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명인과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 특성 탐색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between Fan and Celebrities on Twitt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8, 2013년, pp.72 - 82  

황유선 (중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 상에서의 유명인과 트위터 이용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의 특성 및 감정 반응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유명인과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 유형을 '의사 교호작용', '정보 허브', 그리고 '팬덤' 등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유명인의 유형은 '연예인', '정치인', '전문인', 그리고 '블로거' 등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구분된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 및 유명인의 유형 범주에 따라 트위터 이용자들이 수행하는 트윗 행위의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또한 트위터 이용자들의 감정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로 상정한 '이모티콘 이용'과 '감정 표현 제시' 빈도가 트위터 매개의 상호작용 유형 및 유명인 유형 범주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국 트위터 공식 사이트를 통해 수집되었다. 공식 사이트를 활용하여 각 유형별 유명인에 대해 이루어진 트윗을 검색해 총 960개의 트윗을 수집하였고 각각의 트윗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트위터 이용자들의 의사 교호작용 트윗 형태는 정치인과 전문가 유형에 대해서 가장 빈번했고, 팬덤 성격의 트윗은 연예인 유형에 대해서 가장 현저했으며, 정보 허브를 표방하는 트윗은 블로거 유형에 대해서 제일 빈번하게 수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감정 반응과 관련해서는 팬덤 유형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에 있어서 이모티콘 이용과 감정 표현의 제시 빈도가 가장 현저했다. 또 유명인 유형 중에서는 연예인에 대한 트윗에서 감정 반응이 가장 현저하게 드러났으며 이모티콘 이용 빈도는 전문인의 경우가 그 뒤를 이었고, 감정 표현 사용은 전문인과 정치인 유형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plored types of Twit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emotional responses of Twitter users toward celebrities. Three perspectives of para-social interactions, information hub, and fandom were proposed as communication types on Twitter. Celebrities were classified by entertainer, p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유명인과 대중의 상호작용 특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트위터와 같은 SNS의 등장 이후, 대중은 SNS를 통해 특정 유명인에 대한 행복, 분노, 슬픔, 놀람과 같은 다양한 감정을 투영하며 그들과 개인적 차원의 소통을 시도하게 되었다[27].
  • 더구나, 유명인은 대중의 감성적 반응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다[1]. 따라서 트위터 공간에서 수행되는 유명인과의 상호작용이 이용자들의 인식, 태도, 행동 양식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트위터를 매개로 한 유명인과 대중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관찰은 트위터의 네트워크 기능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 상에서의 유명인을 연예인, 정치인, 전문인, 블로거 집단으로 분류하여 트위터 이용자 들과 유명인의 상호작용 특성을 경험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트위터 이용자들은 유명인의 유형에 따라 상이한 방식의 상호작용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를 활용하는 유명인과 이용자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 측면을 경험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트위터 활용 정도가 높은 대표적인 유명인을 유형 별로 선정하고 그들에 대한 트윗을 수집하였다. 그러나 자료수집 기간이 나흘에 불과하기 때문에 주초나 주말에 특정 유형의 트윗이 집중 발생하거나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고 이 기간이 특정 유명인에게는 특별한 기간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 이와 더불어 유명인과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을 긍정적인 측면으로만 해석하는 것에 대해 주의할 필요성을 상기하고자 한다. 연예인이나 정치인, 전문인 혹은 블로거들이 갖는 명성은 그것이 상업적인 차원에서 이용될 가능성이 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팬을 유지하기 위해 유명인은 어떤 수행적 실천과정을 의식하게 되나요? 유명인은 다수의 팬으로부터 주목 받는 위치에 있으며 팬들로부터 각종 피드백을 받는다. 팬을 유지하기 위해 유명인은 ‘명성관리(celebrity management)’라는 수행적 실천과정을 의식하게 된다[24]. 이에, 자신을 브랜드화 하고 자기 제시(self-presentation) 전략을 바탕으로 대중의 인기를 획득하는 명성 추구 행위가 이루어진다[12][20].
의사 교호작용의 개념이란 무엇인가요? 의사 교호작용의 개념은 “TV나 라디오와 같은 매스미디어를 이용함으로써 유명인이나 연기자와 면대면의 관계를 갖고 있다는 환상(the illusion of ”face-to-face relationship” with celebrities and performers through mass media usage)”이다[16]. 마치 TV, 라디오, 영화 등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야기가 자신에게 직접 전달되는 개인적인 메시지인 것처럼 여기는 인식을 의미한다.
트위터 상의 페르소나는 다음의 두 가지 차원을 통해 만들어지는데 그 2가지는 무엇인가요? 트위터 상의 페르소나는 다음의 두 가지 차원을 통해 만들어진다. 첫째, 트윗 (tweet) 행위 방식을 통한 페르소나의 구현이다. 유명 인은 의도적으로 트윗의 문체를 결정하기도 하며 트윗의 범위를 정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일상에 대한 독백 형식으로 트윗을 작성하거나, 대중에게 말을 거는 식의 대화형 트윗을 올리기도 하며, 대중 스피치를 하듯 트윗을 게시하는 경우가 있다. 둘째, 트윗에 담는 내용을 통한 페르소나의 구현이다. 이는 유명인이 사적 일상과 생각을 어느 정도까지 대중에게 공개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지극히 공식적이며 피상적인 내용만 게시 하는 유명인도 있지만 일상에서 경험하는 소소한 사건과 솔직한 심정을 게시하는 경우도 있다. 혹은, 멋지고 잘나온 사진만 선별해 게시하는 경우와 편안한 복장이나 자연스러운 상황을 찍은 사진 등을 게시함으로써 대중이 궁금해 하는 사생활을 공개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듯 다양한 방식으로 트위터 상에서 형성된 유명인의 페르소나는 대중의 의사 교호작용 과정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인숙, "연예인 자사보도와 제 3자 효과",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5-36, 2009. 

