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 초등학생의 멘탈 모델 변화 과정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Elementary Students' Mental Models about the Causes of the Seasonal Chang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5, 2013년, pp.893 - 910  

김순미 (한국교원대학교) ,  양일호 (한국교원대학교) ,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학생의 멘탈 모델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는 것이다. 미시 발생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총 8회기 동안 초등학교 6학년생 8명에게 계절 변화의 원인을 그림과 글, 사고 발성을 통해 설명하게 함으로써 멘탈 모델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연구 진행 시 연구 참여자의 언어적, 행동적 요소 및 면담 내용을 모두 비디오 녹화하였으며, 연구자의 현장 관찰 기록지와 학생이 작성한 멘탈 모델 기록지 등 다각적 자료를 함께 수집하였다. 수집한 결과를 통합하여 프로토콜을 작성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학습자의 멘탈 모델은 회기 내 및 회기 간에 걸쳐 개인마다 다양한 경로로 변화하였으며, 다양한 변화를 일으킨 학습자의 멘탈 모델이 과학적 모델에 더 근접하였다. 또한 자전이나 공전처럼, 계절의 변화와 관련된 선행 지식이 바르게 정착된 학생들은 새로운 정보에 기초하여 과학적 개념과 일치하는 멘탈 모델을 형성하였다. 반면에, 선행 지식이 바르게 정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변형된 멘탈 모델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둘째, 멘탈 모델이 변화하는 데에는 학습자의 선행지식과 경험 및 정보, 선행 지식의 정확성, 새로운 지식과 기존 멘탈 모델 사이의 불일치 해결, 모형 조작을 통한 멘탈 모델 활성화, 그림으로 그려보기와 같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다. 교사는 학습자의 과학적 개념 형성을 위하여 그들에게 다양한 멘탈 모델을 구성할 수 있는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고, 기존 멘탈 모델과 불일치하는 새로운 수업자료 제시를 통해 학습자가 의문을 느끼게 하고, 이를 해결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in mental models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about causes of seasonal changes. During a total of eight sessions, eight sixth graders were asked to describe the causes of seasonal changes through pictures, writing and thinking aloud by using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멘탈 모델의 구성은 무엇의 핵심인가? 이러한 멘탈 모델의 구성이 학습과 구성주의의 핵심(Gilbert & Ireton, 2003)이라는 점에서, 멘탈 모델의 변화는 곧 지식의 변화를 의미한다(Chi et al., 1994; Vosniadou & Brewer, 1994).
미시발생적 연구 방법이 아동 발달의 변화에 관한 연구에 적합한 방법인 이유는? 미시발생적 연구 방법은 아동 발달의 변화에 관한 연구에 적합한 방법이다. 이는 특정 변인의 발달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경험을 집중적으로 제공하고, 관찰의 밀도를 높여 빠르게 변화하는 능력을 짧은 간격으로 측정하기 때문에(Siegler & Chen, 1998; Siegler & Crowley, 1991) 변화 전과 후의 사고를 조사함으로써 아동들의 학습 경로를 확인할 수 있고, 순간순간의 미세한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지식 변화의 메커니즘을 추론할 수 있다(최현동, 2011; Chinn, 1997).
멘탈 모델이란? 멘탈 모델은 외부 세계로부터 획득한 정보나 경험, 아이디어의 내부적인 표상으로, 내면화되고 조직화된 지식의 구조를 말한다(Rapp, 2005). Linn 등(2004)의 연구에 의하면 학생들은 과학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많은 단일 개념을 획득하고 이를 의미 있게 연결하여 통합적인 멘탈 모델을 형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훈식, 김보경, 노태희(2005). 물질의 입자적 성질에 대한 다중 표상 학습에서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시키는 방안으로서의 그리기와 쓰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33-540. 

  2. 권난주, 권재술(2004).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과학 개념변화에서 학습자 특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24(2), 216-225. 

  3.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2), 315-325. 

  4. 김찬종, 이조옥(1995). 달의 위상 변화와 빛에 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17(1), 8-21. 

  5. 나진호, 정미영, 경재복(2005). 인지갈등 수업전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지층에 관한 개념. 한국지구과학회지, 26(8), 777-789. 

  6. 명전옥(2001). 예비교사들이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22(5), 339-349. 

  7.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25(7), 519-531. 

  8. 성나해, 최승언(2008). 달의 위상 변화에 관한 교과서의 지식 통합 과정 및 학생 정신 모델의 비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63-174. 

  9. 송현순(2001). 초등학생의 실과 문제해결 전략에 대한 미시발생학적 분석. 실과교육연구, 7(1), 129-146. 

  10. 심기창, 김희수, 정정인(2004). 인지갈등 수업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달의 운동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48-363. 

