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에서 의류제품 가격태도에 따른 충동구매 특성 -성별, 연령별 비교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Impulse Buying According to Price Attitude towards Internet Apparel Purchase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y Gender and Ag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6, 2013년, pp.737 - 749  

지혜경 (한성대학교 예술대학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more famous and luxurious fashion brands enter the online market, the changes in the online market include those in the composition of merchandise, price image, and consumer behavior. Focusing on these change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of consumer price attitude and impulse buying behav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h,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의류쇼핑에서 소비자의 가격태도가 충동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인터넷 쇼핑몰 기업들로 하여금 고객의 충동구매 행동에 대응 하고 가격태도를 바탕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는 데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요 연구문제로 첫째, 인터넷 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 시 소비자의 가격 태도 특성을 알아보고 둘째, 이러한 가격태도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셋째, 가격태도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성, 연령에 따라 분석하여 성별, 연령별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 본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입 시 소비자들의 가격태도에 따라 충동구매 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인터넷 의류 구매에서의 다양한 가격태도와 충동구매 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의 성, 연령에 따라 가격태도가 충동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여, 소비자들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을 구입할 때 가격에 대해 어떠한 태도 특성을 보이며 충동구매 행동과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가격자극은 소비자의 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충동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성 및 연령에 따라서도 차이를 나타낸다 (Jin, 1998; Lee & Rhee, 2002; J.
  • 오프라인에 비해 보다 많이 발생하고 있는 인터넷 쇼핑에서의 충동구매는 소비자들의 평소 가격태도에 따라 다양한 충동구매 행동 특성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을 구입할 때 소비자들이 갖는 가격태도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이 성 및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를 위해 주요 연구문제로 첫째, 인터넷 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 시 소비자의 가격 태도 특성을 알아보고 둘째, 이러한 가격태도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셋째, 가격태도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성, 연령에 따라 분석하여 성별, 연령별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패션기업들이 자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가격전략을 수행하는 데 있어 목표 소비자의 가격태도 특성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충동구매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효율적인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Noh(2012)의 의류 온라인 쇼핑몰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성, 소득, 연령에 따라 충동구매성향에 차이가 있어, 여성이 남성보다, 중간 소득계층이, 20~30대 전반이 30대 후반보다 충동구매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입 시 소비자들의 가격태도에 따라 충동구매 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인터넷 의류 구매에서의 다양한 가격태도와 충동구매 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의 성, 연령에 따라 가격태도가 충동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는 소비자의 가격태도에 따라 충동구매 행동에도 각기 다른 요인이 작용할 것으로 보고, 충동구매 요인별로 소비자의 다양한 가격태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비자의 성, 연령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들이 자사의 주 고객 프로파일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연구문제 2. 인터넷 의류제품 구매에서 가격태도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는 소비자의 가격태도에 따라 충동구매 행동에도 각기 다른 요인이 작용할 것으로 보고, 충동구매 요인별로 소비자의 다양한 가격태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비자의 성, 연령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들이 자사의 주 고객 프로파일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향후 인터넷 시장은 질적 변화와 함께 소비자의 충동구매 행동도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충동구매란 무엇인가? Oh, 2009). 충동구매란 사전에 구체적인 구매계획이 없었으나 내부적, 외부적 자극에 영향 받아 계획하지 않은 제품을 즉흥적으로 구매하는 행동으로서(Weinberg & Gottawald, 1982), 갑작스럽고 때로는 강력하며 쾌락적인 특성을 띤다(Rook, 1987). Bellenger et al.
의류제품의 가격에 작용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Helgeson and Beatty (1987)는 소비자가 제품의 구매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탐색하는 정보의 약 40%가 가격과 관련된 것이라고 하였다. 특히 의류제품의 가격은 구성 섬유, 디자인, 유통, 상표등 많은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다른 제품에 비해 가격범위가 매우 넓고(Sproles, 1979) 수명 주기가 짧은 시즌 상품이어서 제품 주기 상 전략에 의한 가격인하가 불가피한 특성을 갖고 있다(Lee & Rhee, 2002)
백화점 및 유명 브랜드들이 온라인 시장에 진출하는 데 깔려있는 배경은 무엇인가? 백화점 및 유명 브랜드들이 온라인 시장에 진출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배경이 깔려있다. 첫째, 소비력이 큰 40~50대 고객들이 온라인 몰로 편입되고 있는 점, 둘째, 경제적 여력은 있으나 시간이 부족한 전문직종사자들이 증가하여 프리미엄온라인 몰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는 점(“Lotte premium online mall”, 2012), 셋째, 기존온라인 몰들이저가 상품이나 이월 상품 위주의 상품구성을 갖는 것에 대한 차별화 전략 등이다(“Luxurious online shopping”, 2012). 삼성디자인 넷은 온라인 시장에서의 이러한 변화와 관련하여, 앞으로 패션업계가 인터넷 시장에서 다양한 브랜드와 상품 기획력으로 차별화하기 위한 시도를 더 많이 할 것으로 내다봤다(“Analysis of 2012/13 fashion”,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nalysis of 2012/13 fashion market issues by retail types. (2013, January 14). Samsung Design Net. Retrieved March 29, 2013, from http://www.samsungdesign.net/Market/MarketReport/content.asp?an79 

