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ebei Spirit 유류유출 사고 이후 암반 조간대 대형저서동물 군집 변화
Structure Changes of Macrobenthic Community on Rocky Shores After the Hebei Spirit Oil Spill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5 no.3, 2013년, pp.219 - 228  

정윤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 ,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 ,  윤건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 ,  이형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태계연구부) ,  마채우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more than 300 oil spill accidents occur every year. Despite the frequency, only a small pool of data is available on the initial effect of oil spill on macrobenthic fauna inhabiting rocky shor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tion of macrobenthic fauna composition and com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Hebei spirit 유류유출 사고 직후 암반조간대 대형저서동물의 종조성과 군집 구조 변화를 분석하고 유출된 유류가 암반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주변 해상에서는 연간 몇 건의 해양 유류오염 사고가 발생하는가? 우리나라 주변 해상에서는 연간 300여건 이상의 해양 유류오염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유류오염으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피해가 나타날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다. 2007년 12월에 발생한 Hebei Spirit 유류유출 사고는 태안군 연안에서 발생되었으며, 국내 최대의 유류유출 사고로 12,547 kl의 3종의 원유가 유출되어 사고 발생 5일만에 학암포에서 파도리까지 총 35 km의 해안이 유류에 피복되었으며, 사고 31일 후에는 제주시 조천읍 다려도 해안까지 타르볼 유입이 확인되었다(국토해양부 2009).
Hebei Spirit 사고 이후 연포와 몽산포는 계절간 생태지수의 변화가 크지 않고 유사한 값이 유지되었기 때문에 유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안정된 생물 군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이유는? Southward and Southward (1978)는 생물지수 변화의 폭이 크지 않고 유사한 값이 지속되는 상태를 비교적 안정된 생물 군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국내 암반 조간대에서 정 (2000)은 인위적인 간섭이 적은 환경에서 출현 종수나 서식밀도가 계절에 따라 급격히 증감하는 양상은 국지적이며, 대부분 지역이 약간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따라서, Hebei Spirit 사고 이후 연포와 몽산포는 계절간 생태지수의 변화가 크지 않고 유사한 값이 유지되었기 때문에 유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안정된 생물 군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조간대 중부의 경우 유류의 직접적인 영향과 L. undulata에게 서식처를 제공하는 M. galloprovincialis와 같은 대형 이매패류들의 밀도 감소로 인해 유류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 많은 개체가 사라진 것으로 보이는 이유는? 대조적으로 비교적 유류의 영향을 덜 받은 지역에서는 조간대 중부에서만 출현하였으며, 유류의 영향을 많이 받은 지역 들에 비해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이 종은 대형 이매패류와 해조류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서식하는 종으로 비교적 조간대 하부에 해조류가 빈약한 연포와 몽산포의 하부에서는 출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조간대 중부에서는 비교적 유류의 영향을 덜 받은 지역에서 많은 영향을 받은 지역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밀도로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조간대 중부의 경우 유류의 직접적인 영향과 L. undulata에게 서식처를 제공하는 M.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충남, 국립공원관리공단, 619 p 

  2.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1차년도. 충남, 국립공원관리공단, 326 p 

  3.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2차년도. 충남, 국립공원관리공단, 314 p 

  4. 국토해양부 (2009) 허베이스피리트 유류오염 사고 해양오염 영향조사 및 생태계 복원 연구. 한국해양연구원, BSPM11-1611000-000392-01, 45 p 

  5. 권오길, 민덕기, 이종락, 이준상, 제종길, 최병래 (2001) 원색신 한국 패류도감. 서울, 민패류박물관, 332 p 

  6. 김윤설 (2012) Ecological Chateristics of Organisms attached to Sargassum beds in Gamak Bay, Korea. 이학박사 학위논문, 전남대학교, 31 p 

  7. 노분조, 박경숙, 이종위 (1996) 대산공단 주변의 대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학회지 14(1):69-80 

  8. 백경환 (2000) 소리도 인근해역의 조간대 무척추동물 군집에 대한 Sea Prince호 유류유출 영향. 이학석사 학위논문, 조선대학교, 197 p 

