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 교과 내 식생활 단원의 내용 분석을 통한 학생들의 실천도 조사 Analysis of Students' Level of Participation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Unit of Dietary Life from Grade 9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원문보기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 내 '식단과 식품 선택'과 '식사 준비와 예절' 단원의 교육내용을 표/그림/사진, 읽기 자료, 활동자료로 나누어 살펴보고, 내용분석을 통해 추출된 체험 중심 항목을 식생활 단원을 모두 이수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천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식단과 식품의 선택' 단원과 '식사준비와 예절' 단원은 대체로 활동자료를 통해 가정생활에서의 실천적이고 체험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었으며, 표/그림/사진과 읽기자료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체험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활동과 문제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념을 설명하고 있었다. 체험 중심 학습 내용 중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은 항목은 '식사예절 지키기'(3.24),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3.18) 순이었으며, 실천도가 낮은 항목은 '음식 만들어보기'와 '균형 잡힌 식단 작성하기' 문항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시간 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활동자료를 제시한 항목에서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기술 가정교과 내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강의중심의 수업보다는 다양한 교육매체 및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수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 내 '식단과 식품 선택'과 '식사 준비와 예절' 단원의 교육내용을 표/그림/사진, 읽기 자료, 활동자료로 나누어 살펴보고, 내용분석을 통해 추출된 체험 중심 항목을 식생활 단원을 모두 이수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천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식단과 식품의 선택' 단원과 '식사준비와 예절' 단원은 대체로 활동자료를 통해 가정생활에서의 실천적이고 체험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었으며, 표/그림/사진과 읽기자료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체험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활동과 문제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념을 설명하고 있었다. 체험 중심 학습 내용 중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은 항목은 '식사예절 지키기'(3.24),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3.18) 순이었으며, 실천도가 낮은 항목은 '음식 만들어보기'와 '균형 잡힌 식단 작성하기' 문항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시간 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활동자료를 제시한 항목에서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기술 가정교과 내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강의중심의 수업보다는 다양한 교육매체 및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수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designed to test the students' involvement in the interactive activities and objectives of the relevant chapters in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the Grade 9 students w...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designed to test the students' involvement in the interactive activities and objectives of the relevant chapters in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the Grade 9 students who have successfully completed the Grade 8 "Choice of Food and Diet" and "Table Manners and Dining Etiquette" courses with classified materials such as tables/diagrams/pictures, reading, and activity resources from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The chapters "Choice of Food and Diet" and "Food Preparation and Etiquette" generally emphasize the practical and experiential part of domestic life through using various activity resources; while the tables/diagrams/pictures and reading materials do not provide the students with first-hand experience, they support the students' learning by explaining the basic knowledge required for doing the activities and solving various problems. Within the main training courses, the objectives which the students achieved the highest marks were(in a descending order) "Table Manners and Dining Etiquette" (3.24), "Checking Nutrition Labels, Food Expiration Date, Country of Origin When Buying Food" (3.18), Additionally "Making Food" and "Planning a Healthy, Balanced Diet" hardly met the goals, the result of which shows clear relations to the well achieved objectives from the list of in-class activities that students directly participated i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Food and Diet sec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it is recommend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actively engage in the class activities by developing various learning resources and teacher education/pedagogical materials, rather than following the conventional lecture-based teaching methods.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designed to test the students' involvement in the interactive activities and objectives of the relevant chapters in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the Grade 9 students who have successfully completed the Grade 8 "Choice of Food and Diet" and "Table Manners and Dining Etiquette" courses with classified materials such as tables/diagrams/pictures, reading, and activity resources from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The chapters "Choice of Food and Diet" and "Food Preparation and Etiquette" generally emphasize the practical and experiential part of domestic life through using various activity resources; while the tables/diagrams/pictures and reading materials do not provide the students with first-hand experience, they support the students' learning by explaining the basic knowledge required for doing the activities and solving various problems. Within the main training courses, the objectives which the students achieved the highest marks were(in a descending order) "Table Manners and Dining Etiquette" (3.24), "Checking Nutrition Labels, Food Expiration Date, Country of Origin When Buying Food" (3.18), Additionally "Making Food" and "Planning a Healthy, Balanced Diet" hardly met the goals, the result of which shows clear relations to the well achieved objectives from the list of in-class activities that students directly participated i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Food and Diet sec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it is recommend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actively engage in the class activities by developing various learning resources and teacher education/pedagogical materials, rather than following the conventional lecture-based teaching method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기술 · 가정 교과 내 ‘식단과 식품 선택’과 ‘식사 준비와 예절’ 단원의 교육내용을 표/그림/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로 나누어 살펴본 후 체험중심항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체험중심항목을 식생활 단원을 모두 이수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생활에서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첫째, 교과서별 식생활 단원의 교육내용을 표/그림/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로 나누어 살펴본 후 체험중심항목을 추출 한다.