  2. Baek, S. R. (2008). The influence of impulse buying tendency, apparel price and scarcity message on purchasing behavior at the time of group buying on the intern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 Bellenger, D. N., Robertson, D. H., & Hirshman, E. C. (1978). Impulse buying varies by produc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8(6), 15-18. 

  4. Byun, H. S., & Kim, J. H. (2006). A research on store characteristics,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character-istics affecting impulsive buying tendency in web stores. Daehan Journal of Business, 19(3), 1039-1057. 

  5. Cho, J. Y. (1996).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onsumer's experience-focused on impulse buying experience. Advertising Research, 32(1), 151-172. 

  6. Choi, Y. J. (2010). The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fashion leadership on benefit seeking and brand loyalty of luxury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7.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Addison-Wesley. 

  8. Helgeson, J. G., & Beatty, S. E. (1987). Price expectation and price recall error: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 379-386. 

  9. High brands which only sold at department stores are coming out of the department stores, looking for the new distribution channel. (2013, March 18). Dongadotcom. Retrieved March 29, 2013, from http://news.donga.com/3/all/20130318/53798104/1 

  10. Hwang, S. J., & Baek, S. R. (2009). The influence of impulse buying tendency, price, and scarcity message on apparel choice and purchase intention at the time of internet group buy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0), 1519-1529. 

  11. Jin, B. H. (1998). Consumer's perception of clothing price: Testing the validity of dimensions of clothing price(Part 1): Testing the validity of dimensions of clothing pr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3), 417-427. 

  12. Jin, C. H. (2011). Individual differences effects on compulsive buying on the interne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3(3), 31-59. 

  13. Kim, B. (2011). A study on vitalization of men's fashion goods for mid 30's to 40's.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2(4), 3-13. 

  14. Kim, C. W., & Baik, Y. S. (1994). The ways reacting to the price as constructs. Chuncheon Teachers College Journal, 34, 139-151. 

  15. Kim, G. S., & Chung, M. S. (2005). The effects of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marketing stimulus factors on impulsive buying behaviors of fashion products. Journal of Human Ecology, 15, 23-40. 

  16. Kim, H. D. (2006).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post-purchase behavior among impulse purchase groups of internet shopp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7(4), 297-318. 

  17. Kim, H. J. (2009). Apparel consumers' attitudes toward price, preferences for a classification of price markdowns and satisfaction of store attributes according to a classification of retail stor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18. Kim, H. S. (2012). The effects of self-esteem, prices of apparel products, and types of sales promotions on consumers' impulse buying behavior at internet shop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9. Kim, J. (2005). A study on the hedonic value and utilitarian value of internet shopping to the level of internet customers'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20. Kim, J. H. (2007). BI study for men's multishop brand following changes in men's propensity to consu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Kim, J. H., & Park. O. L. (2005). The study on the shopping behavior according to fashion consciousness of male consume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4(1), 167-178. 

