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커머스에서 패션제품 소비자의 브라우징 동기, 위험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shion Consumer's Browsing Motives and Risk Perception on 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6, 2013년, pp.772 - 785  

우승현 (건국대학교 의류학과) ,  황진숙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shion consumer's browsing motives and risk perception on impulse buying and 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The online survey results of 317 customers who experienced using fashion products via social commerc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plo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와 패션제품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품이나 서비스 및 소비자의 심리와 관련된 차별화된 위험지각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브라우징 동기가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및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적극적인 소비자 구매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개선점을 제시한다.
  • 또한, 향후 소셜커머스가 온라인 유통 형태의 하나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살펴볼 필요가있으므로 구매의도와 함께 높은 할인율 및 시간과 수량의 희소성 메시지를 제시하는 소셜커머스의 특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충동구매를 변수로 선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 업체와 패션기업이 소비자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적절한 마케팅과 유통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 소셜커머스를 통해 외식 쿠폰이나 공연, 여행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와 배송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은 다를 수 있으므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하여 세부적으로 다뤄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를 이용하는 패션제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에서의 패션제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쇼핑 목적을 행동으로 구체화한 개념인 브라우징 동기와 쇼핑 과정에서의 위험지각, 구매행동간의구조방정식모형을통해변수간영향관계를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브라우징할 수 있으며(Lee & Lee, 2003) 특히 소셜커머스는 높은 할인율의 제품이 매일 새롭게 업데이트되고 시간과 수량의 제한이 있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제품 판매가 종료된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브라우징은 다양한 동기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 Kim, 2011) 향후 소셜커머스가 온라인 유통 채널의 하나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한 제도와 보상 프로그램이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와 패션제품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품이나 서비스 및 소비자의 심리와 관련된 차별화된 위험지각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브라우징 동기가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및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적극적인 소비자 구매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개선점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2010년 도입된 이래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는 ‘소셜커머스’라는 새로운 온라인 유통 채널에서 패션제품 소비자의 브라우징 동기와 위험 지각, 충동구매 및 구매의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에서 패션제품 소비자의 브라우징 동기와 위험지각의 하위 차원에 대해 살펴보고 브라우징 동기, 위험지각, 충동구매 및 구매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모형은 아래 [Fig.
  • 그러므로 소셜커머스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패션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성공적인 유통 채널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소셜커머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니즈 파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를 이용하는 패션제품 소비자의 브라우징 동기와 위험지각 및 구매행동 간의 영향 관계 분석을 통해 향후 패션기업과 소셜커머스 업체에게 도움이 되는 자료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 그리고 소셜커머스가국내에 정착한지 채 3년이 되지 않았고 미흡한 부분으로 지적되어 온 고객 신뢰 문제와 관련하여 소비자는 소셜커머스 이용시 위험을 지각할 수 있다. 소셜커머스에서의 패션제품 소비자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초기에 진행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소비자의 브라우징 동기적 측면에 초점을 맞춰 하위 차원을 도출하고자 하며 각 브라우징 동기에 따라 소비자가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위험은 상이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브라우징 동기가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소셜커머스가 온라인 유통 형태의 하나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살펴볼 필요가있으므로 구매의도와 함께 높은 할인율 및 시간과 수량의 희소성 메시지를 제시하는 소셜커머스의 특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충동구매를 변수로 선정한다.
  •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는 브라우징 단계를 거쳐 제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어떠한 브라우징 동기로 제품을 탐색하느냐는 구매의도를 결정짓는 관건이 될 수 있다. 특히, 소셜커머스의 특성인 높은 할인율과 희소성 메시지가 구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충동구매와 함께 구매의도를 변수로 선정하여 소셜커머스에서 패션제품 소비자의 브라우징 동기 요인과 위험지각 요인에 따라 어떻게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가설 설정