둘째, 추출된 체험중심항목에 대한 실생활에서의 실천도를 알아본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Lee, 2010b; Lee & Jang, 2011; Park et al., 2011)의 분석방법을 참고하여 11종의 2007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기술 · 가정 교과서의 ‘식단과 식품의 선택’과 ‘식사준비와 예절’ 단원을 분석하였고, 분석 대상 교과서는 출판사에 따라 임의로 A, B, C, D, E, F, G, H, I, J, K로 구분하였다[Table 1].
또한 소단원 제목도 ‘ ∼ 어떻게 해야 할까’ 라는 실천적 질문으로 시작하면서 탐구·실습·조사·토의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기술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원주시에 소재한 3개의 중학교를 임의로 선정하고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서내 식생활 단원을 모두 이수한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2년 12월 3일부터 12월 6일까지 4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한 후 설문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12월 10일부터 12월 14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60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445부(회수율 96.
학생들이 식생활 단원을 학습한 후 실생활에서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내용분석의 기준을 토대로 11종 교과서에서 공통으로 다루고 있는 총 12개의 체험중심항목을 추출하였다. 체험중심항목에 대한 실천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천 정도가 매우 큰 경우는 4점,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는 경우는 3점, 대체로 실천하지 않는 경우는 2점, 거의 실천하지 않는 경우는 1점으로 점수화하여 분석하였다.
학생들이 식생활 단원을 학습한 후 실생활에서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내용분석의 기준을 토대로 11종 교과서에서 공통으로 다루고 있는 총 12개의 체험중심항목을 추출하였다. 체험중심항목에 대한 실천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천 정도가 매우 큰 경우는 4점,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는 경우는 3점, 대체로 실천하지 않는 경우는 2점, 거의 실천하지 않는 경우는 1점으로 점수화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프로그램(Ver.
교과서에서 표/그림/사진이 가장 많이 다뤄지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활동과제가 많이 다뤄지고 있었다. 표/그림/사진이 많이 제시된 H 교과서는 계절식품, 음식 정하는 순서, 다양한 조리 방법 등을 그림으로 제시할 때 단순히 식품명만 표기하지 않고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모형, 실물 사진을 적용하였다. 활동과제가 많이 제시된 I 교과서는 소단원 시작을 ‘활동으로 열기’로 하여 학습내용과 관련하여 주의를 환기하고, 준비학습이 되도록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사진 형태로 제시하면서 흥미를 느끼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I, K 교과서는 활동자료로 ‘친환경 농산물 구입 및 식품의 이동거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A 교과서는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식품을 조사’, C 교과서는 ‘탄소 성적 표시 제도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 서술하기’ 형태로 제시하였다.
