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강수지수 시계열의 가뭄특성치를 이용한 가뭄 재현기간 산정
Return Period Estimation of Droughts Using Drought Variables from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8, 2013년, pp.795 - 805  

곽재원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과) ,  이성대 (한라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연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과)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은 중요한 자연재해의 하나로서 수자원 관리 부분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55개 기상청 관측소를 대상으로 SPI 지수에 따른 가뭄기간과 가뭄심도를 정의하고, 코풀라 이론을 이용하여 두 가뭄변수의 결합 확률 분포를 유도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가뭄의 발생양상을 고찰하고 가뭄의 재현기간으로 제시하였으며, 대한민국을 대상으로 가뭄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가뭄의 재현기간별 SPI 지수로부터 대한민국의 충청도의 공주 및 충주 인근, 강원도의 원주, 인제, 정선, 태백 등의 지역이 상대적으로 가뭄에 취약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is one of the severe natural disasters and it can profoundly affect our society and ecosystem. Also, it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Therefore, the drought is analyzed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drought distribution and trend. The Standard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가뭄이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 평가와 수자원관리를 위해서 전국의 기상청 산하 55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SPI지수를 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한국기상청)의 1976년부터 2009년까지의 일 강수량을 월 단위로 합산하여 월 총강수량을 산정한 후, 월 강수량의 지속기간별 강수시계열에 적정 확률분포형을 적용하고, 개개 변량의 누가확률을 표준 정규분포에 적용시켰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기상학적인 가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의 55개 기상청관측소를 대상으로 SPI 시계열을 산정하고, 연속이론을 통하여 가뭄과 가뭄 사상을 정의 하였다. 정의된 가뭄의 지속기간과 심도를 확률변수로 간주하고 이를 코풀라 이론을 적용하여 결합 확률분포로서 유도하였으며, 가뭄의 지속기간과 심도에 따른 재현기간을 정의하고 이를 확장하여 대한민국을 대상으로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의 55개 관측소에 대하여 SPI지수를 산정하고 이에 연속이론을 적용하여 가뭄을 정의한 후, 가뭄의 중요한 확률 변수인 지속기간과 심도를 코풀라 함수를 적용하여 결합확률 분포로서 유도한다. 이를 기반으로 가뭄의 지속기간에 따른 재현기간을 정의하고, 대한민국을 대상으로 공간 분포하여 대한민국에서 발생하는 가뭄에 대한 경향성과 그 재현기간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의 일반적인 정의는 무엇인가? 가뭄의 정의에는 여러 가지 관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부족 및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인 현상을 나타낸다. 다양한 개념의 가뭄 정의를 위하여 가뭄 발생, 가뭄 종결, 가뭄 지속기간, 가뭄 심도, 가뭄 빈도 등의 여러 정량적인 판단 기준이 개발되었으며, 가뭄지수는 가뭄의 심도와 기간, 강도 등을 간편하게 정의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코풀라 함수가 제시된 배경은 무엇인가? 서로 종속적인 구조를 가진 확률 모형 모의는 종속적인 n개의 결합확률분포로 단순화시킬 수 있으나(Michele and Salvadori, 2010), 이러한 결합확률의 모의는 상대적으로 난해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Sklar (1959)에 의해 제시된 코풀라 함수를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SPI지수는 일반적으로 값에 따라 어떻게 간주되는가? (1993, 1995)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SPI는 이론적으로는 한계값이 없으며, 값 자체에 발생빈도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Ryoo and Yoo, 2004) 이러한 SPI지수는 이론적으로 값의 상한선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1.0 이하일 경우 가뭄으로 간주하며, -1.5 이하는 심한 가뭄, -2.0 이하는 극심한 가뭄으로 간주된다(Mckee et al.,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onaccorso, B., Cancelliere, A., and Rossi, G. (2003). "An analytical formulation of return period of drought severity."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17, No. 3, pp. 157-174. 

  2. Chang, T.J., and Kleopa, X.A. (1991). "A proposed method for drought monitoring."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7, pp. 275-281. 

  3. Choi, S.J., Moon, J.W., Lee, D.R., Kang, S.K., and Seo, J.S. (2011).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of Agriculture Reservoir According to Drought Frequency." Proceedings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11, KWRA, Dae-gu, Korea, pp. 449-449. 

  4. Gonzalez, J., and Valdes, J. B. (2003). "Bivariate Drought Recurrence Analysis Using Tree Ring Reconstruction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8, No. 5, pp. 247-258. 

  5. Guttman, N.B. (1999). "Accept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 calculation algorithm."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AWRA, Vol. 35, No. 2, pp. 311-322. 

  6. Kao, S.C., and Govindaraju, R.S. (2008). "Tr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of extreme rainfall events via the Plackett family of Copulas."Water Resour Res, Vol. 44, No. 2, W02415. 

  7. Kim, B.K., Kim, S.D., Lee, J.S., and Kim, H.S. (2006).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Droughts in Korea: Construction of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Journal of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6, No. 1B, pp. 69-78. 

  8. Kim, T.W., Valdes, J.B., and Yoo, C. (2006b). "Nonparametric approach for bivariate drought characterization using Palmer drought index."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11, No. 2, pp. 134-143. 