  9. 백상규, 윤성규 (2003) 진해괴정 암반 조간대 담치대의 대형 저서동물 군집구조 및 수직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6(5):500-508 

  10. 신현출, 이정호, 임경훈, 윤성명, 고철환 (2008) 암반조간대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씨프린스호 유류 유출사고 영향 평가. 한국환경학회지 26:159-169 

  11. 유성규, 김기주, 이청구 (1970) 연안산 중요 조개류의 증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4. 진주담치의 성장에 대하여. 한국수산학회지 3(2):103-109 

  12. 유성규, 임현식, 장영진 (1990) 진해만에서 진주담치 Mytilus edulis의 부유유생의 출현, 부착 및 초기성장에 관한 연구. 한국패류학회지 6(1):1-10 

  13. 이희중 (2010) Impacts of 2007 Hebei spirit oil spill on reproductive physiology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unberg, 1793) in Taean off the west coast of Korea. 이학석사 학위논문, 제주대학교, 31 p 

  14. 정의욱 (2000) 제주도 김녕항 부근 암반조간대 저서동물의 시.공간적 분포. 이학석사 학위논문, 제주대학교, 38 p 

  15. 조성억 (1987) 알쏭이모자반(Sargassum confusum)과 해조표면 서식동물의 생산성. 이학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71 p 

  16. 최진우, 박소현, 서진영 (2011) 남해 장목만 부착생물의 PVC 인공부착판에서의 가입 양상. 한국패류학회지 27(1):29-33 

  17. 해양수산부 (2005) 동.서.제주해역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용역 : 1단계 1차년도 보고서. 한국해양연구원, 563 p 

  18. Choi YR, Choi YS (1999) Studies on the culture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by rack method in the west coast of Korea. Bull Korean Soc Fish Tech 56:91-99 

  19. Connell JH (1974) Field experiments in marine ecology. In : Mariscal R (ed),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pp 21-54 

  20. Crothers JH (1983) Field experiments on the effects of Crude oil and dispersant on the common animals and plants of Rocky sea shores. Mar Environ Res 8:215-239 

  21. Gelin A, Gravez V, Edgar GJ (2003) Assessment of Jessica oil spill impacts on intertidal invertebrate communities. Mar Pollut Bull 46:1377-1384 

  22. Hawkins SJ, Proud SV, Spence SK, Southward AJ (1994) From the individual to the community and beyond: Water quality, stress indicators and key species in coastal ecosystems. In : Sutcliffe DW (ed) Water Quality and Stress Indicators i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Linking Levels of Organization (individuals, Populations, Communities). Freshwater Biological Association Publisher, Ambleside, pp 35-62 

  23. IPIECA (2000) Biological impacts of oil pollution: rocky shores. IPIECA Oil spill report series 7:1-22 

  24. Lee IK, Kim HS, Choi BL, Lee HB (1985) Studies on the marine benthic communities in inter and subtidal zones III.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mmunity structure in western coast of Korea. Proc Coll Nat Sci SNU 10:57-100 

  25. Newey S, Seed R (1995) The effects of Braer oil spill on rocky intertidal communities in South Shetland, Scotland. Mar Pollut Bull 30(4):274-280 

  26. Peterson CH, Eates JH (2001)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communities. In : Bertness MD, Gaines SD, Hay ME (eds) Marine community ecology.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pp 469-507 

  27. Son MH (1997) Ecology and Reproduction of Littorina brevicula (Philippi) (Gastropoda: Littorinidae) in Korean Waters. Ph. 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70-75 p 

  28. Southward AJ, Southward EC (1978) Recolonisation of rocky shores in Cornwall after use of toxic dispersants to clean-up the Torrey Canyon spill. J Fish Res Board Can 35:682-706 

  29. Yu OH, Lee HG, Shim WJ, Kim MK, Park HS (2013) Initial impacts of the Hebei Spirit oil spill on the sandy beach macrobenthic community west coast of Korea. Mar Pollut Bull 70:189-1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