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평가지표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학교시설의 사후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 Analysis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 Focused on Post Evaluation of the Education Facilities case in Seoul -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0 no.3, 2013년, pp.41 - 52  

문선기 (고려대 건축학과) ,  신은경 (고려대 건축학과) ,  김세용 (고려대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urrent condition of seeking eco-friendly development,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can reduce environment burden that is able to be arose in life cycles of buildings. Moreover, it is a great help to induce to constructing pleasant environment. The ripple effect that also improves 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의 연구는 국내 · 외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큰 틀에서의 비교분석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친환경적인 기술부분에의 평가만 진행되고 있었고, 개선사항 역시 외국의 제도를 토대로 도출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평가지표에 대한 세부적인 항목분석을 실시하였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동시에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국내 실정에 맞는 현실적인 지표 개선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연구의 방법으로는 크게 문헌조사와 현장조사가 사용되었다. 문헌조사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와 관련된 선행연구에 대해 인증제도에 관한 부분과 사후평가에 대한 부분을 분석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서울시교육청 및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정보시스템, 한국교육환경연구원 등의 인증기관 홈페이지 자료, 학교별 친환경건축물인증 심사자료를 근거로 하는 평가지표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평가지표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실시하고 서울시 학교시설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사후 평가를 병행하였다.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가 그 이름을 달리하여 녹색건축물인증제도로 실시되면서 지표 전반적인 검증 단계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시기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현재 운영 중인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평가 지표들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항목의 구성과 배점, 평가 기준 및 방법, 변화된 내용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평가 지표에 대한 시사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제 친환경건축물인증을 획득한 서울시의 두 학교를 대상으로 현장평가 및 관련자료 분석을 실시하면서 현장에서의 반영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증제도의 평가 지표 항목을 대상으로 평가 기준 및 내용, 방법 및 중요성 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공신력 있고 보편화된 국제적 수준의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로의 발전을 위한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검증 과정을 거쳐 제도적, 내용적, 시설 운영적 차원에서의 시사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자료 구득 및 현장 실태 조사 등을 약 5개월에 걸쳐 시도하였지만 극히 일부에서만 호의적인 반을을 보였고, 자료의 관리, 내용적인 보안, 담당자 부재 등을 이유로 많은 한계를 경험할 수 있었다.
  •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의미가 변화하거나 중요성이 변화한 경우도 있으며, 평가의 난해함 또는 변별력 부족 등의 이유로 배점이 변화한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증지표의 신구 비교를 통해 각 항목에 대한 인증지표의 유효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 이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포괄적인 제도가 필요하다고 보이며, 인지도가 높고 인증의 파급효과를 고려한 공신력 있는 통합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 2와 같이 10,000㎡의 공공기관 발주 건축물의 경우 의무적으로 인증을 받아야 하며, 그 외에 자발적 인증을 받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와 자발적 인증을 받는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그리고 의무기준(시방 또는 성능)이 있는 친환경주택 건설기준 및 성능 평가 제도를 살펴보았다. 유사제도 모두 운영 또는 감독 기관이 국토해양부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모든 인증제도가 주택과 에너지를 기본으로 한다는 점 또한 공통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본 절에서는 항목들이 어떠한 기준과 방법 그리고 제출서류를 통해 점수를 획득하였는지에 대한 지침 분석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하여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부문별 인증지표가 어떠한 목적과 의의 그리고 어느 정도의 중요성이 있는지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각 인증지표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기 위한 수정 및 보완 필요 부분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운영 중인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평가 지표들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항목의 구성과 배점, 평가 기준 및 방법, 변화된 내용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평가 지표에 대한 시사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제 친환경건축물인증을 획득한 서울시의 두 학교를 대상으로 현장평가 및 관련자료 분석을 실시하면서 현장에서의 반영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평가 지표의 분석은 각각의 항목들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 본 절에서는 항목들이 어떠한 기준과 방법 그리고 제출서류를 통해 점수를 획득하였는지에 대한 지침 분석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하여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부문별 인증지표가 어떠한 목적과 의의 그리고 어느 정도의 중요성이 있는지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각 인증지표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기 위한 수정 및 보완 필요 부분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 학교건물에서의 친환경건축물인증 평가지표 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한 항목별 실제 유지·관리·운영 측면 검토를 동시에 실시한 이유는 평가 방법 및 내용에 대한 검증을 통해 인증 지표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획득한 학교시설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획득한 학교시설은 그 자체만으로도 학생들에게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할 수 있으며, 친환경건축물 속에서 생활하면서 교육 및 체험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학교시설은 공공건축물로써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에 다른 건축물들의 모범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친환경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시도 및 이를 평가하기 위한 제도는 의미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친환경인증제도의 평가지표분석에 대한 연구의 방법으로는 무엇이 사용 되었는가? 연구의 방법으로는 크게 문헌조사와 현장조사가 사용되었다. 문헌조사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와 관련된 선행연구에 대해 인증제도에 관한 부분과 사후평가에 대한 부분을 분석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환경보호를 위한 다양한 계획 및 시도들이 광범위한 평가기준에 의해 발표 내용이 국내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1992년에 개최되었던 리우 유엔환경개발회의 이래로 최근까지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주제로 환경보호를 위한 다양한 계획 및 시도들이 광범위한 평가기준에 의해 발표되고 있다. 이에 국내 정부 또한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개발을 위해 정책과 이에 상응하는 법제도를 마련하였고, 이 일환으로써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가 2000년도에 국토해양부(전 건설교통부, 이하동일)와 환경부에 의해 각각 신규 도입되었다. 이후 부처별로 별도의 규정으로 운영해 오던 “주거환경우수주택 시범인증제도1)”와 “그린빌딩 시범인증제도2)”를 2001년 12월을 기점으로 통합하였고, 이는 현재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Oh, Se Kyung and Han, Min Suk and Ihm, Pyeong Chan, An Improvement on Evaluation Method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cused on the Case of Japan, U.K and U.S.A, Journal of Asian Studies, 14(1), pp.219-241, 2011 

