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 마산, 광주, 제주지역 학교급식의 나트륨 및 칼륨 함량 분석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of School Meal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Masan, Gwangju, and Jeju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8, 2013년, pp.1303 - 1317  

임현숙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양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동순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허영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혜정 (국제한식조리학교) ,  채인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화영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혜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동길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영양기능연구팀)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점심으로 제공되는 학교급식의 나트륨과 칼륨 함량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대구, 마산, 광주 및 제주에 소재한 초등학교 12개교와 중학교 12개교에서 대략 열흘 동안 제공된 872 종의 음식을 수거하였으며, 이들 음식을 4종의 주식류, 15종의 부식류 및 5종의 후식류로 구분하였다. 각 음식의 나트륨과 칼륨 함량을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하였고 Na/K 비율을 산출하였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된 총 24종의 음식군 중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음료류, 과일류, 우유/유제품류 및 밥류의 네 음식군만 나트륨의 위해 기준이 낮은 "저(low) 나트륨(<120 mg/100 g)" 범위에 속하였고, 초등학교의 경우는 장아찌류, 소스류, 볶음류, 김치류 및 생채류 등 5종의 음식군과 중학교의 경우는 이들 외에 찜류와 구이류를 포함한 7종의 음식군이 "고(high) 나트륨(${\geq}500mg/100g$)" 범위에 해당하였으며, 나머지 음식군은 "중 나트륨(120~500 mg/100 g)" 범위에 들었다. "중 나트륨" 범위에 속한 음식군 중에서도 주식류의 일품요리류, 죽류, 특히 습식음식인 면류와 후식류에서 떡류와 빵/스낵류는 나트륨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이러한 결과, 점심 한 끼로 제공된 음식의 나트륨 함량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각 974 mg과 1,466 mg으로 해당 연령대의 충분섭취량의 1/3 분량에 비해 각각 225%와 293%로 높았다. 이와 함께 동일한 음식의 나트륨 함량이 학교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밝힌 본 연구결과는 학교급식에서 조정 가능한 나트륨 함량이 통제되지 않았음을 시사해주었다. 나트륨 위해기준이 높은 음식군을 비롯해 각 음식의 레시피에 나트륨을 함유하는 소금이나 간장 등 장류나 소스류의 적정 사용량을 명시하고 이의 사용을 상시 모니터링하거나, 저염 음식을 개발하거나, 나트륨 함량이 높은 가공식품의 사용을 줄이거나 또는 나트륨을 제거하거나, 후식류의 경우는 학교에서 조리하지 않으므로 나트륨 함량이 낮은 음식을 선택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트륨 저감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한편 학교급식에서 제공된 음식군의 칼륨 함량은 나트륨에 비해 큰 변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식류에서는 밥류의 칼륨 함량은 낮은 편이었고 일품요리류, 죽류 및 면류는 높았는바, 이들 음식군의 나트륨 함량이 높은 점을 상쇄하였다. 그러나 부식류 중에서 습식음식군의 칼륨 함량이 건식음식군에 비해 절반 정도로 낮은 편이었다. 후식류에서는 과일류가 높았던 반면에 떡류가 낮은 편이어서 떡류는 나트륨 함량은 높고 칼륨 함량은 낮은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 점심 한 끼로 제공된 음식의 칼륨 함량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각 378 mg과 528mg으로 해당 연령대의 충분섭취량의 1/3에 비해 각각 35%와 45%로 낮았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급식에서 칼륨 함량을 높이려는 노력이 없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국류, 찌개류 및 탕/전골류 등 습식음식에 칼륨 함량이 높은 재료를 많이 사용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며 또한 후식으로 떡류 사용을 억제하고 칼륨 함량이 높은 과일류나 우유/유제품류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 각 음식군의 Na/K 비율은 칼륨 함량보다는 나트륨 함량에 의해 결정되는 양상이었다. 즉 주식류에서는 일품요리류와 죽류, 특히 면류가 밥류에 비해 두 배 정도 높았고, 부식류 중에서는 장아찌류, 소스류, 볶음류 등이 높은 반면에 샐러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odium (Na) and potassium (K) content of school meals served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in Korea. In this study, 872 kinds of school meal dishes were collected from twelve elementary and twelve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four different cit...

주제어

참고문헌 (46)

  1.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2005. Counter measures and plans for reducing sodium intake of KFDA. Seoul, Korea. 

  2. Pujol TJ, Tucker JE, Barnes JT. 2011. Disease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In Nutrition Therapy and Pathophysiology. 2nd ed. Nelms M, Sucher KP, Lacey K, Roth SL, eds. Wadsworth, Belmont CA, USA. p 308-309. 

  3. Chobanian AV, Hill M. 2000.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evidence. NHLBI workshop on sodium and blood pressure. Hypertension 35: 858-863. 

  4. Chisato N, Naoyoshi T, Natsuki S, Hiroyuki S. 2004. Sodium intake and risk of death from stroke in Japanese men and women. Stroke 35: 1543-1547. 

  5. Tsugane S. 2005. Salt, salted food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Cancer Sci 96: 1-6. 

  6. Antonios TF, MacGregor GA. 1995. Deleterious effect of salt intake other than effects on blood pressure. Clin Evp Pharmacol Physiol 22: 180-184. 

  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Hanarum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67-381. 

  8. Shin EK, Lee HJ, Lee JJ, Ahn MY, Son SM, Lee YK. 2010. Estimation of sodium intake of adult female by 24-hour urine analysis, dietary record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DFQ 55). Korean J Nutr 43: 79-85. 

