaceutical, Seoul, Korea)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발효녹차와 비발효녹차를 급여한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간 조직에서 총 36,910개의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이들 유전자가 up/down regulation되는 pattern을 이용하여 Hierarchical clustering (HCL)을 수행하였다.
  • 분석을 위한 혈청은 glucose 및 insulin 함량 측정 시 사용한 혈청과 동일한 조건으로 준비하였다.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은 ADVIA automated hematology analyzer (Bayer ADVIA 1650, Tarrytown, NY,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6).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는 NCBI gene과 KEGG pathway database의 PPAR signaling pathway, insulin signaling pathway, type I diabetes mellitus, type II diabetes mellitus와 관련한 유전자를 이용하였으며, 총 924개 유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발효녹차 식이 마우스에서 발현량이 증가한 유전자는 161개였으며, 반대로 발현량이 감소한 유전자는 91개로 나타났다.
  • 발효녹차 식이 마우스에서 발현량이 증가한 유전자는 161개였으며, 반대로 발현량이 감소한 유전자는 91개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제2형 당뇨와 연관성이 있고 대조군에 비해 1.8 fold 이상 up-regulation된 유전자 12개와 제2형 당뇨와 연관성이 있으면서 0.5 fold 이하 down-regulation된 유전자 9개를 선별하였다(Table 3).
  • 4% 첨가한 사료를 제조하여 식이로 공급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인 바나바 주정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사육실 온도는 23±2℃, 습도는 50±5%, 명암주기는 12시간 간격으로 설정하고 물과 사료를 자율 급식시켰다.
  • 제2형 당뇨모델인 KK-Ay(5주령, 수컷)를 Clea (Tokyo, Japan)에서 구입하여 1주일간 순화시킨 후, 체중에 따라 난괴법에 의해 7마리씩 4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은 AIN-93G 일반사료를 공급하였으며, 양성대조군, 녹차 원료, 녹차 발효물 첨가군은 일반 사료에 각 시료를 0.

데이터처리

  • Different letters indicate a significantly different base on one-way ANOVA and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 Different letters indicate a significantly different base on oneway ANOVA and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 a-b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a-c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각 실험군 사이의 평균값들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검정하였다.
  • 실험결과는 SAS 9.1 (SAS Institute Inc., Carry, NC, USA)을 이용해 평균값(mean)±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으로 표시하였고, 분산분석법(ANOVA)으로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Hybridization 된 이미지는 Agilent’s DNA microarray scanner로 분석하였으며, Feature Extraction Software(Agilent Technology, Palo Alto, CA, USA)를 이용하여 각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모든 데이터의 normalization과 fold-changed genes의 선별은 GeneSpringGX 7.3 (Agilent Technolog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발현된 유전자의 기능분석을 위해 Gene Ontology TM Consortium (http://www.geneontology.org/index.shtml)을 이용하였다. 유전자 classification은 BioCarta (http://www.
  • shtml)을 이용하였다. 유전자 classification은 BioCarta (http://www.biocarta.com/), GenMAPP (http://www.genmapp.org/), DAVID (http://david.abcc.ncifcrf.gov/), 및 Medline databases (http://www.ncbi. nlm.nih.gov/)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경구혈당강하제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경구혈당강하제로는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직접 자극하는 sulfonylurea와 non-sulfonylurea계(2), 간에서 포도당 합성을 억제하는 biguanide계(3), 장에서 포도당 흡수를 억제하는 α-glucosidase 저해제(4), 말초조직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thiaxolinedione(5)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혈당 강하제는 젖산 축적의 위험성, 신부전 증상의 악화, 간독성, 복부팽만 등의 부작용(3,4,6-8)을 나타내는 위험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장기 복용에 따른 위와 같은 부작용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혈당 강하 소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과 더불어 대체의료 개념이 부각되면서, 엉겅퀴(9), 흑삼(10) 과 같은 천연물의 항당뇨 활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 뿐 아니라 일본 및 미국을 중심으로 Mori folium(11) 및 Psidiium guajava(12) 등 당뇨병 환자를 위한 기능성 식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지속적인 고혈당은 어떤 체내에 악영향을 끼치는가? 당뇨병은 발병 원인에 따라 제1형 당뇨와 제2형 당뇨로 구분되는데, 전체 당뇨병의 90%에 해당하는 제2형 당뇨병은 근육, 간, 지방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인슐린 작용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췌장의 베타세포가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게 지속될 때 유발된다. 지속적인 고혈당은 당질뿐만 아니라 지질 및 단백질 대사에도 이상을 초래하여 신장 기능의 저하, 동맥경화, 망막 출혈로 인해 시력 저하, 족부 궤양, 말초신경병증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데, 2007년 당뇨 합병증인 말초순환장애 및 당뇨병성 망막증 환자의 경우 전년 대비 각각 60% 및 36%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 이처럼 당뇨병은 그 자체의 발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반되는 합병증 발병률이 높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료비용(건강보험 총 진료비의 5분의 1이 당뇨병 환자 총 진료비) 및 인력손실 등 막대한 사회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1).
발병 원인에 따라 당뇨병을 분류하면? 85%)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당뇨병은 발병 원인에 따라 제1형 당뇨와 제2형 당뇨로 구분되는데, 전체 당뇨병의 90%에 해당하는 제2형 당뇨병은 근육, 간, 지방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인슐린 작용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췌장의 베타세포가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게 지속될 때 유발된다. 지속적인 고혈당은 당질뿐만 아니라 지질 및 단백질 대사에도 이상을 초래하여 신장 기능의 저하, 동맥경화, 망막 출혈로 인해 시력 저하, 족부 궤양, 말초신경병증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데, 2007년 당뇨 합병증인 말초순환장애 및 당뇨병성 망막증 환자의 경우 전년 대비 각각 60% 및 36%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Report of Task Force Team For Basic Statistical Study of Korean Diabetes Mellitus: Diabetes in Korea 2007. 1st ed. Goldfishery, Seoul, Korea (2008) 