  2. Lee, Hyun-Woo and Choi, Chang-Ho, A Study on Score Comparison between Preliminary and Main Certific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13(1), pp.68-77, 2011 

  3. Jung, Ji-Na and Tae, Choon-Seob and Yang, Jeong- Hoon and Park, Sang-Do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y the Maintenance Survey Result of Certified School Facil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6), pp.349-356, 2010 

  4. Park, Jin Chul and Jeon, Bong Ku and Rhee, Dong Ju, A Study on Comparing and Analyzing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KIAEBS, 3(3), pp104- 115, 2009 

  5. Jung, Ji-Na and Kim, Yong-Seok and Seok, Ho-Tae and Park, Sang-Dong, A Study 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Obtained Scores in the Assessed Green Schoo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4), pp.279-286, 2009 

  6. Kwon, Young-Cheol and Kwag, Moon-Geun and Choi, Chang-Ho, A Study on the Energy Level of Education Facilities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1(12), pp.688-694, 2009 

  7. Yang, Kum-Suek, A Case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Composition Method of Environment- Friendly Architecture of the School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1(4), pp.9-16, 2009 

  8. Lee, Hyeon-Woo and Choi, Chang-Ho and Cho, Min- Gwan, A Study on Comparing and Analyzing Items of Foreig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KIAEBS, 1(2), pp.41-49, 2007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ttp://www.rda.go.kr Site accessed October 1, 2012 

  10. Local Sustainability Alliance of Korea, http://www.la21.or.kr, Site accessed October 1, 2012 

  11.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http://www.greengrowth.go.kr, Site accessed October 1, 2012 

  12. KORES, http://www.kores.or.kr, Site accessed October 1,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