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 난임 치료 시범사업에 참가한 여성의 임신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regnancy in the Pilot Project for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Subfertility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6 no.3, 2013년, pp.73 - 84  

안인숙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김동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최민선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장석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정재철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in female infertility treatment using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thods: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s were performed with intake of herbal medicines (Jokyungjongoktanggagam-bang, Sutaehwangagam-bang) for six 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연구자들은 2011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대학교 일산한방병원 부인과에서 실시한 한방 난임 치료 시범사업에 참가한 여성 32명을 대상으로 임신에 성공한 증례를 분석하여 불임 여성의 한방치료 시 임신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고찰하고, 한방 불임 치료에 적합한 환자 유형 및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여 얻어진 지견을 논문으로 발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임이란? 불임이란 약 1년간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1). 최근에는 35세 이상의 여성에 대해서는 6개월간의 임신 곤란 상태 역시 불임 혹은 난임의 범주에 드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여성의 불임의 원인은? 여성의 불임의 원인은 배란부전, 난관 및 복막요인, 자궁경부 요인, 자궁 요인,면역학적 요인, 감염요인, 원인불명 등으로 분류된다. 이에 대한 한의학적 병인 병기는 腎虛, 肝鬱, 濕痰, 氣血虛弱, 瘀血 등으로 인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한방여성의학(하). 서울:의성당. 2012:203-17. 

  2. 허준. 동의보감. 하동:동의보감출판사. 2005:1745. 

  3. 김준태 등. 불임에 응용된 침구치료혈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7;14(2):93-113. 

  4. Ried K, Stuart K. Efficacy of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in the management of female infertility: a systematic review. Complement Ther Med. 2011;19(6):319-31. 

  5. 황나미 등. 저출산 극복을 위한 불임부부 지원사업 현황과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6. 유심근 등. 여성 불임 원인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000;6(1): 60-7. 

  7. 윤정석 등. 여성불임의 침치료와 구치료에 대한 문헌적 비교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1):532-56. 

  8. 조진형. IVF 시술 실패한 여성 불임환자 1례와 남성 불임환자 1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2; 25(4):94-104. 

  9. 정아롱 등. 원인불명으로 진단받은 속발성 불임환자 1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234-43. 

  10. 위효선 등. 꽃마을한방병원 한방부인과에 불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 대한 실태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18-33. 

  11. 장희재 등. 한방병원에 내원한 여성불임 환자의 실태 변화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3):184-91. 

  12. 권수경 등. 최근 3년간 일개 불임전문 한방병원에 내원한 불임환자의 실태분석과 한방불임치료정책에 대한 제언. 대한한의학회지. 2006;27(2):44-56. 

  13. 황도연. 신증방약합편. 서울:영림사. 2002:173. 

  14. 박영선, 백정한. 체외수정 시술 전 한방치료가 여성 불임 환자의 임신성공율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11; 32(5):25-40. 

  15. 장석순. 醫學衷中參西錄. 서울:의성당. 1999:640-3. 

  16. Steptoe PC, Edwards RG. Reimplantation of a human embryo with subsequent tubal pregnancy. Lancet. 1976;1(7965): 880-2. 

  17. Nygren KG, et al. International Committee for Monitor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ICMART) world repor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2003. Fertil Steril. 2011; 95(7):2209-22. 

  18. Ng EH, et al. The role of acupuncture in the management of subfertility. Fertil Steril. 2008;90(1):1-13. 

  19. Huang JY, Rosenwaks Z. In vitro fertilisation treatment and factors affecting success. Best Pract Res Clin Obstet Gynaecol. 2012;26(6):777-88. 

  20. Pouly JL, et al. Factors affecting the cumulative live birth rate in IVF cycles. Retrospective analysis of a 1001 couples cohort. Gynecol Obstet Fertil. 2012; 40(4):219-25. 

  21. Merviel P, et al. Predictive factors for pregnancy after intrauterine insemination(IUI): an analysis of 1038 cycl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Fertil Steril. 2010;93(1):79-88. 

  22. 이도근 등. 여성의 연령이 체외수정시술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6;39(8) :1489-96. 

  23. Dodson WC, Haney AF. Controlleded ovarian hyperstimulation and intrauterine insemination for treatemnt of infertility. Fertil Steril. 1991;55(3):457-67. 

  24.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Women's and Children's Health (UK). Fertility: Assessment and Treatment for People with Fertility Problems. London:RCOG Press. 2004:101-20. 

  25. Kang BM, Wu TC. Effect of age on intrauterine insemination with frozen donor sperm. Obstet Gynecol. 1996; 88(1):93-8. 

  26. Abdalla HI, et al. Age, pregnancy and miscarriage: uterine versus ovarian factors. Hum Reprod. 1993;8:1512-7. 

  27. 양윤석 등. CC/hMG 배란유도 인공수정시 치료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4;47(7): 1376-84. 

  28. Zadehmodarres S, et al. Intrauterine insemination with husband semen: an evaluation of pregnancy rate and factors affecting outcome. J Assist Reprod Genet. 2009;26(1):7-11. 

  29. Nuojua-Huttunen S, et al. Intrauterine insemination treatment in subfertility: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utcome. Hum Reprod. 1999;14(3):698-703. 

  30. Templeton A, et al. Factors that affect outcome of in-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Lancet. 1996;348(9039):1402-6. 

  31. 강은희 등. 과배란유도주기에서의 자궁강내 인공수정시 초음파로 관찰된 자궁내막의 특성과 임신율과의 상관 관계.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6;39(2): 365-73. 

  32. La Marca A, et al. Anti-Mullerian hormone(AMH) as a predictive marker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Hum Reprod Update. 2010; 16(2):113-30. 

  33. Jayaprakasan K, et al. A prospective, comparative analysis of anti-Mullerian hormone, inhibin-B, and threedimensional ultrasound determinants of ovarian reserve in the prediction of poor response to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Fertil Steril. 2010;93(3): 855-64. 

  34. Nelson SM, et al. Anti-Mullerian hormone-based approach to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for assisted conception. Hum Reprod. 2009;24(4): 867-75. 

  35. Broer SL, et al. The role of anti- Mullerian hormone assessment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outcome. Curr Opin Obstet Gynecol. 2010;22(3): 193-201. 

  36. 대한한의사협회 저출산, 고령화 특별대책위원회. 난임한방임상진료지침. 서울:대한한의사협회. 2010:6-7. 

  37. Siverberg KM, et al.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two different intrauterine insemination regimens in controlled hyperstimulation cycles. Fertil Steril. 1992;57(2):357-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