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학교시설의 친환경건축물 인증 평가항목 및 사례 분석
The Analysis on the Assessment Categories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by the Case Studies of Educational Facilities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0 no.2, 2013년, pp.15 - 24  

김창성 (협성대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cerns about green building construction were quite increasing around the world. Therefore, Korea Government has execute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GBCC) in 2002. The GBCC of educational facilities was executed in 2005 and was revised in 2010.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학교시설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시행 년도 별로 분석하고, 친환경인증을 취득한 학교시설의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 친환경 인증제도의 이해와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교시설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시기별 개정에 따른 평가항목의 특성과 친환경 인증을 취득한 학교시설 사례의 취득점수현황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향후 국내 친환경 인증제도 개정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상에서의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교시설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GBC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의 평가항목을 연도별로 조사 분석하고, 친환경인증을 취득한 학교건물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내 학교시설부문 친환경 인증제도의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현황은 어떠한가? 국내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는 2002년 공동주택을 시작으로 하여, 2003년 주거복합 및 업무용 건물, 2005년 학교, 2006년 숙박 및 판매시설, 2011년 소형주택 및 기존건축물에 대한 인증기준이 마련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매년 그 인증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학교시설부문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현황(표 1)은 2005년에 2건의 예비인증을 받았으나 2007년부터 인증 받는 건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2007년 121건, 2008년 218건, 2009년 298건, 2010년 272건의 인증을 받았고, 2011년부터는 인증 받는 숫자가 다소 감소하여 2011년 191건, 2012년 123건으로 줄어들었다.
학교시설부문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은 2011년부터는 인증 받는 숫자가 다소 감소하는데 추정된 배경은 무엇인가? 학교시설부문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현황(표 1)은 2005년에 2건의 예비인증을 받았으나 2007년부터 인증 받는 건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2007년 121건, 2008년 218건, 2009년 298건, 2010년 272건의 인증을 받았고, 2011년부터는 인증 받는 숫자가 다소 감소하여 2011년 191건, 2012년 123건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학교시설에 대한 BTL 사업의 축소 등 최근 건축경기의 부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정책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점차 고조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구 환경오염의 주범인 탄소발생량을 줄여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을 통하여 에너지 자립을 이루고, 신성장 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정책이 점차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건축에서 CO2의 발생량은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의 약 25%인 4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Young-Cheol Kwon, Chang-Ho Choi, A Study on the Ecology of Education Facilities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SAREK, 2010 

  2. Dong-Hee Kim, Dong-Woo Cho, Ki-Hyung Yu, A Study on Assesment Result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AIK, 2010. 1 

  3. Sam-Uel Kim, Hyeong-Bo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y the Comparison with BREEAM and LEED, Journal of AIK, 2010. 12 

  4. Chang-Sung Kim, Kyung-Ah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by Assessing the Maintenance Categories, Journal of KIEAE , 2011, 10 

  5. Yu-Jin Lee, Tae-Kyung Lee, Sang-Hong Lee, A Study on Comparing and Analyzing Items of Green Building Guidelines for Public Buildings, Journal of AIK, 2010. 12 

  6. Tae-Moon Lee, An Analysis of Application Assessment Criteria from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of School Facilities, Journal of AIK-RA, 2010. 6 

  7. Ji-Na Jung, Choon-Seob Tae, Jeong-Hoon Yang, Sang-Dong Park,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y the Maintenance Survey Result of Certified School Facilities, Journal of AIK, 2010. 6 

  8. In-Cheol Ha, Byoung-Keun Kang, Analysis of environmental certification in BTL Project for Education Facilities, Journal of KIEAE, 2009. 5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Statu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 Korea 2012, www.molit.go.kr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2002-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