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ool for Examining Seasonal Change Concep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1, 2020년, pp.74 - 89  

노자헌 (전남대학교) ,  손준호 (태봉초등학교) ,  김종희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계절 변화 개념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계절 변화 개념과 관련된 하위 개념과 오개념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계절 변화 개념 검사 도구의 개발 과정은 검사 도구 개발 계획 수립, 검사 도구 초안 개발, 예비 검사 및 검사 도구 수정, 최종 검사 도구 개발, 본 검사 실시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개발된 검사 도구는 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 형성 정도를 검사하고 개념 형성에 어려움이 있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적절한 학습과 도움을 제공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개발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6학년 198명을 대상으로 한 회귀 분석 결과 선수학습개념의 이해정도와 오개념의 교정 정도는 계절 변화 단원에서 학습한 개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오개념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절단점을 생성하여 구분한 두 구간 중 평균 점수 이상 구간 학생들은 오개념의 교정 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평균 점수 이하 구간 학생들은 선수학습개념의 이해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ncept test tool for seasonal change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o objectively observe and analyze sub-concepts and misconceptions related to the concept of seasonal change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된 도구의 본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회귀 분 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선수학습개념과 오개념이 ‘계절의 변화’ 단원에서 학습한 개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선수학습개념과 오개념이 본 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 계절의 변화’ 단원을 학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계절 변화 개념의 형성 정도를 검사하고 학생이 가지고 있는 선수학습개념과 오개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선행 검사 도구에서 보완할 점을 반영하여 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계절 변화 개념’은 ‘계절의 변화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개념들’이라는 개념적 정의를 바탕으로 계절 변화와 관련된 선수학습개념의 형성 정도와 오개념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들을 개발하여 계절 변화 개념 검사에 반영하고 양호도(신뢰도, 변별도, 난이도)를 검증하여 검사 도구의 신뢰성을 높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계절 변화 개념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계절 변화 개념과 관련된 하위 개념과 오개념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관찰 고 분석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용희, 임성규, 오준영(2004). 계절 변화에 대한 예비 중등교사의 대안개념과 핵심신념. 중등교육연구, 52(2), 613-642. 

  2. 고경만(2000). 계절의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4. 국동식(1995). 중, 고등 학생들의 계절변화 개념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6(4), 317-329. 

  5. 김성주(2001). 지구의 운동과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변화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정(2007). 과학사 적용 수업을 통한 계절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변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순미, 양일호, 임성만(2013).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 초등학생의 멘탈 모델 변화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893-910. 

  8. 김아영, 차정은, 이채희, 주지은, 임은영(2016). 혼자 쓰는 연구 논문. 서울: 학지사. 

  9. 김재철(2019). SPSS와 함께하는 사회과학 통계자료분석. 서울: 학지사. 

  10. 김형범, 정진우, 전만국(2013).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 따른 태양의 고도에 관한 개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28-39. 

  11. 김혜숙, 공윤정, 여태철, 황매향(2018). 초보자를 위한 학위논문 작성법. 서울: 학지사. 

  12. 노자헌, 손준호, 정지현, 송진여, 김종희(2019). 단계별 질문 중심의 단원 설계가 초등학생의 '계절의 변화'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회지, 12(2), 151-164. 

  13. 박미자, 김영옥(2009). 유아 경제개념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29(1), 5-30. 

  14. 박정숙(2010). 태양의 고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대안개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배성희, 김형범(2016). 중등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천문 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3), 607-616. 

  16. 서희석(2005). 초등학교 과학과 ICT 활용 수업이 계절의 변화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성태제(2019). 현대 교육 평가. 서울: 학지사. 

  18.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9). 질적 연구 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스토리. 

  19. 유병철(2014). 2007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태양의 고도와 계절의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유연준, 오필석(2016).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 단원의 학습에서 모델링 중심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35(2), 265-276. 

  21. 윤현정, 강순희(2015). 통합형 마인드맵 활동이 중학교 2 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9(2), 164-178. 

