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미국 수계소화설비 소화수 공급시간 및 소화수원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Fire Water Supply Duration and Capacity of Water Based Fire Suppress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Korea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7 no.4, 2013년, pp.13 - 20  

민세홍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소방방재공학과) ,  남유현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소방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68년 우리나라 소방법이 제정된 이래 최근에는 건축물이 초고층화 및 초심도 등 환경적으로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따른 소방력의 적절한 대응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에서 소화수원은 소방력의 근원이 되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이에 중국, 일본, 미국의 소방법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소화수원공급 시간 및 소화수원을 비교하였으며 각 수계소화시스템에 대해 건축물 용도, 면적, 층수 그리고 위험 급별로 소화수 유량(flow rate), 소화수 공급시간, 소화수원량 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일본, 미국 주변국가의 소화수원 산정 기준을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소화수원 기준이 이 국가들과 비교해 다른 점과 유사한 점은 무엇이며 장, 단점에 대해 조사했다. 주변 국가들을 통해 우리나라의 소화수원 기준이 국제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보다 발전된 소화수원 기준에 대한 발전적 제안을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ildings in Korea have been getting higher recently and been being changed environmentally since the Korean fire standard was released in 1968. It should be established to make a appropriate correspondence of fire fighting against the those environmental changes. Most of all, fire water capacity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2년 2월 15일에 개정된 「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3,4)의 소화수 공급시간이 적정한지를 각 나라의 소화수 유량, 소화수 공급시간, 소화수원에 대해 비교, 분석 및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한국의 소화수원을 2012년 2월 15일 개정된 소화수원 기준을 적용하였다. 옥내소화전 설치 개수는 5개 이상이고 옥외소화전은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했고 중국과 미국은 상수도배관으로부터 옥외소화전이 바로 연결되는 구조로 보고 소화수원을 산정하지 않았다. 미국의 스프링클러설비 소화유량은 자동식 스프링클러설비 핸드북을(14) 참조하여 Ordinary Hazard 2로 선정하였다.
  • 15층이고 건축물의 높이 50 m 이상인 백화점을 기본 모델로 선정하여 각 나라의 소화수원을 앞에서 설정한 Table 13의 조건에 따라 Figure 6에 나타내었다. 옥내소화전 설치 개수는 5개 이상이고 옥외소화전은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 한 층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설비 개수는 5개 이상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옥외소화전설비는 설치 대상이 아닌 것으로 가정했다. 미국의 스프링클러설비 소화유량은 자동식 스프링클러설비 핸드북을(14) 참조하여 Light Hazard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 H. Min, "NFSC Design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Munundang (1968). 

  2. NEMA,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Korean Fire Code" (1958). 

  3. NEMA, "National Fire Safety Code for Indoor Hydrant System" (2012). 

  4. NEMA, "National Fire Safety Code for Sprinkler System" (2012). 

  5. NEMA,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Korean Fire Code" (1968). 

  6. NEMA, "Standard of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Korean Fire Code" (1968). 

  7.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of Japan, "Standard of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Japanese Fire Code" (2011). 

  8.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of Japan,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Japanese Fire Code" (2012). 

  9. Ministry of Public Security of China, "GB50045-95 Edition 2005 Code for Fire Protection Design of tall Buildings" (2005). 

  10. Ministry of Public Security of China, "GB50016-2006. Code of Design on Building Fire Protection and Prevention" (2006). 

  11. Ministry of Public Security of China, "GB50084-2005 Code of Design for Sprinkler Systems" (2005). 

  12. NFPA, "NFPA14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Standpipe and Hose Systems" (2010). 

  13. NFPA, "NFPA13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Sprinkler Systems" (2010). 

  14. Korea Fire Protection Association (KFPA), "Automatic Sprinkler System Handbook" (2010). 

  15. S. H. Min and Y. J. Kwon, "An Empirical Study on the Standard Re-establishment of Water Discharge Performance for the Fire Engine Pum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5, pp. 85-91 (2012). 

  16. S. H. Min, Y. J. Kwon and J. D. Park,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y Pumping Method for the High Pressure of Fire Engine Pum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7, No. 1, pp. 52-5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