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복측정자료를 가지는 적응적 집단축차검정에서의 신뢰구간 추정
Confidence Bounds following Adaptive Group Sequential Tests with Repeated Measures in Clinical Trial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6 no.4, 2013년, pp.581 - 594  

조숙정 (아이콘클리니컬 리서치 임상통계팀) ,  이재원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집단축차설계법은 중간분석을 실시하여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유효성 또는 무용성이 조기에 발견되면 임상시험을 조기에 종료할 수 있는 시험설계법이다. 적응적 설계법은 중간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시험설계를 변경하거나, 확률적으로 독립인 두개의 임상시험 결과를 결합하는 등 다양한 적응법으로 임상시험의 설계를 수정할 수 있는 시험설계법이다. 집단축차설계법과 적응적 설계법에서 주요하게 고려할 점은, 시험 전체적으로 제1종 오류를 적절히 분배하고 통제하여 임상시험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복측정자료 또는 경시적자료의 통계적 모형이 고려되는 경우에는 통계적 추론이 더욱 복잡하고 어려워진다. Lee 등 (2002)에서는 반복측정치를 가지는 임상시험에서 집단축차설계에서 미리 정한 기준에 의하여 임상시험이 종료된 후, 독립증분과 단계적 순서관계를 고려한 신뢰구간 추정법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연구는 Lee 등 (2002)를 적응적 설계로 확장하였다. 적응법을 실시한 전과 후의 임상시험을 확률적으로 독립인 관계로 정의하는 검정통계량을 유도하여 적응적 집단축차검정법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임상시험이 종료된 후 단계적 순서관계를 고려한 신뢰구간 추정법을 제안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하여 그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group sequential design can end a clinical trial early if a confirmed efficacy or a futility of study medication is found during clinical trials. Adaptation can adjust the design of clinical trials based on accumulated data. The key to this methodology is considered to control the overall type 1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반복측정자료를 가지는 적응적 집단축차설계 임상시험에서, 임상시험 종료 후 신뢰구간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반복측정치를 가지는 경우에 적응적집단축차설계법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검정통계량과 임상시험이 종료된 후에 단계적 순서관계를 고려한 신뢰구간의 추정법을 유도하였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신뢰구간의 안정성을 증명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집단축차설계의 임상시험에서 자료가 반복측정자료를 가지는 경우의 신뢰구간 추정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Lee 등 (2002)은 집단축차설계법에서 선형혼합효과모형, 일반화추정방정식 등의 반복측정자료를 가지는 임상시험에 대하여 단계적 순서관계를 고려하여 신뢰구간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본 절에서는 Brannath 등 (2009)의 방법을 반복측정자료 혹은 경시적자료를 가지는 모형으로 확장하여, 적응적 집단축차검정법 종료 후 관심모수에 대한 신뢰구간 계산방법을 유도하고자 한다. Laird와 Ware (1982)의 선형혼합모형을 m1k + m2k 개체 중 q (= 1, 2)처리를 받은 i번째 개체 yi
  • 최대분석횟수가 K이고 두집단의 모평균인 µt, µc을 비교하는 집단축차검정법을 고려하여보자.

가설 설정

  • 만약 임상시험의 중간분석결과가 적응적 집단축차설계에서 사전에 적응법을 실시하기 위한 조건과 부합하지 않아 적응법을 시행하지 않고 다음 단계로 진행되었다고 가정하자. 귀무가설 Hh : δ < h이고 최대 분석회수가 K인 집단축차검정에서 임상시험이 종료된 T(≤ K)단계 이 후 계산된 유의확률은 식(2.
  • 본 논문은 1회의 적응법을 고려하여 적응적 설계를 기준으로는 2단계 형태를 가정하였으나, 이는 3단계 이상으로 확장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2집단을 비교하는 확증적 3상 임상시험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3집단 이상을 비교하여 치료효과가 적은 집단을 순차적으로 제외하는 형태의 임상시험에서 반복측정치를 적절한 형태로 적용하는 검정방법을 고찰하고 검정결과에 상관없이 임상시험 종료 후의 단계적 신뢰구간을 적용할 수 있는등의 후속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모의실험에서 환자는 매년 초에 계획된 환자의 50%를 모집하여 2년간 등재를 마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1단계 임상시험 설계에서 환자모집이 2년, 마지막으로 등재된 환자의 추적기간이 3년임을 감안하면 예상되는 전체 임상시험 기간은 4년이 된다.
  • 양 투여군의 기울기 차이인 δ는 0.75%로 가정하였고 5%를 유의수준으로 정하였다.
  • 일반적인 귀무가설 Hh : δ < h를 고려하여 보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단축차설계법이란 무엇인가? 집단축차설계법은 중간분석을 실시하여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유효성 또는 무용성이 조기에 발견되면 임상시험을 조기에 종료할 수 있는 시험설계법이다. 적응적 설계법은 중간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시험설계를 변경하거나, 확률적으로 독립인 두개의 임상시험 결과를 결합하는 등 다양한 적응법으로 임상시험의 설계를 수정할 수 있는 시험설계법이다.
집단축차설계법과 적응적 설계법에서 주요하게 고려할 점은 무엇인가? 적응적 설계법은 중간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시험설계를 변경하거나, 확률적으로 독립인 두개의 임상시험 결과를 결합하는 등 다양한 적응법으로 임상시험의 설계를 수정할 수 있는 시험설계법이다. 집단축차설계법과 적응적 설계법에서 주요하게 고려할 점은, 시험 전체적으로 제1종 오류를 적절히 분배하고 통제하여 임상시험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복측정자료 또는 경시적자료의 통계적 모형이 고려되는 경우에는 통계적 추론이 더욱 복잡하고 어려워진다.
실제 실험에 적응적 설계법을 적용한 예로 무엇이 있는가? 적응적 설계법은 일정시점까지 누적된 자료에 근거하여, 임상시험을 조기에 종료하거나, 연구계획서를 변경하는 등 다양한 설계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임상시험에 등재할 피험자의 수를 재계산할 수도 있고, 효과가 없는 투여군을 제외할 수도 있다. 중간에 누적되 자료로 중간분석(interim analysis)을 실시하여 유효성/무용성 또는 독성이 조기에 입증되는 경우 임상시험을 중단할 수 있는 집단축차설계법(group sequential design)도 대표적인 적응설계법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uer, P. and Kohne, K. (1994). Evaluation of experiments with adaptive interim analyses, Biometrics, 50, 1029-1041. Correcion Biometrics, 52, (1996), 380. 