  2. Levetan C. Oral antidiabetic agents in type 2 diabetes. Curr. Med. Res. Opin. 23: 945-952 (2007) 

  3. Krentz AJ, Bailey CJ. Oral antidiabetic agents: current rol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Drugs 63: 385-411 (2005) 

  4. Clissold SP. Edwards C. Acarbose: a preliminary review its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potential. Drugs 35: 214-243 (1988) 

  5. Diamant M, Heine RJ. Thiazolidinedion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current clinical evidence. Drugs 63: 1373-1405 (2003) 

  6. Stumvoll M, Nurjhan N, Perriello G, Dailey G, Gerich JEN. Metabolic effects of metformin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ew Engl. J. Med. 333: 550-554 (1995) 

  7. Barnett D, Craig JG, Robinson DS, Rogers MP. Effect of clofibrate on glucose tolerance in maturity onset diabetes. Brit. J. Clin. Pharmaco. 4: 455-458 (1977) 

  8. Murphy EJ, Davern TJ, Shakil AO, Shick L, Masharani U, Chow H, Freise C. Lee WM, Bass NM. Troglitazone-induced fulminant hepatic failure. Acute Liver Failure Study Group. Digest. Dis. Sci. 45: 549-553 (2000) 

  9. Han HK, Je HS, Kim GH. Effect of Cirsium japonicum powder on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343-349 (2010) 

  10. Kun SN, Kang SJ. Effect of black ginseng (9 times steaming ginseng) on hypoglycemic action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insenosides on the steam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77-81 (2009) 

  11. Iizuka Y, Sakurai E, Tanaka Y. Antidiabetic effect of folium mori in GK rats. Yakugaku zasshi 121: 365-369 (2001) 

  12. Oh WK, Lee CH, Lee MS, Bae EY, Sohn CB, Oh H, Kim BY, Ahn JS. Antidiabetic effects of extracts from Psidium guajava. J. Ethnopharmacol. 96: 411-415 (2005) 

  13. Bae EA, Kim NY, Han MJ, Choo MK, Kim DH.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s to compounds K (IH-901) by lactic acid bacteria of human intestine. J. Microbiol. Biotechnol. 13: 9-14 (2003) 

  14. Kusznierewicz B, Smiechowska A, Bartoszek A, Namiesnik J. The effect of heating and fermenting on antioxidant properties of white cabbage. Food Chem. 108: 853-861 (2008) 

  15. Han CC, Wei H, Guo J.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ermented and non-fermented sophora flavescens: a comparative study. BMC Complem. Altern. M. 11: 100-106 (2011) 

  16. Cabrera C, Artacho R, Gimenez R. Beneficial effects of green tea-a review. J. Am. Coll. Nutr. 25: 79-99 (2006) 

  17. Xu J, Zhu SG, Yang FM, Cheg LC, Hu Y, Pan GX, Hu QH. The influence of selenium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J. Sci. Food Agr. 83: 451-455 (2003) 

