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파장 라만 라이다 시스템을 이용한 고도별 황사의 단산란 알베도 산출
Retrieval of Vertical Single-scattering albedo of Asian dust using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9 no.4, 2013년, pp.415 - 421  

노영민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  이철규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김관철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  신성균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  신동호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  최성철 ((주) 솔탑)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파장 라만 라이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기 중의 비구형 순수 황사입자와 구형 오염 입자가 혼합된 황사 입자의 단산란 알베도를 산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대기 관측 사례 분석 자료로부터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편광소멸도는 황사와 비황사와의 혼합정도에 반비례함을 응용하여 편광소멸도 값으로부터 황사비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황사와 비황사로 황사층을 구분하였다. 산출된 비황사의 두 파장(355, 532 nm)의 소산계수와 세 파장(355, 532, 1064 nm)의 후방산란계수를 이용하여 역행렬 분석을 수행하여 비황사의 고도별 단산란알베도를 도출하였다. 황사와 비황사의 가중치를 소산계수값으로부터 산출하고 각 가중치를 황사와 비황사에 적용하여 황사 층 전체의 고도별 단산란알베도를 산출하였다. 단, 황사의 단산란알베도는 순수황사로 가정하여 발원지에서 측정된 순수황사가 나타내는 0.96의 값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개발된 분석방법은 기존의 원격탐사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황사의 이동시 타 오염입자와의 혼합에 따른 광학적 특성의 변화에 대한 정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ew approach to retrieve the single-scattering albedo (SSA) of Asian dust plume, mixed with pollution particles, using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was suggested in this study. Asian dust plume was separated as dust and non-dust particle (i.e. spherical particle) by the particle depolariz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에 분석되지 않던 황사의 고도별 ω를 다파장 라만 라이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광주과학기술원의 다파장 라만 라이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황사층의 광흡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고도별 ω를 직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황사 발생 시 황사층에서 순수황사와 비황사로 분리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를 위하여 532 nm 수평 및 수직 후방산란광의 비로부터 입자의 비구형성을 알 수 있는 편광소멸도(Depolarization ratio)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황사층에서 순수황사와 비황사의 비(황사비: Dust ratio: RD)를 고도분포에 따라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사가 이동하는 경로는? 편서기류를 타고 장거리 이동 시 기상조건에 따라 다양한 고도 및 이동경로로 이동하는 황사는 경우에 따라 중국의 도심 및 공업지역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나 biomass smoke 입자 등과 혼합되기도 한다. 황사와 다른 입자와의 혼합은 황사 층의 광학적 특성 변화를 유발한다(Yu et al.
황사란 무엇인가? 황사(Asian dust)는 중앙아시아의 사막지역에서 매년1000에서 2150 Tg 가량이 발생되며(Zender et al., 2004), 다른 에어로졸과 더불어 아시아 지역의 대기환경 및 기후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에어로졸의 하나이다(Tengen et al., 2004; Rosenfeld et al.
순수황사 외에 미세한 오염입자가 혼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측정 값은? Anderson et al.(2003)은 ACE-Asia 기간 동안 항공기를이용한 황사 관측을 통하여 입경크기가 1 mm 이상 조대입자의 단산란 알베도(Single-scattering albedo, ω)는 550 nm에서 0.96 ± 0.01인데 반하여 1 μm 이하의 미세입자에서는 0.88 ± 0.03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측정하였다. 이는 황사 발생시 황사 층에 조대입자인 순수황사 외에 미세한 오염입자가 혼합되어있음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derson, T.L., S.J. Masonis, D.S. Covert, N.C. Ahlquist, S.G. Howell, A.D. Clarke, and C.S. McNaughton, 2003. Variability of aerosol optical properties derived from in situ aircraft measurement during ACE-As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8(D23): 8647. 

  2. Cairo, F., D. Donfrancesco, A. Adriani, L. Pulvirenti, and F. Fierli, 1999. Comparison of various linear depolarization parameters measured by lidar, Applied Optics, 38(21): 4425-4432. 