  • H1. 소셜커머스에서 패션제품 소비자의 브라우징 동기는 위험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커머스 특성 중 공동구매 형태의 온라인 유통 업체가 갖는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인가? 소셜커머스의 특성 중 ‘가격성’은 공동구매 형태의 온라인 유통 업체가 갖는 가장 큰 장점으로(Fang & Seo, 2011), 소셜커머스는 ‘가격’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구매행동을 이끄는 유통 채널로 알려져 있다. 반면, 패션제품은 유행성과 소비자의 패션관여도가 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패션이미지, 개성, 지위 상징 등이 중요시 되는(Lee & Na, 2007) 감성에 소구하는 제품군이기 때문에 가격적인 요인보다는 심미적인 부분이 구매를 자극할 수 있다.
소셜커머스란 무엇인가?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는 소셜미디어를 의미 하는 소셜(Social)과 상거래를 의미하는 커머스(Commerce)의 합성어로 소셜미디어를 통한 상거래를 뜻한다 (Lee & Yoon, 2011). ‘소셜’은 사회를 의미하기 때문에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진다면 모두 소셜커머스로 정의될 수 있다(Yoo & Yoon, 2011).
소셜커머스의 상품 영역은 어떻게 되는가? 2010년 국내에 첫 선을 보인 소셜커머스는 현재까지 꾸준히성장세를이어가고있다. 초기에는공연, 식·음료업, 미용과 관련한 소규모 사업자의 상품이 주를 이루었지만 현재는 레저, 패션, 가전제품 등의 브랜드 상품들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거래되는 상품 영역이 점차 광범위해지고있다. 특히, 그 중 패션제품은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국내의 대표적인 소셜커머스 업체들은 패션분야의 사업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hn, J. A. (2008). Perceived risk of internet shopping mall brand consumers according to purchasing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on information search and purchasing inten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8(1), 161-194. 

  2. Bauer, R. A. (1960). Consumer behavior as risk taking. In R. S. Hancock (Ed.), Dynamic marketing for a changing world (pp. 389-398).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3. Bloch, P. H., Ridgway, N. M., & Sherrell, D. L. (1989). Extending the concept of shopping: An investigation of browsing activit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7(1), 13-21. 

  4. Chung, H. Y. (2001). A study on apparel store browsers' browsing motives, shopping leadership and preferred store attribut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1), 86-99. 

  5. Chung, Y. J., Jang, E. Y., & Lee, S. J. (2002). A study on the buying intention and impulse buying of discount store appar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1), 37?52. 

  6. Cho, Y. J., Lim, S. J., & Lee, S. H. (2001). Focusing on perceived risks Apparel purchase behavior among internet shopp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7), 1247-1257. 

  7. Choi, J. Y. (2009). (The) effects of promotion-acceptance attitudes, browsing, customer satisfaction on e-loyalty according to e-promotion interests for fashion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8. Fang, L., & Seo. S. S. (2011). A study on effect on the credibility and word-of-mouth intention by characters of social commerce. Journal of KECRA, 12(2), 89-108. 

  9. Han, E. K., Song, S. J., & Lim, H. N. (2011). The motives for using social commerce and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3(3), 298-325. 

  10. Hong, B. S., & Na, Y. K. (2008). The effect of the perceived hedonic value, usefulness and ease of use on attitude toward using in internet shopping mall and purchase l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 147-156. 

  11. Hong, Y. S. (2008). The influence of scarcity message types i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mpulse purchase intention and shopping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2. Jin, D. S., & Lim, J. W. (2012). Impacts of social commerce in e-commerce: In perspective of social commerce analysis model.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14(1), 369-390. 

  13. Kim, C. H. (2011). Social commerce. Seoul: Bloterandmedia. 

  14. Kim, E. Y. (2011). Effects of web browsing motivation and retail strategy on purchase conversion behavior for apparel.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20(4), 849-860. 

  15. Kim, I., Kim, J. J., & Han, E. K. (2011). The third-person perception of impulse buying in social commerce. Advertising Research, 91, 313-347. 

  16. Kim, Y. H., Bae, J. H., Park, J. O., & Lee, K. H. (2007). Influence of perceived risks and information search on satisfaction with surrogate internet shopping ma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5), 670-679. 

  17. Lee, E. J., & Hong, B. S. (2006).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estimation and perceived risk on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to internet shopping mall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5), 79-87. 

  18. Lee, E. J., & Na, Y. K. (2007). Fashion merchandise and internet distribution. Paju: Korea Studies Information. 

  19. Lee, E. M. (2011). 소셜커머스 글로벌 사업자 동향 [Social commerce global business trend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3(3), 36-44. 