  18. Yee YK. Koo MW.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Chinese tea: in vitro study. Aliment. Pharm. Ther. 14: 635-638 (2000) 

  19. Sabu MC, Smitha K, Kuttan R. Anti-diabetic activity of green tea polyphenols and their role in reducing oxidative stress in experimental diabetes. J. Ethnopharmacol. 83: 109-116 (2002) 

  20. Zheng G, Sayama K, Okubo T, Juneja LR, Oguni I. Anti-obesity effects of three major components of green tea, catechins, caffeine and theanine in mice. In Vivo 18:55-62 (2004) 

  21. Yang TT, Koo MW. Chinese green tea lowers cholesterol level through an increase in fecal lipid excretion. Life Sci. 66: 411-423 (2000) 

  22. Feng Q, Torii Y, Uchida K, Nakamura Y, Hara Y, Osawa T. Black tea polyphenols, theaflavins, prevent cellular DNA damage by inhibiting oxidative stress and suppressing cytochrome P450 IAI in cell culture. J. Agr. Food Chem. 50: 213-220 (2002) 

  23. Kuo KL, Weng MS, Chiang CT, Tsai YJ, Lin-Shiau SY, Lin JK. Comparative studies on the hypolipidemic and growth effects of oolong, black, pu-erh, and green tea leaves in rats. J. Agr. Food Chem. 53: 480-489 (2005) 

  24. Gomes A, Vedasiromoni JR, Das M, Sharma RM, Ganguly DK. Anti-hyperglycemic effect of black tea (Camellia sinensis) in rat. J. Ethnopharmacol. 45: 223-226 (1995) 

  25. Lee SI, Lee YK, Kim SD, Yang SH, Suh JW. Dietary effects of post-fermented green tea by Monascus pilosus on the body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the activities of hepatic antioxidative enzymes in mouse fed a high fat diet. J. Appl. Biol. Chem. 55: 85-94 (2012) 

  26. Chen YS, Liu BL, Chang YN. Bioactivi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pu-erh teas made from three tea leaves in an improved pile fermentation process. J. Biosci. Bioeng. 109: 557-563 (2010) 

  27. Huang HC, Lin JK. Pu-erh tea, green tea, and black tea suppresses hyperlipidemia, hyperleptinemia and fatty acid synthase through activating AMPK in rats fed a high-fructose diet. Food Funct. 3: 170-177 (2012) 

  28. Huang Q, Chen S, Chen H, Wang Y, Wang Y, Hochstetter D, Xu P. Studies on the bio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 pu-erh tea and its fracti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 -glycosidase inhibitory property, and their effect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ic mice. Food Chem. Toxicol. 53: 75-83 (2013) 

  29. Park JH, Kim Y, Kim SH. Green tea extract (Camellia sinensis) Fermented by Lactobacillus fermentum attenuated alcohol-induced liver damage. Biosci. Biotech. Bioch. 76: 2294-2230 (2012) 

  30. Miura T, Koike T, Ishida T. Antidiabetic activity of green tea (Thea sinensis L). in genetically type 2 diabetic mice. J. Health Sci. 51: 708-710 (2005) 

  31. Lee BR, Koh KO, Park PS.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green tea extract on alloxan-induced diabetic and OLETF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96-702 (2007) 

  32. Kumar B, Gupta SK, Nag TC, Srivastava S, Saxena R. Green tea prevents hyperglycemia-induced retinal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Ophthalmic Res. 47: 103-108 (2012) 

  33. Kamiyama O, Sanae F, Ikeda K, Higashi Y, Minami Y, Asano N, Adachi I, Kato A. In vitro inhibition of $\alpha$ -glucosidases and glycogen phosphorylase by catechin gallates in green tea. Food Chem. 122: 1061-1066 (2010) 

  34. Anderson RA, Polansky MM. Tea enhances insulin activity. J. Agr. Food Chem. 50:7182-7186 (2002) 

  35. Cameron AR, Anton S, Melville L, Houston NP, Dayal S, McDougall GJ, Stewart D, Rena G. Black tea polyphenols mimic insulin/insulin-like growth factor-1 signalling to the longevity factor FOXO1a. Aging Cell 7: 69-77 (2008) 

  36. Ma X, Tsuda S, Yang X, Gu N, Tanabe H, Oshima R, Matsuchita T, Egawa T, Dong AJ, Zhu BW, Hayashi T. Pu-erh tea hotwater extract activates Akt and induced insulin-independent glucose transport in rat skeletal muscle. J. Med. Food 16: 259-262 (2013) 