  3. Huang, J., P. Minnis, B. Lin, T. Wang, Y. Yi, Y. Hu, S. Sun-Mack, and K. Ayers, 2005. Possible influences of Asian dust aerosols on cloud properties and radiative forcing observed from MODIS and CER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L06824, doi:10.1029/2005GL024724. 

  4. Jung, J., and Y.J. Kim, 2011. Tracking sources of severe haze episodes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hygroscopic properties under Asian continental outflow: Long-range transport pollution, postharvest biomass burning, and Asian dus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6(D2): D02206. 

  5. Lee, K.H., J.E. Kim, Y.J. Kim, J. Kim, and W.V. Hoyningen-Huene, 2005. Impact of the smoke aerosol from Russian forest fires 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over Korea during May 2003, Atmospheric Environment, 39(1): 85-99. 

  6. Lee, K.H., Y.J. Kim and M.J. Kim, 2006. Characteristics of aerosol observed during two severe haze events over Korea in June and October 2004, Atmospheric Environment, 40(27): 5146-5155. 

  7. Muller, D., U. Wandinger, and A. Ansmann, 1999. Microphysical particle parameter from extinction and backscatter lidar data by inversion with regularization: Theory, Applied Optics, 38(12):2346-2357. 

  8. Noh, Y.M., Y.J. Kim, B.C. Choi, and T. Murayama, 2007. Aerosol lidar ratio characteristics measured by a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at Anmyeon Island, Korea, Atmospheric Research, 86(1): 76-87. 

  9. Noh, Y.M., D. Muller, I. Mattis, H. Lee, and Y.J. Kim, 2011. Vertically resolved light absorption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relative humidity on particle properties: multiwavelength Raman lidar observations of East Asian aerosol types over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6: D06206. 

  10. Noh, Y.M., D. Muller, H. Lee, K.H. Lee, K. Kim, S. Shin, and Y.J. Kim, 2012. Estimation of radiative forcing by the dust and non-dust content in mixed east Asian pollution plumes on the basis of depolarization ratios measured with lidar, Atmospheric Environment, 61: 221-231. 

  11. Noh, Y.M., and K.H. Lee, 2013. Characterization of optical properties of long-range transported Asian dust in Northeast Asi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2): 243-2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Rosenfeld, D., Y. Rudich, and R. Lahav, 2001. Desert dust suppressing precipitation: A possible desertification feedback loop, Proc.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8: 5975-5980. 

  13. Shimizu, A., N. Sugimoto, I. Matsui, K. Arao, I. Uno, T. Murayama, N. Kagawa, K. Aoki, A. Uchiyama, and A. Yamazaki, 2004. Continuous observations of Asian dust and other aerosols by polarization lidars in China and Japan during ACE-As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9: D19S17. 

  14. Sugimoto, N., I. Uno, M. Nishikawa, A. Shimizu, I. Matsui, X. Dong, Y. Chen, and H. Quan, 2003. Record heavy Asian dust in Beijing in 2002:Observations and model analysis of recent event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0(12):1640. 

  15. Sugimoto, N., A. Shimizu, I. Matsui, I. Uno, K. Arao, X. Dong, S. Zhao, J. Zhou, and C.H. Lee, 2005. Study of Asian dust phenomena in 2001-2003 using a network of continuously operated polarization lidar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Focus 5(3-6): 145-157. 

  16. Tegen, I., M. Werner, S.P. Harrison, and K.E. Kohfeld, 2004. Relative importance of climate and land use in determining present and future global soil dust emiss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 31, L05105, doi:10.1029/2003GL019216. 

  17. Yu, X., T. Cheng, J. Chen, and Y. Liu, 2006. A comparison of dust properties between China continent and Korea, Japan in East Asia, Atmospheric Environment, 40(30): 5787-5797. 

  18. Zender, C.S., R.L. Miller, and I. Tegen, 2004. Quantifying mineral dust mass budgets: Terminology, constraints, and current estimates, EOS Trans. AGU, 85(48): 509-5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