  2. Brannath, W., Mehta, C. R. and Posch, M. (2009). Exact confidence bounds following adaptive group sequential tests, Biometrics, 65, 539-546. 

  3. Cheng, Y. and Shen, Y. (2004). Estimation of a parameter and its exact confidence interval following sequential sample size reestimation trials, Biometrics, 60, 910-918. 

  4. Cui, L., Hung, H. M. J. and Wang, S. (1999). Modification of sample size in group sequential clinical trials, Biometrics, 55, 853-857. 

  5. Denne, J. S. (2001). Sample size recalculation using conditional power, Statistics in Medicine, 20, 2645-2660. 

  6. Fisher, L. D. (1998). Self-designing clinical trials, Statistics in Medicine, 17, 1551-1562. 

  7. Hwang, I. K., Shih, W. J. and DeCani, J. S. (1990). Group sequential design using a family of type I error probability spending functions, Statistics in Medicine, 9, 1439-1445. 

  8. Jennison, C. and Turnbull, B. W. (2000). Group Sequential Methods with Applications to Clinical Trials, Boca Raton, Chapman and Hall/CRC, Florida. 

  9. Kim, K. and DeMets, D. L. (1987). Confidence intervals following group sequential tests in clinical trials, Biometrics, 43, 857-864. 

  10. Laird, N. M. and Ware, J. H. (1982). Random-effects models for longitudinal data, Biometrics, 38, 963-974. 

  11. Lee, J. W. and DeMets, D. L. (1991). Sequential comparison of changes with repeated measurements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6, 757-762. 

  12. Lee, J. W., Jo, S. J., DeMets, D. L. and Kim, K. (2002). Confidence intervals following group sequential tests in clinical trials with multivariate observations, Journal of Statistical Computation and Simulations, 72, 247-259. 

  13. Lehmacher, W. and Wassmer, G. (1999). Adaptive sample size calculations in group sequential trials, Biometrics, 55, 1286-1290. 

  14. Lindstorm, M. J. and Bates, D. M. (1988). Newton-Raphson and EM algorithms for linear mixed effects models for repeated measures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3, 1014-1022. 

  15. Mehta, R. C., Bauer, P., Posch, M. and Brannath, W. (2007). Repeated confidence intervals for adaptive group sequential trials, Statistics in Medicine, 26, 5422-5433 

  16. Muller, H. H. and Schafer, H. (2001). Adaptive group sequential designs for clinical trials: Combining the advantages of adaptive and of classical group sequential approaches, Biometrics, 57, 886-891. 

  17. Muller, H. H. and Schafer, H. (2004). A general statistical principle for changing a design any time during the course of a trials, Statistics in Medicine, 23, 2497-2508. 

  18. Posch, M., Bauer, P. and Brannath, W. (2003). Issues in designing flexible trials, Statistics in Medicine, 23, 953-969. 

  19. Proschan, M. A. and Hunsberger, S. A. (1995). Designed extension of studies based on conditional power, Biometrics, 51, 1315-1324. 

  20. Schervish, M. J. (1984). Multivariate normal probabilities with error bound(with corrections in 1985), Applied Statistics, 33, 81-94. 

  21. Shen, Y. and Fisher, L. D. (1999). Statistical inference for self-designing clinical trials with a one sided hypothesis, Biometrics, 55, 190-197. 

  22. Tsiatis, A. A., Rosner, G. L. and Mehta, C. R. (1984). Exact confidence intervals following a group sequential test, Biometrics, 40, 797-8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