  22. Kim, M. H. (2008). The influence of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regret-solution effort upon the post-purchase behavioral intention: Focusing on the adjustment role of impulse buying typ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3. Kim, S. H., & Park, K. H. (2010). The relationships of shopping orientation, price percep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internet buying agent service users. Fashion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2(4), 450-458. 

  24. Kim, Y. K. (2008). A study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products in internet shopping mal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Lee, G. H., & Rhee, E. Y. (2002). The multi-faceted influence of price on consumers' purchasing process of apparel products: Relationships with attitudinal and behvioral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9), 1-15. 

  26. Lee, H. J., & Kim, S. M. (2006).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mpulse purchase of clothing product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6), 917-931. 

  27. Lee, H. S., Ahn, K. H., & Ha, Y. W. (2010). Consumer behavior (5th ed.). Paju: Bubmunsa. 

  28. Lee, J. W. (2011). The study of consumer attitude on highfunctionality outdoor wear price: The influence of outdoor activities' motivation and consumer knowled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9. Lee, M. H., & Kim, M. K. (2001). The relationship among price-related clothing attitude, general value,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Journal of Living Culture Research, 15(1), 143-165. 

  30. Lee, Y. K. (2007). A study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 purchaser of CATV home shopping based on home shopping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information 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1. Lichenstein, D. R., Ridgway, N. M., & Netemeyer, R. G. (1993). Price perceptions and consumer shopping behavior: A field stud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2), 234-245. 

  32. Lim, S. Y., & Na, Y. J. (2005). Adolescents' shopping orientation and price perception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on internet shopping mall. Fashion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7(6), 594-600. 

  33. Lotte premium online mall 'El Lotte' is opening March 30. (2012, March 26). Yonhapnews. Retrieved March 29, 2013,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03/26/0200000000AKR20120326045900003.HTML?did1179m 

  34. Luxurious online shopping mall 'El Lotte' worked even in the recession. (2012, November 18). Edaily. Retrieved March 2, 2013, from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C21&newsid01200486599727032&DCDA00302&OutLnkChkY 

  35. Nam, M. W. (2010). Price attitude of apparel products and store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vanity typ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 (2), 23-38. 

  36. Noh, S. Y. (2012). The online-order apparel shoppers' impulsive purchase propensity and impulsive purchase stimul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37. Oh, J. C. (2009). A study on impulsive buying of digital contents in internet. Daehan Journal of Business, 22(1), 261-289. 

  38. Oh, Y. J. (2009). The effect of women's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and sale promotion on impulse buy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9. Park, E. J., & Hong, K. H. (1999). The study of consumer's clothing discount store selection behavior by their price attitude and risk perception.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4), 529-540. 

  40. Park, S. M., & Lee, E. H. (2007). The 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price and the propensity to conspicuous consumption in the purchase of clothing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2), 367-380. 

  41. Premium online mall 'El Lotte', aiming 200 billion won annual sales by differentiated items and customized services for each customer. (2012, March 26). Herald Economy. Retrieved March 2, 2013, from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20326000785&md20120328003139_AP 

  42. Rhee, Y. J. (2011). A study of consumer satisfaction in surrogate internet shopping mall for apparel products: Price perception and delivery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9), 73-81. 

  43. Rook, D. W. (1987). The buying impulse. Journal of Customer Research, 14(2), 189-199. 

  44. Sproles, G. B. (1979). Fashion: 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Minneapolis: Burgess Publishing Company. 

  45. Weinberg, P., & Gottwald, W. (1982). Impulsive customer buying as a result of emo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1), 43-57. 

  46. Yang, Y., & Lee, C. H. (2000). A study for the impulse buying tendenc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Custo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2), 137-168. 

  47. Yum, M. J. (2009). A study on the shopping orientation and impulse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product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Focusing on stimulus factors of price and va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