  9.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2007.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12: 545-558.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2006. The Thi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Seoul, Korea.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CDCP)/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09.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ANES IV). Seoul, Korea. 

  12. Kim JY, Kang YR, Lee MY, Paik HY. 1990. Sodium intake and preference for salty tast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siding in rural and urban areas of Korea. Korean J Nutr 23: 248-256. 

  13. Lim HS, Lee YS. 1983. Urinary sodium and blood pressure in Korean children. Korean J Nutr 16: 209-215. 

  14. Matters RD. 1984. Salt taste and hypertensio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 Chron Dis 37: 195-208. 

  15. Contreras RJ. 1978. Salt taste and disease. Am J Clin Nutr 31: 1088-1097. 

  16. Chang SO. 2010. Effect of a 6-month low sodium diet on the salt taste perception and pleasantness, blood pressure and the urinary sodium excre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43: 433-442. 

  17. Sacks FM, Svetkey LP, Vollmer WM, Appel LJ, Bray GA, Harsha D. 2001. Effects on blood pressure of reduced dietary sodium and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DASH) diet. DASH-Sodium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N Engl J Med 344: 3-10. 

  18. Dahl LK, Leitl G, Heine M. 1972. Influence of dietary potassium and sodium/potassium molar ratios on the development of salt hypertension. J Exp Med 136: 318-330. 

  19. Goto A, Tobian L, Iwai J. 1981. Potassium feeding reduces hyperactive central nervous system pressor responses in Dahl salt-sensitive rats. Hypertension 3: 128-134. 

  20. Imura O, Kijma T, Kikuchi K. 1981. Studies on the hypertensive effect of high potassium intake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Clin Sci 61: 77-80. 

  21. Morris RC Jr, Sebastian A, Forman A, Tanaka M, Schmidlin O. 1999. Normotensive salt sensitivity: effect of race and dietary potassium. Hypertension 33: 18-23. 

  22. Appel LJ, Brands MW, Daniels SR, Karanja N, Elmer PJ, Sacks FM. 2006. Dietary approaches to prevent and treat hypertens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Hypertension 47: 296-308. 

  23. The six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1997. Arch Intern Med 157: 2413-2446. 

  24. Park SJ, Paik HY, Lee SY. 2007. The influence of mixed NaCl-KCl salt on sodium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sodium and potassium. Korean J Nutr 40: 500-508. 

  25.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14991&efYd20120722#0000. 2013. 

  26. Ahn S, Park S, Kim JN, Han SN, Jeong SB, Kim HK. 2013. Salt content of school meals and comparisons of perception related to sodium intak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utr Res Pract 7: 59-65. 

  27. Lee H, Lee C, Lee K, Jung Y. 2010.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5-91. 

  28. Lee S, Chang E, Choi J, Baln K, Kim M. 2010. Current assessment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school me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78-585. 

  29. http://www.mfds.go.kr/index.do?mid56&seq20033&cmdv. 2013. 

  30. Lee O, Chung Y, Moon J. 2010. Analysis of Na and Cl contents in children's favorite foods. Korean J Nutr 43: 524-532. 

  31. Park HR, Jeong GO, Lee SI, Kim JY, Kang SA, Park KY, Ryou HJ. 2009. Workers intake too much salt from eating out dishes and food service cafeterias: direct chemical analysis of sodium content. Nutr Res Prac 3: 328-333. 

  32. Fregly MJ. 1983. Estimates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m Intern Med 98: 792-799. 

  33. Kim YS, Paik HY. 1987. Measurement of Na intake in Korean adult females. Korean J Nutr 20: 341-349. 

  34. Son SM, Heo KY. 2006. Dietar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 661-674. 

  35. Cho YY. 2002. Practice guidelines for reducing salt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7: 394-400. 

  36. Lim HJ. 2000. A study on the food intak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urinary excre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Pusan. Korean J Nutr 33: 647-659. 

  37. Alonso A, Fuente C, Martin-Arnau AM, Irala J, Martinez JA, Martinez-Gonzalez MA. 2004.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blood pressure in a Mediterranean population with a high vegetable-fat intake: the Seguimiento Universidad de Navarra (SUN) study. British J Nutr 92: 311-319. 

  38. Moon HK, Choi SO, Kim JE. 2009. Dishe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of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14: 123-136. 

  39. Son SM. 2007. Koreans' problems in salt intakes and the role of dieticians for low-salt diet. J Nutr Diet 30: 10-14. 

  40. Kim ES. 1996. Trend and present of salt intake of Koreans. Nutr Dietetics 97: 4750-4751. 

  41. Cho YY. 2002. Practice guidelines for reducing sal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7: 394-400. 

  42.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2008.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13: 1-12. 

  43. Lee CJ. 1994. A study on the use of Kimchies in sodium restricted diet of hospital food service opera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 71-77. 

  44. Meneely GR, Battarbee HD. 1976. High sodium-low potassium environment and hypertension. Am J Cardiol 38:768-785. 

  45. Lee KY, Yeum KJ, Kim EK, Lee JS. 1988. The seasonal studies on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their metabolisms of preschool children in Korea-Add other electrolytes: calcium, phosphorus and magnesium-. Korean J Nutr 21: 305-316. 

  46. Lim HJ. 2012. A study on th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urinary excretion of adul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7: 737-7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