활동자료는 ‘생각 모으기’, ‘스스로 해보기’, ‘생각 키우기’로 나누어져 있으며, ‘생각 키우기’는 모둠 활동도 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소단원을 ‘건강한 밥상, 가족이 함께 준비해요’, ‘식품은 어떻게 보관할까’, ‘친환경적인 식생활 마무리’, ‘상차림과 식사예절’로 구성하여 소단원 제목을 흥미롭게 제시하거나 실천적 질문으로 시작하면서 탐구․토론 · 체험 · 조사 등 다양한 활동으로 학습한 내용을 직접 경험하도록 하였다.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 항목은 G, I, J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가 가공식품을 예로 들면서 식품 표시를 표/그림/사진으로 제시하였다. 읽기자료는 D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에서 주로 이력 추적 관리 제도와 식품 첨가물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으며, 활동자료는 모든 교과서에서 평소 즐겨먹는 가공식품의 식품 표시 및 식품 첨가물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 항목은 표/그림/ 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를 통해 다양하게 제시한 반면 ‘식단 작성의 중요성’과 ‘대체식품 및 계절식품’ 항목은 주로 표/그림/사진을 통해 제시되었다.
퓨전 요리 수첩 만들기’라는 전통 식재료를 이용하면서 청소년들이 즐겨 먹을 수 있는 간식으로 알맞은 퓨전 음식 수첩을 만드는 모둠 활동을 제시하였다.
‘식사 예절 지키기’ 항목은 11종 교과서 모두 표/그림/사진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D, E, F, H, J, K 교과서에서는 다른 나라의 식사예절 및 외식할 때의 식사예절을 읽기자료로 제시하였고, D 교과서는 ‘나의 식사 예절 되돌아보기’, F와 K 교과서는 ‘급식 시간의 식사예절’을 개별과제로 제시하였으며, A, C, E, G, H 교과서는 ‘식사 중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하여 역할극 해보기’를 모둠 활동으로 제시하였다.
‘음식물 쓰레기 최소화하기’ 항목은 필요한 양만큼 구입하고, 음식을 알맞게 덜어 남기지 않고 식사하기 등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 자원을 절약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내용과 함께 표/그림/사진(B, D, E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 읽기자료(B, D, E, F, G, I 교과서), 활동자료(B, I, J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를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식단 평가하기’ 항목은 D와 G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에서 식사 평가표를 활용하여 제시하였고, ‘식품의 위생적인 보관/관리 방법 알기’ 항목은 C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에서 냉장고를 활용하여 식품을 보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11종의 중학교 2학년 기술 · 가정 교과 내 ‘식단과 식품 선택’과 ‘식사 준비와 예절’ 단원의 교육내용을 표/그림/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로 나누어 살펴본 후 체험중심 항목을 추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교과서 분석 준거를 참고하여 본 연구는 식생활단원의 교육내용을 표/그림/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로 선정하였다. 이 자료들은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보다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며, 다양한 학습형태에 대한 내용분석은 학생들의 실생활에서의 실천도를 알아보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원주시에 소재한 3개의 중학교를 임의로 선정하고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서내 식생활 단원을 모두 이수한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2년 12월 3일부터 12월 6일까지 4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한 후 설문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12월 10일부터 12월 14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60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445부(회수율 96.7%) 중 응답이 불충분한 것을 제외한 428부(남 209명, 여 219명)가 본 조사에 이용되었다.
분석 내용은 선행연구(Lee & Kim, 2000; Yoon et al., 2005; 이연진, 2007; Kim & Kim, 2010; Park et al., 2011)의 교과서 분석 준거를 참고하여 내용분석의 기준을 표/그림/사진2), 읽기자료3), 활동자료4)로 선정하였으며, 11종 교과서에서 공통으로 다루고 있는 총 12개의 체험중심항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체험중심항목을 식생활 단원을 모두 이수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생활에서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데이터처리
체험중심항목에 대한 실천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천 정도가 매우 큰 경우는 4점,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는 경우는 3점, 대체로 실천하지 않는 경우는 2점, 거의 실천하지 않는 경우는 1점으로 점수화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프로그램(Ver.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실천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였고, 성별에 따른 유의성 검증은 t-test를 이용하였다.