  9. Kim, T.W., Valdes, J.B., and Aparicio, J. (2006a). "Spatial characterization of droughts in the Conchos River Basin based on bivariate frequency analysis."Water International, Vol. 31, No. 1, pp. 50-58. 

  10. Kwak, J.W. (2012a). Drought Analysis Using Copula Theory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roughts.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pp. 23-110. 

  11. Kwak, J.W., Kim, D.G., Lee, J.S., and Kim, H.S. (2012b).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using Copula The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2, No. 3B, pp. 161-168. 

  12. Kwak, J.W., Kim, D.G., Noh, H.S., Vijay, P., Singh, and Kim, H.S. (2013). "Case Study: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on Namhan River Basin, Korea-(1) Derivation of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ccepted. 

  13. Kyoung, M. (2010).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Effect on Drought and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pp. 72-98. 

  14. Kyoung, M., Kim, S., Kim, B.K., and Kim, H.S. (2007). "Construction of Hydrological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Using Cluster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7, No. 3B, pp. 267-276. 

  15. Lee, J.H., and Kim, C.J. (2011). "Derivation of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Using Drought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4, No. 11, pp. 889-902. 

  16. Lee, J.H., Seo, J.W., and Kim, C.J. (2012). "Analysis on Trends, Periodicities and Frequencies of Korean Drought Using Drought Indic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1, pp. 75-89. 

  17. Lee, T., Modarres, R., and Ouarda, T.B.M.J. (2012). Data based analysis of bivariate copula tail dependence for drought duration and severity. Hydrological Processes. DOI:10.1002/hyp.923 

  18. Liu, C.L., Zhang, Q., Vijay, P.S., and Cui, Y. (2011). "Copula-Based evaluation of drought variations in Guangdong, South China." Natural Hazards, Vol. 59, No. 3, pp. 1533-1546. 

  19.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USA, Vol. 17, No. 22, pp. 179-183. 

  20.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Dallas, USA, Vol. 18, No. 21, pp. 211-215. 

  21. Michele, C.D., and Salvadori, G. (2010). "Multivariate Extreme Value models in hydrology: A Copula approach." Geophysical Research Abstracts, EGU 2010, Vienna, Austria, Vol. 12, pp. 9486. 

  22. Mishra, A.K., Desai, V.R., and Vijay P. Singh (2007). "Drought Forecasting Using a Hybrid Stochastic and Neural Network Model."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12, No. 6, pp. 626-638. 

  23. Moye, L.A., Kapadia, A.S., Cech, I.M., and Hardy, R.J. (1988). "The theory of runs with applications to drought predic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103, No. 1, pp. 127-137. 

  24. Nadarajah, S. (2007). "A bivariate gamma model for drought." Water Resour Res, Vol. 43, W08501. 

  25. Palmer, W.C. (1968). "Keeping track of crop moisture conditions, nationwide: The new crop moisture index." Weatherwise, Vol. 21, pp. 156-161. 

  26. Ryoo, S.R., and Yoo, C.S. (2004). "AModifi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MSPI)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7, No. 7, pp. 553-567 

  27. Shiau, J.T. (2003). "Return period of bivariate distributed hydrological event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17, No. 2, pp. 42-57. 

  28. Shiau, J.T. (2006). "Fitting drought duration and severity with two-dimensional copula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0, No. 5, pp. 795-815. 

  29. Shiau, J.T., and Modarres, R. (2009). "Copula-based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analysis in Iran."Meteorological Applications, Vol. 16, No. 4, pp. 481-489. 

  30. Shiau, J.T., Feng, S., and Nadarajah, S. (2007).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s for the Yellow River, China, using copulas." Hydrological Processes, Vol. 21, No. 16, pp. 2157-2163. 

  31. Sklar, K. (1959). "Fonctions de repartition 'a n dimensions et leura marges." Publications de l'Institut de Statistique, L'University de Paris, Vol. 8, pp. 229-231. 

  32. Song, S., and Vijay, P. Singh (2010). "Meta-elliptical copulas for drought frequency analysis of periodic hydrologic data."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4, No. 3, pp. 425-444. 

  33. Wong, G., Lambert, M.F., and Metcalfe, A.V. (2008). "Trivariate copulas for characterization of droughts." ANZIAM Journal, Vol. 49, pp. 306-323. 

  34. Wong, G., Lambert, M.F., Leonard, M., and Metcalfe, A.V. (2009). "Drought analysis using trivariate Copulas conditional on climate state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15, No. 2, pp. 129-141. 

  35. Yeon, J.M., Byun, S.H., Lee, J.K., and Kim, T. (2007). "Evaluation of Droughts in Seoul Using Two-Dimensional Drought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0, No. 4, pp. 335-343. 

  36. Yevjevich, V. (1967). A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 Hydrology Paper No. 23, Fort Collins, USA, Vol. 23. 

  37. Yoo, J.Y., Choi, M.H., and Kim, T. (2010). "Spatial Analysis of Drought Characteristics in Korea Using Cluster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3, No. 1, pp. 15-24. 

  38. Zhang, Y., and Song, S.B. (2010). "Application of Archimedean Copulas in Multi-variable Drought Distribution."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Vol. 3, p. 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