  2. 류한석, 트위터 열풍과 소셜 미디어의 진화, KT경제경영연구소, 2009. 

  3. 장덕진, 김기훈, "한국인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와 동학",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2호, pp.59-86, 2011. 

  4. P. Adler and P. Adler, "The gloried self: The aggrandizement and the construction of self," Social Psychological Quarterly, Vol.52, pp.299-310, 1989. 

  5. E. Bakshy, J. M. Hofman, W. A. Mason, and D. Watts, "Everyone's an influencer: Quantifying influence on Twitter," Paper presented at WSDM, Feb, Hong Kong, 2011. 

  6. M. D. Basil, "Identification as a Mediator of Celebrity Effects,"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Vol.40, pp.478-495, 1996. 

  7. D. boyd, S. Golder, and G. Lotan, "Tweet, Tweet, Retweet: Conversational Aspects of Retweeting on Twitter," Proceedings of 43rd Hawaii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 IEEE, 2010. 

  8. M. Cha, H. Haddadi, F. Benevenuto, and K. P. Gummadi, "Measuring User Influence in Twitter: The Million Follower Fallacy," 4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ICWSM), 2010. 

  9. D. L. Cogburn, and F. K. Espinoza-Vasques, "From networked nominee to networked nation: Examining the impact of Web 2.0 and social media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ivic engagement in the 2008 Obama campaign," Journal of Political Marketing, Vol.10, pp.189-213, 2011. 

  10. J. Gamson, Claims to fame: Celebrity in contemporary Ame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11. D. C. Giles, "Parasocial intera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model for future research," Media Psychology, Vol.4, pp.279-305, 2002. 

  12. A. Hearn, "'Meat, mask, burden' Probing the contours of the branded 'self'," Journal of Consumer Culture, Vol.8, pp.197-217, 2008. 

  13. T. Heverine and L. Zach, "Microblogging for crisis communication: Examination of Twitter use in response to a 2009 violent crisis in the Seattle-Tacoma, Washington Area,"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ISCRAM Conference, Seattle, USA, 2010. 

  14. C. Honeycutt and S. C. Herring, "Beyond microblogging: Conversation and collaboration via Twitter," Proceedings of the 42nd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 2009. 

  15. J. Hoerner, Scaling the web: A parasocial interaction scale for world wide web sites. In David W. S. and Esther T. (Eds.), Advertising and the world wide web,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135-148, 1999. 

  16. D. Horton and R. Wohl, "Mass communication and para-social interaction: Observations on intimacy at a distance," Psychiatry, Vol.19, pp.215-229, 1956. 

  17. B. A. Huberman, D. A. Romero, and F. Wu, "Social networks that matter: Twitter under the microscope," First Monday, Vol.14, 2008. 

  18. F. Jansen, "Digital activism in the Middle East: mapping issue networks in Egypt, Iran, Syria and Tunisia," Knowledge Management for Development Journal, Vol.6, pp.37-52, 2010. 

  19. H. Kwak, C. Lee, H. Park, and S. Moon, "What is Twitter, a social network or a news media?," ACM, 2010. 

  20. D. Lair, K. Sullivan, and G. Cheney, "Marketization and the recasting of the professional self,"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18, pp.307-343, 2005. 

  21. P. F. Lazarsfeld, B. R. Berelson, and H. Gaudet, The people's choice: How the voter makes up his mind in a presidential campaign, Sloan & Pierce, 1944. 

  22. W. T. Lee, M. Y. Cha, and H. Y. Park, The role of influential on the mobile social media, KISDI, 2010. 

  23. K. Lerman and R. Ghosh, Information contagion: An empirical study of the spread of news on Digg and Twitter social networks, In: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2010. 

  24. A. Marwick and D. boyd, "To see and to be seen: Celebrity practice on Twitter. Convergenc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to New Media Technologies, Vol.17, pp.139-158, 2011. 

  25. G. McCracken,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6, pp.310-321, 1989. 

  26. T. O'Guinn, Touching greatness: The Central Midwest Barry Manilow Fan Club. In D. Holt & J. Schor (Eds.), The consumer society,New York Press, pp.155-168, 2000. 

  27. J. Poniewozik, Twitter and TV: How social media is helping old media, Time Magazine, 2010. 

  28. V. P. Rindova, T. G. Pollock, and M. L. A. Hayward, "Celebrity firms: The social construction of market popular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1, pp.50-71, 2006. 

  29. A. M. Rubin and M. P. McHugh, "Development of parasocial interaction relationships,"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Vol.31, pp.279-292, 1987. 

  30. T. M. Senft, Camgirls: Celebrity & community in the age of social networks, Peter Lang Publishing Inc, 2008. 

  31. J. B. Walther, C. T Carr, S. S. W. Choi, D. C. DeAndrea, J. Kim, S. T. Tong, and B. Van Der Heide, Interaction of interpersonal, peer, and media influence sources online. In Z. Papacharissi (ed), A Networked Self: Identity, Community, and Culture on Social Network Sites(pp.17-38), Routledge, 2010. 

  32. S. Wu, J. M. Hofman, W. A. Mason, and D. J. Watts, Who says what to whom on Twitter, Paper presented at ACM, Hyderabad, India, 2011. 

  33. http://twtkr.olleh.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