  11. 이호, 조현준, 이효녕(2007). 달 크레이터 생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53-670. 

  12.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 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13. 장명덕, 정철, 정진우(2001).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 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22(4),268-277. 

  14. 정구송(2007). 지구 내부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정신모형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43-652. 

  15. 채동현(2011).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초등과학교육학회지, 30(2), 204-212. 

  16. 최현동(2011). 대학생이 과학 관련 과제에서 사용한 분류 전략의 미시발생적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2), 151-165. 

  17. Chi, M. T., Slotta, J., & Leeuw, N. (1994). From things to processes: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for learning science concepts. Learning and Instruction, 4(1), 27-43. 

  18. Chinn, C. A. (1997). A Microgenetic Study of Learning about The Molecular Theory of Matter and Chemical Reactions. Urbana-Champaign: University of Illinois doctoral dissertation. 

  19. Coll, R. K., & Treagust, D. F. (2003). Investigation of secondary school,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arners' Mental models of ionic bon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64-486. 

  20. Diakidoy, I. N., & Kendeou, P. (2001). Facilitating conceptual change in astronomy: A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two instructional approaches. Learning and Instruction, 11(1), 1-20. 

  21. Dove, J. (1999). Exploring a hydrological concept through children's draw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5), 485-497. 

  22. Driver, R., Asoko, H., Leach, J., Mortimer, E., & Scott, P.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7), 5-12. 

  23. Edens, K. M., & Potter, E. R. (2001). Promoting conceptual understanding through pictorial representation. Studies in Art Education, 42(3), 214-233. 

  24. Edens K. M., & Potter, E. (2003). Using Descriptive Drawing as a conceptual change strategy in elementary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3), 135-144. 

  25. Gilbert, S. W., & Ireton, S. W. (2003). Understanding models in earth and space science. NATA press. Arlington, VA, USA. 

  26. Gobert, J. S., & Clement, J. (1999). Effects of studentgenerated diagrams versus student-generated summarie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ausal and dynamic knowledge in plate tecton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 39-53. 

  27. Gobert, J. D. (2000). A typology of models for plate tectonics: Inferential power and barriers to understan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9), 937-977. 

  28. Gobert, J. S., & Pallant, A. (2004). Fostering student's epistemologies of models via authentic model-based task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3(1), 7-22. 

  29. Greca, I. M., & Moreira, M. A. (2000). Mental models, conceptual models, and model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 1-11. 

  30. Greca, I. M., & Moreira, M. A. (2002). Mental, Physical, and Mathematical model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hysics. Science Education, 86(1), 106-121. 

  31. Johnson-Laird, P. N. (1983). Mental Models: Towards a cognitive science of language, inference, and consciousness. Harvard University Press. 

  32. Libarkin, J. C., Beifuss, M., & Kurdziel, J. P. (2003). Research methodologies in science education: Mental models and cognition in education.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1(1), 121-126. 

  33. Linn, M. C., Davis, E. A., & Bell, P. (2004). Internet environments for science educ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J, USA. 

  34. Norman, D. (1983). Some observations on mental models. Mental models,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5. Rapp, D. N. (2005). Mental models: Theoretical issues for visualizations in science education. In J. K. Gilbert (Ed.), Visualization in Science Education. (pp. 43-60).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36. Shepardson, D. P., Wee, B., Priddy, M., & Harbor, J. (2007). Students'men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27-348. 

  37. Siegler, R. S., & Chen, Z. (1998).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rule learning: A microgenetic analysis. Cognitive Psychology, 36(3), 273-310. 

  38. Siegler, R. S., & Crowley, K. (1991). The microgenetic method: A direct means for studying cognitive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46(6), 606-620. 

  39. Snow, R. E. (1989). Toward assessment of cognitive and conative structures in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9), 8-14. 

  40. Subramaniam, K., & Padalkar, S. (2009). Visualisation and reasoning in explaining the phases of the mo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3), 395-417. 

  41. Trafton, J. G., Trickett, S. B., & Mintz, F. (2005). Connecting internal and external representations: Spatial transformations of scientific visualizations. Foundations of Science, 10(1), 89-106. 

  42. Vosniadou, S. (1992). Knowledge acquisition and conceptual change.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1(4), 347-357. 

  43. Vosniadou, S. (1994). Conceptual change in the physical sciences. Learning and Instruction, 4(1), 1-121. 

  44. Vosniadou, S. (2002). Mental Models in Conceptual Development. In Magnani, L., & Nersessian, N. (Eds.), Model-Based Reasoning: Science, Technology, Values, New York: Kluwer Academic Press. 

  45. Vosniadou, S., & Brewer, W. F. (1994). Mental models of the day/night cycle. Cognitive Science, 18(1), 123-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