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ALPUFF와 HYSPLIT의 방사성물질 대기확산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ALPUFF and HYSPLIT Models for Atmospheric Dispersion Simulations of Radioactive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1 no.6, 2015년, pp.573 - 584  

안혜연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강윤희 (부산대학교 환경연구원) ,  송상근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김유근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tmospheric dispersion of radioactive material ($^{137}Cs$) was simulated with regard to its impact within a 50-km radius from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NKPP) based on two different types of models (the non-steady-state puff model CALPUFF and the lagrangian model 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ALPUFF와 HYSPLIT에 입력되는 배출량과 배출 조건, 침적과정 옵션 정보는 표 2에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인 CALPUFF와 HYSPLIT 특성에 따른 모델링 결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배출조건과 모델 내 선택 가능한 파라메터는 최대한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CALPUFF와 HYSPLIT은 입자상 방사성물질인 137Cs에 대하여 6시간(0900~1500 LST) 동안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모델을 수행하여 1시간 간격의 지상 10 m 고도에서의 137Cs 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배출량은 1.0 ×107 Bqh-1으로 가정하였고 HYSPLIT의 경우 6시간 동안 1분에 1개씩 가상적인 입자를 계속 배출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LPUFF 모델링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07). CALPUFF는 비정상 상태(Non-steady-state) 모델로 점·면 오염원에 대한 시간적인 농도 변화 계산이 가능하고, 오염원으로부터 수십 m~수백 km까지 모델링, 1시간~1년까지의 평균화 시간에 대한 농도 예측, 거칠고 복잡한 지형 상황에 대한 모델링이 가능하다. CALPUFF 모델링 시스템은 기상관측자료 및 중규모 기상모델의 수행 결과를 처리하는 CALMET과 오염물질 확산과 농도를 계산하는 CALPUFF, 후처리 프로그램인 CALPOST로 구성되어 있다.
CALPUFF 모델이란 무엇인가? CALPUFF (California Puff model)는 가우시안 퍼프모델로 미국 EPA의 권장 모델의 하나로 굴뚝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연기를 잘게 나누어진 연기덩어리(Puff)의 형태로 배출된다고 가정하고, 배출된 퍼프들이 3차원 공간 해상도를 갖는 바람장을 따라 이동, 확산하면서 수용지점에 미치는 영향을 농도 형태로 나타내는 모델이다(Koo et al., 2007).
라그랑지안 입자확산모델인 HYSPLIT 모델의 장점은 무엇인가? HYSPLIT과 같은 라그랑지안 입자 확산 모델은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가상적인 입자들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결정하며, 어느 주어진 시간의 농도 계산은 분석 영역을 격자화하여 격자 체적내에 들어있는 입자의 수로 계산이 된다(NOAA, 2014). HYSPLIT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배출원에서 배출된 입자의 확산과 침적과정 계산이 가능하며, 다른 대기확산모델과 비교해 볼 때 계산용량과 모델링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다(An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 H.Y., Y.-H. Kang, S.-K. Song, J.-H. Bang, and Y.-K. Kim (2015) Atmospheric dispersion of radioa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local wind patterns around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using WRF/HYSPLIT model, JESI, 24(1), 8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onnan, O., K. Smith, C. Organo, L. Solier, D. Maro, and D. Hebert (2013) Comparison of RIMPUFF, HYSPLIT, ADMS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outputs, using emergency response procedures, with $^{85}Kr$ measurements made in the vicinity of nuclear reprocessing plant, J. Environ. Radioact., 124, 266-277. 

  3. Hong, S.-Y. and J.O. Lim (2006) The WRF Single-Moment 6-class Microphysics scheme (WSM6), KJAFM, 42, 129-151. 

  4. Kain, J.S. (2010) The Kain-Fritsch convective parameterization: an update, J. Appl. Meteor., 43, 170-181. 

  5. Katata, G., M. Chino, T. Kobayashi, H. Terada, M. Ota, H. Nagai, M. Kajino, R. Draxler, M.C. Hort, A. Malo, T. Torri, and Y. Sanada (2015) Detailed source term estimation of the atmospheric release fo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Station accident by coupling simulations of an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with an improved deposition scheme and oceanic dispersion model, Atmos. Chem. Phys., 15, 1029-1070. 

  6. Kim, C.-H. and C.-K. Song (2003)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ing intercomparison: Internal versus foreign modeling results on the nuclear spill event, J. Korean Soc. Atmos. Environ., 19(3), 249-2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oo, Y.-S., J.-H. Choi, S.-T. Kim, and S.J. Park (2007) A real-time odor monitoring and modeling system, JOIE, 6(4), 254-2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4) Development of a radioactive substance disperison model in East Asia, Korea. 

  9. Korsakissok, I., A. Mathieu, and D. Didier (2013) Atmospheric dispersion and ground deposition induced by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 local-scale simulation and sensitivity study, Atmos. Environ., 70, 267-279. 

  10. Malwer, E.J., S.J. Taubman, P.D. Brown, M.J. Iacono, and S.A. Clough (1997) Radiative transfer for inhomogeneous atmospheres: RRTM, a validated correlated-k model for the longwave, J. Geophys. Res., 102, 16663-166682. 

  11.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7) Radiological dose assessments through the atmospheric environment, Korea. 

  1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Studies on the optimiza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ir quality modeling, Korea. 

  13. NOAA (2014) HYSPLIT4 user's guide, USA. 

  14.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ion (2015) 2014 Nuclear safety yearbook, Korea, 242 pp. 

  15. Pasler-Sauer, J. (2010) Comparison and validation exercises of the three 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in RODOS, Radioprotection, DOI:10.1051/radiopro/2010018. 

  16. Skamarock, W.C., J.B. Klemp, J. Dudhia, D.M. Grill, D. Baker, M.G. Duda, X. Huang, W. Wang, and J.G. Powers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 Technical Note, NCAR/TN-468+STR, Mesoscale and Micro scale Meterology Division,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Boulder, Colorado, USA. 

  17. Srinivas, C.V., R. Venkatesan, R. Baskaran, V. Rajagopal, and B. Venkatraman (2012) Regeional scale atmospheric dispersion simulation of accidental releases of radionuclides from Fukushima Dai-ichi reactor, Atmos. Environ., 61, 66-84. 

  18. Stohl, A., P. Seibert, G. Wotawa, D. Arnold, J.F. Burkhart, S. Eckhardt, C. Tapia, A. Vargas, and T.J. Yasunari (2012) Xenon-133 and caesium-137 releases into the atmosphere from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determination of the source term, atmospheric dispersion, and deposition, Atmos. Chem. Phys., 12, 2313-2343. 

  19. U.S. EPA (2007) Guidance on the use of models and other analyses for demonstrating attainment of air quality goals for ozone, PM2.5, and regional haze, Tech Rep., EPA-454/B-07-002, Research Triangle Park, N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