성능/효과
이상의 결과로부터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 항목은 표/그림/ 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를 통해 다양하게 제시한 반면 ‘식단 작성의 중요성’과 ‘대체식품 및 계절식품’ 항목은 주로 표/그림/사진을 통해 제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최소화하기’와 ‘식사 예절 지키기’ 항목은 표/그림/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를 통해 다양하게 제시된 반면, ‘기본 조리방법의 원리 및 적용하기’, ‘음식 만들어보기’ 와 ‘식품의 위생적인 보관/관리 방법 알기’ 항목은 주로 표/그림/사진을, ‘전통 음식의 계승 및 세계화에 대하여 인식하기’ 항목은 주로 읽기자료를 통해 제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와 I 교과서는 ‘음식 만들기를 한 후 실습보고서 작성하기’와 ‘계절에 어울리는 전통 음식으로 다과상 구성하기’인 모둠 활동을, F 교과서는 ‘남은 음식 재활용하기’로 과제를 제시하면서 친환경적인 식생활의 내용도 담고 있었다.
식생활 단원별로 알아본 결과 학생들은 ‘식사 준비와 예절’(2.76) 단원의 실천도가 ‘식단과 식품 선택’(2.71) 단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12개의 항목별 실천도를 살펴보면, ‘식단과 식품 선택’ 단원에서는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3.18), ‘친환경 농산물 먹기’(2.73), ‘계절식품 및 대체식품을 활용하기’(2.71) 순으로, ‘식사 준비와 예절’ 단원에서는 ‘식사예절 지키기’(3.24), ‘식품의 위생적인 보관/관리 방법 알기’(2.87) 순으로 높은 실천도를 보였다.
Kim 외(2011)의 연구에서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식생활 단원의 모든 영역에서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항목별로 알아본 결과에서는 식사예절과 관련된 문항이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학생들이 식사 중에 지켜야 할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본인이 지켜야 할 식사예절을 인지하고 실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일상생활에서 밥상머리교육인 일반 식사예절교육을 소중히 여겨 가정과 학교에서 예의범절 교육을 강조한 것이라 생각된다.
‘식단과 식품의 선택’ 단원은 첫째, 교과서에서 표/그림/사진이 가장 많이 다뤄지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활동과제가 많이 다뤄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교과내용에 시각적 자료보다는 활동자료가 제시되었을 때 학생들의 실천도를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교과내용에 많은 활동자료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수업 시간 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료가 아니라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식단과 식품의 선택’ 단원은 첫째, 교과서에서 표/그림/사진이 가장 많이 다뤄지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활동과제가 많이 다뤄지고 있었다. 제시된 표/그림/사진은 H 교과서가, 활동자료는 I 교과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1종 교과서의 내용분석을 통해 공통으로 다루고 있는 체험중심항목을 크게 5가지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1) ‘식단 작성의 중요성’, 2) ‘식단 작성하기’, 3) ‘대체식품 및 계절식품’, 4) ‘친환경 및 지역 농산물 먹기’, 5)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 항목이었다.
셋째,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 항목은 표/그림/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를 통해 다양하게 제시된 반면 ‘식단 작성의 중요성’과 ‘대체식품 및계절식품’ 항목은 주로 표/그림/사진을 통해 제시되었다.
첫째, ‘식단과 식품 선택’ 단원에서는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3.18), ‘친환경 농산물 먹기’(2.73), ‘계절식품 및대체식품을 활용하기’(2.71) 순으로, ‘식사 준비와 예절’ 단원에서는 ‘식사예절 지키기’(3.24), ‘식품의 위생적인 보관/관리 방법 알기’(2.87) 순으로 높은 실천도를 보였다.
셋째, ‘음식물 쓰레기 최소화하기’와 ‘식사 예절 지키기’ 항목은 표/그림/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를 통해 다양하게 제시된 반면, ‘기본 조리방법의 원리 및 적용하기’, ‘음식 만들어보기’와 ‘식품의 위생적인 보관/관리 방법 알기’ 항목은 주로 표/그림/사진을, ‘전통 음식의 계승 및 세계화에 대하여 인식하기’ 항목은 주로 읽기자료를 통해 제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식사준비와 예절’ 단원은 첫째, 교과서에서 표/그림/사진이 가장 많이 다뤄지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활동과제가 많이 다뤄지고 있었다. 제시된 표/그림/사진은 F와 H 교과서가, 활동자료는 H 교과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1종 교과서의 내용분석을 통해 공통으로 다루고 있는 체험중심 항목을 크게 7가지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1) ‘기본 조리 방법의 원리 및 적용하기’, 2) ‘음식 만들어보기’, 3) ‘전통 음식의 계승 및 세계화에 대하여 인식하기’, 4) ‘식단 평가하기’, 5) ‘식품의 위생적인 보관/관리 방법 알기’, 6) ‘음식물 쓰레기 최소화하기’, 7) ‘식사 예절 지키기’ 항목이었다.
