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보유 유용 식물 탐색
Screening of Useful Plants with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4, 2013년, pp.441 - 449  

이승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최재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정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노형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금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진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정해영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  김승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물자원을 재료로 하여 in vitr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함으로써 기능성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유망 후보자원을 발굴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식물추출물 38종을 대상으로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염증 관련지표(nitric oxide, TNF-${\alpha}$, IL-6, $I{\kappa}B{\alpha}$, iNOS, COX-2) 및 항산화항목(DPPH 라디칼 소거능, LDL 산화저해능) 및 총페놀 함량에 대한 효과를 탐색하고 결과로부터 8종의 시료를 1차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8종의 시료에 대해서는 다시 농도별로 세포증식에 대한 효과, iNOS, COX-2의 발현 및 NF-${\kappa}B$ 전사에 대한 영향, peroxynitrite, ROS, nitric oxide 생성에 대한 $IC_{50}$ 값을 분석하여 보다 가능성이 있는 식물을 유망후보자원으로 선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사나무(가지), 등골나물(잎), 으름(꽃) 및 개모시풀(뿌리)은 항염증 혹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나 농도에 따라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므로 활용에 주의가 필요해보였으며, 어저귀(잎)은 항염증활성과 항산화활성이 비교적 우수하고 실험된 처리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어 향후 in vivo 활성 검정 등 심화연구를 통해 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some useful plants as functional material candidates. A total of 38 plants were preliminarily screened for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preliminarily selected 8 plants were further investigated to verify the in vitro inhibitory effect on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자원을 재료로 하여 in vitr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함으로써 염증 및 산화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의 발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기능성 후보 소재를 발굴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식물자원을 재료로 하여 in vitr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함으로써 기능성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유망 후보자원을 발굴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식물추출물 38종을 대상으로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염증 관련지표(nitric oxide, TNF-α, IL-6, IκBα, iNOS, COX-2) 및 항산화항목(DPPH 라디칼 소거능, LDL 산화저해능) 및 총페놀 함량에 대한 효과를 탐색하고 결과로부터 8종의 시료를 1차로 선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을 통해 염증 및 산화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의 발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고 추측한 이유는? 건강 및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서 염증과 산화스트레스는 여러 질환의 발병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관심이 주목된다. 염증반응은 조직손상이나 면역인지로 염증성 매개체의 생성과 분비를 가져오고 이러한 매개체들의 인지와 결합으로 식세포가 내피세포에 부착하고 화학성 자극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혈류로부터 이동하게 되며, 신호발생영역 부근에서 염증성 매개체의 농도가 충분히 높아지면 자극인자를 소화시키거나 파괴하기 위해 또는 가수분해 효소나 유독성 산소생성물을 외부환경에 분비하기 위해 식세포가 완전히 활성화되는 데, 정상적인 생리조건에서는 자극인자가 제거된 후 염증은 진정되지만 병리적 상태에서는 염증성 반응이 만성적으로 되며 조직 파괴로 이어진다(Verghese and Snyderman, 1990). 염증 반응은 비만, 노화, 동맥경화의 시작과 진행이나 암발생과의 연관성이 알려져 있고, 류마티스성 염증반응은 자가항체에 대한 특정 면역성에 의해 작동되어 지엽적인 염증, 세포투과 및 조직손상을 일으키며, 이는 외래미생물에 대해 방어적 면역에서 나타나는 것과 동일한 기전으로 일어난다 (Chung et al., 2001; Forsythe et al., 2008; Lee et al., 2010; Wang and Cho, 2010; Skapenko et al., 2006). 또한, 산화스트레스는 생체 안에서 에너지 생성에 사용되는 산소의 일부로부터 만들어진 활성산소에 기인하거나 자외선 혹은 약물에 기인하여 생기는 데, 이를 제거하는 생체 내의 방어시스템과의 균형이 무너질 때 암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발병에 관여하므로 산화스트레스를 제거하는 항산화물질은 지질과산화와 자유라디칼을 저해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여러 질환의 발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후보물질이 될 수 있다(Frei, 1994; Forbes et al., 2008; Bruck et al.
염증반응의 과정은? 건강 및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서 염증과 산화스트레스는 여러 질환의 발병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관심이 주목된다. 염증반응은 조직손상이나 면역인지로 염증성 매개체의 생성과 분비를 가져오고 이러한 매개체들의 인지와 결합으로 식세포가 내피세포에 부착하고 화학성 자극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혈류로부터 이동하게 되며, 신호발생영역 부근에서 염증성 매개체의 농도가 충분히 높아지면 자극인자를 소화시키거나 파괴하기 위해 또는 가수분해 효소나 유독성 산소생성물을 외부환경에 분비하기 위해 식세포가 완전히 활성화되는 데, 정상적인 생리조건에서는 자극인자가 제거된 후 염증은 진정되지만 병리적 상태에서는 염증성 반응이 만성적으로 되며 조직 파괴로 이어진다(Verghese and Snyderman, 1990). 염증 반응은 비만, 노화, 동맥경화의 시작과 진행이나 암발생과의 연관성이 알려져 있고, 류마티스성 염증반응은 자가항체에 대한 특정 면역성에 의해 작동되어 지엽적인 염증, 세포투과 및 조직손상을 일으키며, 이는 외래미생물에 대해 방어적 면역에서 나타나는 것과 동일한 기전으로 일어난다 (Chung et al.
염증과 산화스트레스가 주목받는 이유는? 건강 및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서 염증과 산화스트레스는 여러 질환의 발병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관심이 주목된다. 염증반응은 조직손상이나 면역인지로 염증성 매개체의 생성과 분비를 가져오고 이러한 매개체들의 인지와 결합으로 식세포가 내피세포에 부착하고 화학성 자극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혈류로부터 이동하게 되며, 신호발생영역 부근에서 염증성 매개체의 농도가 충분히 높아지면 자극인자를 소화시키거나 파괴하기 위해 또는 가수분해 효소나 유독성 산소생성물을 외부환경에 분비하기 위해 식세포가 완전히 활성화되는 데, 정상적인 생리조건에서는 자극인자가 제거된 후 염증은 진정되지만 병리적 상태에서는 염증성 반응이 만성적으로 되며 조직 파괴로 이어진다(Verghese and Snyderman,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ckman, J.S. and J.P. Crow. 1993. Pathological implications of nitric oxide, superoxide and peroxynitrite formation. Biochem. Soc. T. 21:330-334. 