  20. Lee, G. S., & Yoon, H. J. (2011). Social commerce blue ocean. Seoul: Samjung-datasurvice. 

  21. Lee, H. B., & Lee, H. W. (2003). The impacts of browsing on buying impulsiveness in internet shopping malls. Korean Management Review, 32(5), 1235-1263. 

  22. Lee, H. J., & Kim, S. M. (2006).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mpulse purchase of clothing product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6), 917-931. 

  23. Lee, H. S., & Lim, J. H.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 19.0. Seoul: Jyphyunjae. 

  24. Lee, H. S., & Lim, S. J. (2000). The effect of price and brand on the perceived quality, value and purchase of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4), 498-509. 

  25. Lee, K. H., & Choi, J. Y. (2007). The role of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shopping fashion products 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3), 472-482. 

  26. Lee, K. T., Koo, D. M., & Noh, M. J. (2011). The effect of customer perceived value on social commerce usage intention. Asia Marketing Journal, 13(3), 135-161. 

  27. Nam, E. H., & Lee, J. H. (2009).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s on purchase decision behavior among internet fashion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707-1718. 

  28. Park, C. (2000). The internet navigation value and internet shopping behavior. Korea Marketing Review, 15(1), 143-162. 

  29. Park, E. J., Kim, E. Y., Funches, V. M., & Foxx, W. (2012). Apparel product attributes, web browsing, and e-impulse buying on shopping websit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5(11), 1583-1589. 

  30. Park, J. S., & Lee, J. M. (2008). A study on affecting factors of impulsiveness buying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Focus on moderating of browsing.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6(1), 93-104. 

  31. Ryou, E. J., & Cho, O. S. (2005). The effects of the internet shopping values on the internet shopp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Focused on the shopping mall attributes and perceived risk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2), 209-220. 

  32. Seo, S. S., & Lee, J. H. (2011).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of social commerce site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40, 19-37. 

  33. Seo, Y. G., Kim, H. R., & Hyun, J. A. (2011). A study on social commerce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categories.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29(4), 149-160. 

  34. Sharma, P., Sivakumaran, B., & Marshall, R. (2010). Impulse buying and variety seeking: A trait-correlates perspectiv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3(3), 276-283. 

  35. Shin, M. K., Joung, S. H., & Yuh, Y. K. (2004).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information search in internet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 (9), 195-212. 

  36. Shin, M. S., Han, S. S., & Kim, H. J. (2012).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service quality and individual tendency on trust, satisfaction & continuous use intention. Korea Business Review, 71, 1-23. 

  37. Social commerce industry, "Catch the female customers". (2012, March 8). Ajnews. Retrieved April 10, 2012, from http://www.ajnews.co.kr/common/redirect.jsp?newsId201203-08000286 

  38. Social commerce, what is the best-selling product? (2012, April 8). Asiaeeconomy. Retrieved April 10, 2012, from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0408145016-54012&nvrY 

  39. 'Social' width widen 'Commerce' transparently. (2011, October 25). Economic review. Retrieved May 24, 2012, from http://www.econovill.com/archives/33011 

  40. Stern, H. (1962). The significance of impulse buying today. Journal of Marketing, 26(2), 59-62. 

  41. Suk, H. J., Park, S. H., & Lee, E. J. (2011). Shopping motives, information search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8), 918-932. 

  42. Ticket Monster, cumulative sales topped 20 billion won. (2010, December 24). Moneytoday. Retrieved April 1, 2012, from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0-122410224177006&outlink1 

  43. What is social commerce.. Over 1 trillion won in the domestic market. (2012, April 2). MK News. Retrieved April 8, 2012,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202941 

  44. When using social commerce, regard No 1. "quality". (2011, December 28). Newsis. Retrieved April 10, 2012, from 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111228_0010093905 

  45. Yang, Y., & Lee, C. H. (2000). A study for the impulse buying tendenc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2), 137-168. 

  46. Yoo, Y. S., & Yoon, S. J. (2011). Social commerce, what and how to utilize. Seoul: TheSu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