  22. 이규호, 강지연(2017). 계절의 변화 단원 수업 중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72, 45. 

  23. 이면우, 장은숙(2007). 한일 초등 예비교사들의 천문학 기초개념 이해와 천문학에 대한 태도. 한국지구과학회지, 28(7), 789-802. 

  24. 이은옥(2011). 계절변화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대안개념.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정아, 이기영, 박영신, 맹승호, 오현석(2015). 초등학교 태양계와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179-197. 

  26. 이주미(2017). 동료교수법을 적용한 교수법이 초등학생의 과학개념형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항로, 정진우, 윤상화(2003). 발생학습 전략의 적용이 계절변화 관련 지구과학개념 변화에 미친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60-171. 

  28. 이호진, 최경희(2004).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교과교육학연구, 8(3), 421-435. 

  29. 장명덕, 정철, 정진우(2001).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 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22(4), 268-277. 

  30. 정선라, 이용복(2013). 계절변화 개념 위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66-367. 

  31. 정홍식(2005). 초인지 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계절의 변화 개념 형성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채동현(2011).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초등과학교육, 30(2), 204-212. 

  33. 채동현, 변원섭, 손연아(2003).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 22(1), 109-120. 

  34. 채동현, 임성만(2011). 반증-실험 모형을 이용한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초등 예비 교사의 개념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524-534. 

  35. 하옥선(1999). 태양의 고도와 계절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한수진, 강석진, 노태희(2010). 학생의 과학 오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지식. 초등과학교육, 29(4), 474-483. 

  37. 현동호, 양경은(2016). 계절변화를 설명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대안개념 연구.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2(2), 97-113. 

  38. Allen, M. (2014). Misconceptions in primary science. UK: McGraw-hill Education. 

  39. Clough, E. E., & Driver, R. (1986). A study of consistency in the use of students' conceptual frameworks across different task contexts. Science Education, 70(4), 473-496. 

  40. De Paor, D. G., Dordevic, M. M., Karabinos, P., Burgin, S., Coba, F., & Whitmeyer, S. J. (2017). Exploring the reasons for the seasons using Google Earth, 3D models, and plot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Earth, 10(6), 582-603. 

  41. Finegold, M., & Gorsky, P. (1991). Students' concepts of force as applied to related physical systems: A search for consisten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3(1), 97-113. 

  42. German, S. (2017). Tackling misconceptions about seasons. Science Scope, 40(7), 92. 

  43. Glaser, B., & Strauss, A.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London: Weidenfield & Nicolson, pp. 1-19. 

  44. Gooding, J., & Metz, B. (2011). From misconceptions to conceptual change. The Science Teacher, 78(4), 34. 

  45. Hammer, D., Elby, A., Sherr, R. E., & Redish, E. F. (2005). Resources, framing, and transfer. In J. Mestre (Eds.), Transfer of learning from a modern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pp. 89-120). Greenwix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46. Kikas, E. (1998). Pupil's explanations of seasonal changes: Age differences and the influence of teach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8(4), 535-550. 

  47. Mason, L., Baldi, R., Di Ronco, S., Scrimin, S., Danielson, R. W., & Sinatra, G. M. (2017). Textual and graphical refutations: Effects on conceptual change learning.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49, 275-288. 

  48. Plummer, J. D., & Krajcik, J. (2010). Build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celestial motion: Elementary levels from an earth based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768-787. 

  49. Rubio, D. M., Berg-Weger, M., Tebb, S. S., Lee, E. S., & Rauch, S. (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50. Trumper, R. (2006). Teaching future teachers basic astronomy concepts seasonal changes at a time of reform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9), 879-906. 

  51. Turk, C., Kalkan, H., Kiroglu, K., & Ocak Iskeleli, N. (20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ntal models about formation of seasons: A cross sectional study. Journal of Education and Learning, 5(1), 7-30. 

  52. Wild, T. A., & Trundle, K. C. (2010).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seasonal change b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04(2), 107-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