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식생활 단원'의 식품안전 내용 분석
Analysis of Food Safety Content in 'Food and Nutrition' Unit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3, 2020년, pp.63 - 79  

오은영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생활과학과) ,  김유경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안전'이 핵심 개념으로 등장함에 따라 기술·가정2 교과서 12종의 '가정생활과 안전' 단원의 식생활 영역의 안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을 준거로 하여 '식품 선택의 중요성', '식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 '위생과 안전을 고려한 조리', '식품안전 위해요인'을 내용 요소로 선정하였고, 본문과 구성 체제 요소, 활동 과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문에서는 '식품선택의 중요성'(3.08쪽), '식품안전 위해요인'(2.96쪽), '식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2.63쪽), '안전을 고려한 조리'(0.98쪽) 순으로 내용의 비중이 높았으며, 구성 체제 요소의 비율은 상이하였지만, 표·그림·사진으로 반영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학습자료, 활동, 보조단, 중단원 정리, 중단원 도입 및 익힘 문제, 소단원 도입 순이었다. 활동과제에서는 '식품 선택의 중요성'를 가장 많이 다루었고, '식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를 두번째로, 이후 '위생과 안전을 고려한 조리', '식품안전 위해요인' 순으로 많이 다루었으며, 집단 규모별 활동과제의 수는 개별 활동이 가장 많았고, 기능에 따라서는 조사하기, 평가하기, 제작하기, 적용하기, 실천하기, 추론하기와 판단하기, 활용하기와 제안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2종을 분석한 결과, 추후 교과서 개발 시 본문과 구성 체제요소에서 내용의 적절한 배분과 실제 현황을 반영한 교육 내용의 갱신, 집단 규모의 활동 과제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food safety unit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as 'safety' emerged as a key concep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rom each textbook, the main text, auxiliary elements(including tables, figures, etc.), and related activ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필자가 가정 교과 교육에서 식생활 안전 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제안한 것은? 이를 바탕으로 가정 교과 교육에서 식생활 안전 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문 및 구성요소에 반영되는 내용에서 최신의 경향을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식품안전 위해요인’의 내용을 이전보다 많이 다루어졌지만, 위해요인별 현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위해순위가 높고 식품안전 및 영양⋅식생활 교육 교육정책(MOE, 2017; NFSIS, 2018)에도 언급된 ‘알레르기 성분 미표시’를 위해 요인으로서 본문에 언급한 교과서는 없거나 다루는 정도가 미비하였다. 또한, 2016년 개정된 영양성분표 삽입 여부도 출판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출판사와 교사는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요소의 장단점을 충분히 설명하여 학생들이 편중된 의견을 갖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MFDS(2017)는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하여 “식품첨가물은 엄격한 안전성 평가 과정을 거쳐 안전하다고 입증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준 및 규격에 의해 제조, 사용 범위, 사용 목적, 사용량 등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p. 16).”라고 기재하였고, 이외에도 식품첨가물에 관련한 자료를 꾸준히 배포해왔다. 하지만, 실제 교과서에서 다룬 식품첨가물의 내용에서는 첨가물의 위해성을 강조할 뿐, 안전성에 대해서는 언급한 비율이 낮았다. 또한 유전자변형식품(GMO)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밝혀진 GMO의 안전성과 사용빈도에 비하여 편중된 정보만을 담고 있어 GMO의 장단점과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교과서에 수록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가정 교과 핵심 역량 중 ‘관계형성능력’ 함양을 위해 소집단 활동과 학급 전체 활동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실천적 경험을 중요시하는 가정 교과에서 학생들이 직접 활동할 수 있도록 내용을 편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동시에 학급 공동체의 상호작용을 도모 하기 위해서는 학급 전체 활동을 적절히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활동 과제에서 학생들이 수행 능력을 다양하게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정 교과에서의 효율적인 식생활 안전 교육을 위해 식생활 단원 내 안전 내용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안전이란 어떤 상태인가? 안전이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예상되는 위험(risk)과 예상치 못한 위험(danger)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Maslow, 1998). 최근 급증하고 있는 크고 작은 안전사고로 인해 체계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식품안전이란? 식품안전이란 건강상의 위해와 관련하여 식품의 품질에 적용되는 용어로서, 천연적⋅인위적 독소⋅물질에 의한 급성⋅ 만성 중독, 전염병과 같이 식품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해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상태를 말한다(Park, 2007). 안전한 식품이란 안전성(safety), 건전성(soundness), 완전성(wholesomeness)이 원료의 생산, 유통, 판매, 조리, 섭취 과정에서 확보된 식품으로 정의된다(WHO, 197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ae, J. H., Kim, S. K., Park, M. J., Yeo, S. K., Lee, J. G., Han, J.,...Han, J. D. (2018).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1st ed.). Seoul: Samyang Media. 

