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는 선씀바귀의 항산화 및 탄수화물 소화효소 억제 효과를 평가하여 제 2형 당뇨환자에게 중요한 항산화제 및 혈당 상승 억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선씀바귀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 ISE가 ISW보다 총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고 항산화 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 활성 또한 높았다. ISE의 계통분획물 중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의 소화효소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하고,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탄수화물 소화효소 억제효과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함량과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때, ISW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ISE의 항산화 및 소화효소 저해 활성은 페놀 화합물, 특히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ISE와 에틸아세테이트 그리고 부탄올 분획물은 우수한 항당뇨 기능성 소재라고 판단된다.
Purpose: Ixeris strigosa (IS) is a perennial plant that commonly grows in meadows. The leaves and roots of IS have been used in medicine as a seda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nd carbohydrate-digestive-enzyme inhibitory effects of IS to determine its potential as an essential antioxidant and glycemic inhibitor for type 2 diabetics. Methods: The antioxidative and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examined using the water extracts (ISW), ethanol extracts (ISE), and solvent fractions from I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in vitro methods by measur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ults: Investigations of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IS extract showed that the ISE had higher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han the ISW, as well as high antioxidant activity. The ethanolic extracts of IS (70%) had an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78.55%. The ethyl acetate fraction (90.56%) showed higher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than the positive control, acarbose (83.01%). Conclusion: Among the ISE fractions, the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showed the best digestive enzyme inhibitory activity. Moreov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and the carbohydrate,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showed a stronger correlation with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compared to the ISW. As a result, the antioxidant and digestive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high ISE are due to the phenolic compounds, particularly the flavonoid compounds. Therefore,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of the 70% ethanol extract are excellent anti-diabetic functional material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위장관련 부작용으로 인한 약물의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을 이용한 대안적 소재들을 찾아야 한다 [20].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천연물 소재인 선씀바귀를 이용하여 항당뇨를 위한 탄수화물 소화효소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선씀바귀의 항산화 및 탄수화물 소화효소 억제 효과를 평가하여 제 2형 당뇨환자에게 중요한 항산화제 및 혈당 상승 억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선씀바귀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 ISE가 ISW보다 총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고 항산화 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 활성 또한 높았다.
선씀바귀 추출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와 α-glucosidase 저해 활성 및 α-amylase 저해 활성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상대적으로 잘 알려졌으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씀바귀에 비해 선씀바귀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현재까지 알려진 씀바귀 성분들의 생리활성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선씀바귀 물 추출물 (ISW)과 선씀바귀 70% 에탄올 추출물 (ISE) 및 용매 분획물 (헥산 [hexane], 클로로포름 [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n-부탄올 [water standard n-butanol])의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여 선씀바귀의 항당뇨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