  37. Stratton IM, Adler AI, Neil HAW, Matthews DR, Manley SE, Cull CA, Hadden D, Turner RC, Holman RR.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rit. Med. J. 321: 405-412 (2000) 

  38. Shanik MH, Xu Y, Skrha J, Dankner R, Zick Y, Roth J.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Diabetes Care 31: S262-S268 (2008) 

  39. Srinivasan K, Ramarao P. Animal models in type 2 diabetes research: An overview. Indian J. Med. Res. 125: 451-472 (2007) 

  40. Mattews DR, Hosker JP, Rudenski AS, Naylor BA, Treacher DF, Turner RC.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 in man.Diabetologia 28: 412-419 (1985) 

  41. Krauss RM. Lipids and lipoprotei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7: 1496-1504 (2004) 

  42. Avramoglu RK, Basciano H, Adeli K. Lipid and lipoprotein dysregulation in insulin resistant states. Clin. Chim. Acta 368: 1-19 (2006) 

  43. Kolovou GD, Anagnostopoulou KK, Cokkinos DV. Pathophysiology of dyslipidaemia in the metabolic syndrome. Postgrad. Med. J. 81: 358-366 (2005) 

  44. Hirano T. Lipoprotein abnormalities in diabetic nephropathy. Kidney Int. 56 (suppl.) 71: S22-S24 (1999) 

  45. Castelli WP, Garrison RJ, Wilson PW, Abbott RD, Kalousdian S, Kannel WB.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Framingham study. J. Am. Med. Assoc. 256: 2835-2838 (1986) 

  46. de Santana MB, Madarino MG, Cardoso JR, Dichi I, Dichi JB, Camargo AEI, Fabris BA, Rodrigues RJ, Fatel ECS, Nixdorf SL, Simao ANC, Cecchini R, Barbosa DS. Association between soy and green tea (Camellia sinensis) diminishes hypercholesterolemia and increases total plasma antioxidant potential in dyslipidemic subjects. Nutrition 24: 562-568 (2008) 

  47. Unno T, Tago M, Suzuki Y, Nozawa A, Sagesaka YM, Kakuda T, Egawa K, Kondo K. Effect of tea cathechins on postprandial plasma lipid responses in human subjects. Brit. J. Nutr. 27: 363- 370 (2008) 

  48. Tsao TS, Burcelin R, Charron MJ. Regulation of hexokinase II gene expression by glucose flux in skeletal muscle. J. Biol. Chem. 271: 14959-14963 (1996) 

  49. Postic C, Leturque A, Rencurel F, Printz RL, Forest C, Granner DK, Girard J. The effects of hyperinsulinemia and hyperglycemia on GLUT4 and hexokinase II mRNA and protein in rat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Diabetes 42: 922-929 (1993) 

  50. Frank SK, Fromm HJ. Effect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and insulin treatment on the synthesis of hexokinase II in the skeletal muscle of the rat. Arch. Biochem. Biophys. 249: 61-69 (1986) 

  51. Braithwaite SS, Palazuk B, Colca JR, Edwards CW, Hofmann C. Reduced expression of hexokinase II in insulin-resistant diabetes. Diabetes 44: 43-48 (1995) 

  52. Vestergaard H, Bjorbaek C, Hansen T, Larsen FS. Granner DK, Pedersen O. Impaired activity and gene expression of hexokinase II in muscle from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J. Clin. Invest. 96: 2639-2645 (1995) 

  53. Hart AW, Baeza N, Apelqvist A, Edlund H. Attenuation of FGF signalling in mouse beta-cells leads to diabetes. Nature 408: 864- 868 (2000) 

  54. Matsuda Y, Saegusa H, Zong S, Noda T, Tanabe T. Mice lacking Ca(v)2.3 (alpha1E) calcium channel exhibit hyperglycemia. Biochem. Bioph. Res. Co. 289: 791-795 (2001) 

  55. Pereverzev A, Mikhna M, Vajna R, Gissel C, Henry M, Weiergraber M, Hescheler J, Smyth N, Schneider T. Disturbances in glucose-tolerance, insulin-release, and stress-induced hyperglycemia upon disruption of the Ca(v)2.3 (alpha 1E) subunit of voltage- gated Ca(2+) channels. Mol. Endocrinol. 16: 884-895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