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을 위한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및 맞춤형 영양교육 자료 개발
Need-based development of tailored nutritional education materials about food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6 no.4, 2013년, pp.357 - 368  

김기남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아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이해연 (서울시 식품안전과) ,  김기랑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지윤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ilored nutritional education is generally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changing behaviors and to be more fully implemented than a non-tailored equival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tailored nutritional education materials on food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based on need and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의 모든 과정은 상명대학교 연구심의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사전 승인 (BE 2012-003) 후 조사대상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서면 동의서를 받았다. 대상자는 조용한 세미나실에서 편안한 분위기로 인터뷰 시작하기 전 인터뷰 진행을 위한 사전정보 획득을 목적으로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설문지에 자가 기입하였다. 연구책임자는 인터뷰의 주된 목적을 설명하고 모든 인터뷰 내용이 녹음된다는 동의를 구한 후 미리 작성된 개방형 질문 리스트를 바탕으로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녹음기 2대에 녹음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과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교육 요구도를 반영한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에 대한 영양교육자료 개발을 목적으로 첫째,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여 교육 환경의 현실 속에서 교사들의 동기나 신념을 이해하고,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내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둘째, 조사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다수의 영양교사 대상 설문지를 개발하고, 교육 요구도 및 내용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 교육 내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질적 조사와 양적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에 관한 영양교육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과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교육 요구도를 반영한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에 대한 영양교육자료 개발을 목적으로 첫째,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여 교육 환경의 현실 속에서 교사들의 동기나 신념을 이해하고,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내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둘째, 조사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다수의 영양교사 대상 설문지를 개발하고, 교육 요구도 및 내용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 교육 내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너무 어렵다고 더 쉽게 더 슬쩍 넘어갈 수 있는 정도로 해서 잡았다 못한 것 있어요”라며 학생들이 식품첨가물의 교육내용에 어려움을 느낄 수가 있어서 수업시수를 배정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또한 취약계층 아동이 많을 경우 식품표시를 읽는것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 본 연구는 6명의 서울시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질적연구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138명의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한 양적연구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 영양교육 자료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인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양적연구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 영양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가공식품에 포함된 식품첨가물 섭취는 편식, 패스트푸드의 선호, 지나친 고열량 저영양 식품 섭취와 더불어 어린이의 가장 중요한 영양문제 중 하나이며,13) 본 연구에 참여한 모든 영양교사는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에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양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양적 연구를 기반으로 초등학교 영양교사들이 초등학생에게 맞춤형 영양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동영상을 포함한 영양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 둘째, 조사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다수의 영양교사 대상 설문지를 개발하고, 교육 요구도 및 내용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 교육 내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질적 조사와 양적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에 관한 영양교육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2~18세에 자주 섭취하는 간식은 무엇이 있는가? 2010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2~18세에 자주 섭취하는 간식은 아이스크림 (2.04%), 과자류 (2.62%), 빵류(1.97%), 탄산음료 (1.73%) 등이었다.6) Kim과 Lee는6) 초등학생의 경우 가공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 식품첨가물의 섭취량이 높다고 보고하였는데 이 시기에 한 번 형성된 식습관은 이후 교정이 힘들기 때문에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식생활 교육과 정책 환경이 필요하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교육의 실정과 그 주제로 가공식품 혹은 식품첨가물을 선택하는 정도는 어떠한가? 5)따라서 가공식품과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섭취를 위해서는 학교교육 과정 및 가정과 사회 교육, 더 나아가 식품안전 정책의 환경하에서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초등학생이 독립적으로 가공식품 구매 시 식품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정보와 지식에 기반하여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영양교육이 필요하다.7)현재 서울시 초등학교는 영양교육을 정규 교과 과정 내에 편성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단기 교육 또는 영양교육에 필요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재 및 부가적인 교육 매체 자료 부족 등으로 적극적인 영양교육이 어려운 실정이거나 수업시수 미확보로 영양교육수업을 못하는 경우도 있다.8)영양교육이 실시되더라도 영양교육은 전반적으로 올바른 식습관 형성, 비만, 영양과 질병, 편식교정 등에 대한 주제에 집중되며,8)일부 초등학교에서만 가공식품 섭취, 식품 표시 읽는 방법에 관한 영양교육도 진행했고,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에 초점을 두어 교육한 경우는 드물었다.7)
Kim과 Lee는 영양교육을 통한 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무엇을 제시하였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가공식품 혹은 식품첨가물에 대한 교육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영양교사가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매체 개발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질적조사와 양적조사를 통합하여 현장을 반영한 맞춤형 교육매체가 부족한 실정이다. Park9) 은 영양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교육 환경을 감안한 영양교사들의 행동, 느낌, 동기, 신념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질적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고, Kim과 Lee10)는 영양교육을 통한 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영양지식이나 식행동에 대한 개인의 인식 변화를 통해 대상자의 인지적, 행동적, 환경적 요인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HY, Lee YJ, Hong KH, Ha SC, Ahn MS, Jo SJ, Kim KS. Intake of food additives in foods by total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8; 30(4): 767-774 

  2. Ko MH, Kim JW. Seoul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n artificial food colora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1; 27(6): 643-651 

  3. Chang SO, Lee O, Lee KS.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5th grade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2008; 14(2): 166-175 

  4. Kim SM, Kim JW. Development of risk communication strategy and educational homepage on food additiv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240-252 

  5. Kim HJ, Jung KA.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about 'processed food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Pract Arts Educ 2010; 23(2): 267-294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port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2010.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7. Kim JH, Lee S. Effects of short-term food additive nutrition education including hands-on activities on food label use and processed- food consumption behaviors: among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5): 539- 547 

  8.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2006; 39(4): 403-416 

  9. Park DY. Qualitative methods in food and nutrition research.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6): 1041-1046 

  10. Kim YS, Lee MJ.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social cognitive theor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nutrition education of sugar intake-. Korean J Food Nutr 2011; 24(2): 246-257 

  11. Chung SH.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nutrition education activities by nutrition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master's thesis]. Yongin: Dankook University; 2010 

  12. Cheon JY. Comparative analysis of perception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master's thesis]. Changwon: Kyungnam University; 2011 

  13. Park SJ.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TLG) of nutrition education: focusing o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Yongin: Yong In University; 2008 

  14. Huh ES. Evaluation of problem and nutritional education status for children's nutri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ssist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healthy dietary habit [dissertation]. Changwon: Changwon University; 2006 

  15. Kim KH, Choi S, Kim JW. Development of dietary education materials on food additives for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Pract Arts Educ 2011; 24(2): 65-82 

  16. Yoon HS, Yang HL, Huh ES. Changes of nutrition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Conference; 2000 Nov 18. Seoul: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0. p.761 

  17. Chang ES. The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osure to food additives through the published data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