  2. Bruck. R., H. Shirin, H. Aeed, Z. Matas, A. Hochman, M. Pines and Y. Avni. 2001. Prevention of hepatic cirrhosis in rats by hydroxyl radical scavengers. J. Hepatol. 35:457-464. 

  3. Chung, J.S. and M.G. Shin. 1990. Encyclopedia of Hyang-Yak (herbal drug), Young Lim Co., Seoul. Korea. pp. 33-1090 (in Korean). 

  4. Chung, H.Y., H.J. Kim, J.W. Kim and B.P. Yu. 2001. The inflammation hypothesis of aging.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928:327-335. 

  5. Forbes, J.M., M.T. Coughlan and M.E. Cooper. 2008. Oxidative stress as a major culprit in kidney disease in diabetes. Diabetes 57:1446-1454. 

  6. Forsythe, L., J. Wallacew and M. Livingstone. 2008. Obesity and inflammation; the effects of weight loss. Nutr. Res. Rev. 21:117-133. 

  7. Frei, B. 1994. Natural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cademic Press, MA (USA). pp. 25-55. 

  8. Honeckman, A. D.V.M. 2003. Current concepts in the treatment of canine chronic hepatitis. Clin. Tech. Small Ani. Prac. 18: 239-244. 

  9. Kim, D.W., H.J. Yun, J.Y. Heo, T.H. Kim, H.J. Cho and S.D. Park. 2010.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Do-Ki-Tang methanol extract in mouse macrophage cells. Korea J. Herbol. 25:103-112 (in Korean). 

  10. Lee, S.E., Y.S. Kim, J.E. Kim, J.K. Bang and N.S. Seong.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 and Hemiptelae davidii P.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321-327 (in Korean). 

  11. Lee, S.E., J.S. Sung, I.B. Jang, G.S. Kim, T.J. Ahn, H.S. Han, J.E. Kim, Y.O. Kim, C.B. Park, S.W. Cha, Y.S. Ahn, H.K. Park, J.K. Bang and N.S. Seong. 2008. Investigation on antioxidant activity in plant resources. Korean J. Med. Crop Sci. 16:352-366 (in Korean). 

  12. Lee, S.E., J.H. Lee, J.K. Kim, G.S. Kim, Y.O. Kim, J.S. Soe, J.H. Choi, E.S. Lee, H.J. Noh and S.Y. Kim. 201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Med. Crop Sci. 19:218-226 (in Korean). 

  13. Lee, Y.W., P.H. Kim, W.H. Lee and A.A. Hirani. 2010. Interleukin-4, oxidative stress, vascular inflammation and atherosclerosis. Biomol. Ther. 18:135-144. 

  14. Morillas, P., H. Anfrade, J. Castillo, J. Quiles, V. Bertomeu-Gonzalez, A. Cordero, E. Tarazon, E. Rosello, M. Portoles, M.Rivera and V. Bertomeu-Martinez. 2012.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hypertension. Relevance of the extent of target organ damage. Rev. Esp. Cardiol. 65: 819-825. 

  15. Skapenko, A., P.E. Lipsky and H. Schulze-Koops. 2006. T cell activation as starter and motor of rheumatic inflammation. In Radbruch, A. and P.E., Lipsky (eds.), Current Conceps in Autoimmunity and Chronic Inflammation. Springer Press, Berlin, Germany. pp. 195-211. 

  16. Soe, J.S., T.H. Lee, S.M. Lee, S.E. Lee, N.S. Seong and J. Kim. 2009.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activated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 Med. Crop Sci. 17:173-178. 

  17. Solin, M.L., H. Ahola, A. Haltia, F. Ursini, T. Montine, A. Roveri, D. Kerjaschki and H. Holthofer. 2001. Lipid peroxidation in human proteinuric disease. Kidney Int. 59:481- 487. 

  18. Verghese, M.W. and R. Snyderman. 1990. Role of chemotatic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Oppenheim, J.J. and E.M., Shevach, (eds.), Immunophysiology: The Role of Cells and Cytokines in Immunity and Inflamm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Y, USA. pp. 274-276. 

  19. Vitaglione, P., F. Morisco, H. Caporase and V. Fogliano. 2004, Dietary an tioxidant compounds and liver disease. Crit. Rev. Food Sci. Nutr. 44:575-586. 

  20. Vinson, J.A., Y.A. Dabbagh, M.M. Serry and J. Jang 1995. Plant flavonoids, especially tea flavonoids, are powerful antioxidants using an in vitro oxidation model for heart disease. J. Agr. Food Chem. 13:2800-2802. 

  21. Wang, H. and C.H. Cho. 2010. Effect of NF-kappaB signaling on apoptosis in chronic inflammation-associated carcinogenesis. Curr. Cancer Drug Targ. 10:593-5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