43)는 전체 항목 중 가장 낮은 실천도를 보였다. 둘째,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게 나타난 항목과 교과서의 내용 분석과 연관지어 살펴 봤을 때 교과내용에 시각적 자료보다는 활동자료가 제시되었을 때 학생들의 실천도를 높일 수 있었다. 반면 이론중심의 항목에서 실천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활동자료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항목일지라도 수업시간 내 직접 체험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면 이 역시 낮은 실천도를 보이고 있었다.
후속연구
, 2005; Park & Lee, 2006; Kim & Lee, 2007)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식생활 단원별 선호도와 활용도를 조사한 연구들은 비교적 많지만 교과서별 식생활 단원의 내용분석을 통해 체험중심항목을 추출하고, 실생활에서의 실천도를 조사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이 교과내용분석을 통한 체험중심항목에 대한 올바른 파악은 향후 체험학습이 활성화되기 위한 기본 방향을 제공할 것이며, 일상생활에서 실천과 관련이 있는 체험중심항목을 통해 실질적으로 실생활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교과서 분석 준거를 참고하여 본 연구는 식생활단원의 교육내용을 표/그림/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로 선정하였다. 이 자료들은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보다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며, 다양한 학습형태에 대한 내용분석은 학생들의 실생활에서의 실천도를 알아보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교과내용에 많은 활동자료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수업 시간 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료가 아니라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실생활과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수업시간 내 참여 가능한 체험 위주의 활동자료로 구성,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실생활에서의 실천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식생활 교육에 있어 학교 수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이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 내용이 보다 실질적이고 흥미도를 높일 수 있는 수업시간에 체험 가능한 활동자료 위주로 구성, 활용될 때 실생활에서의 실천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전반적으로 낮은 실천도를 보이는 남학생들의 식생활 교육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본 연구의 내용 분석은 교과서를 산술적으로 분석하였기에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 체험적으로 교육을 받았다고 단정할 수 없다. 둘째, 본 연구는 교과서 단원구성체제 중 표/그림/사진, 읽기자료, 활동자료만을 선별하여 분석한 것으로 좀 더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입, 전개, 마무리 부분에 해당되는 모든 학습 자료와 본문 내용을 포함하여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교과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은?
가정교과는 실생활에 적용을 중시하는 실천 교과로서 체험 학습을 통하여 개념과 원리를 구체적으로 이해시키고, 가정 생활에서 접하는 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며, 일의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적성을 계발하고 진로를 탐색하며 일에 대한 건전한 태도를 가지게 한다(Park & Lee, 2006; Lee, 2010a).
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체험 중심 학습은 무엇을 축적하기 위함인가?
체험 중심 학습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학습 과제를 학생들이 직접 찾아가서 조사하고 토론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생활 속의 문제를 해결하고, 실생활과 밀착된 경험을 축적하는 데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8b). 이러한 체험 중심 학습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체험학습,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교육 수혜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 체험 학습 기회 및 장소의 다양화 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Lee & Kim, 2004).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내 식생활 단원에서 주력하고 있는 것은?
현재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내 식생활 단원은 영양과 건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여 향후 건강한 식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소양을 키우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나아가 건강한 가정생활이 가능하도록 바람직한 식단 작성 및 올바른 식품 선택을 위한 지식은 물론 자원, 환경 등과 관련된 생태교육, 식사예절교육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Kim & Kim, 2010). 또한 2007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가정생활에서 학생이 직면하는 생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체험 중심 학습과 실천적 추론 학습을 강조하고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8a).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