  2. Cho, G.-Y., Choi, J.-H., Ryoo, I. J., Nam, S.-Y., Jung, Y. H., Min, C. G.,...You, B.-R. (2018).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1st ed.). Seoul: Kumsung Publishing. 

  3. Choi, S.-Y., Lee, Y.-S., Choi, Y.-J., Joo. H.-J., Kim, S.-H., & Park. M.-J. (2018). Analysis of activities task using multiple intelligence in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focusing on the dietary life uni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3), 19-42. doi:10.19031/jkheea.2018.09.30.3.19 

  4. Choi, W.-S., Kim, C.-S., Jeon, Y. J., Nam, S.-G., Lim, B.-U., Lee, S. I.,...Heo, Y.-S. (2018).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1st ed.). Gyomoon Publishers. 

  5. Choi, Y. H., Lee, M. H., Lee, E. S., Lee, S. M., Kim, D. H., Shim, H.,...Lee, H.-J. (2018).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1st ed.). Seoul: Jihaksa Publishing. 

  6. Choi, Y. N. (2014). Efficiency of middle school textbook for food safety knowledge and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7. Eo, J.-H., & Oh, K.-H. (2008). Research on the Student Activities in the Clothing & Textiles Section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Textbook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2), 15-30. 

  8. Jang, S. O. (2008). Contents analysis of the elderly housing in the unit family life & housing: focused on the 9th grade textbook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2), 31-46. 

  9. Jang, Y.-M., & Kim, Y. K. (2018). Content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unit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Home Economics: Focus on the National Curriculums from 1st to 2009 revised.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4), 93-112. doi:10.19031/jkheea.2018.12.30.4.93 

  10. Jin, B.-K., Jung, I.-K., & Kim, J.-H. (2010). Study on the perception on food safet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Education Inquiry, 28(2), 1-12. 

  11. Jung, S.-B., Park, H. Z., Noh, U.-S., Kang, G.-G., Mok, G.-H., Kwak, S.-M.,...Jang, E.-H. (2018).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1st ed.). Seoul: Kyohaksa. 

  12. Kim, J.-S., Kwon, H., Kim, D. N., Lee, D.-G., Sung, E.-S., Yoo, S.-M.,...Seo, G.-H. (2018).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1st ed.). Paju: Visang. 

  13. Kim, J. S. (2018). Contents and perspectiv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reflected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n south korea: focusing on consumer life related unit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K. S., Kim, T.-H., Kim, B.-O., Jung, M., Jin, J.-H., Lee, M.,...Yu, J.-H. (2018).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1st ed.). Seoul: Wonn publishing. 

  15. Kim, N.-E. (201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afety themeba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6. Kim, N.-E. (2017). Analysis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of field of home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developed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2), 23-39. doi:10.19031/jkheea.2017.06.29.2.23 

  17.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for food safety content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Seoul: Author. 

  18. Kwon, Y. Y., Yoo, H. B., & Jeong, E. Y. (2011). An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the unit 'digestion and circulatio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39(4), 517-528. doi:10.21796/jse.2017.41.3.462 

  19. Lee, B.-G., Lee, S.-B., Park, E. S., Lim, J. G., Lee, J.-T., Jung, J.-W.,...Oh, H. R. (2018).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1st ed.). Seoul: Gyohak doseo. 

  20. Lee, C. S., Moon, D.-Y., Shin, K., Park, J. S., Kim, D.-I., Lee, M. G.,...Sung, E.-J. (2018).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1st ed.). Seoul: Chunjae Education. 

  21. Lee, Y.-H., Lim, O.-H., & Won, E.-S. (2004).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in early-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eacher's safety recogni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7(3), 59-71. 

  22. Lee, S. H. (2010). An overview of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new middle school first grade textbooks. Proceedings of the 2009 Winte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pp. 2-30). Seoul: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 Lee, Y. S. (2010). An analysis on the units of 'adolescence self-management' and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used in middle schools: focusing on how the emphasis of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is reflected.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55-75. 

  24. Maslow, A. H. (1998).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3rd ed.). New York: Wiley. 

  25. Ministry of Education (2014). Comprehensive measures for safety in education. Sejong: Author. 

  26. Ministry of Education (2015a).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information curriculum (Minist ry of Educat ion No. 2015-74 [Seperate 10]). Sejong: Author. 

  27. Ministry of Education (2015b). 7 safety education standards. Sejong: Author. 

  28. Ministry of Education (2017). 2018 educational policies. Sejong: Author. 

  2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Foods labelling standards. Retrieved from https://www.mfds.go.kr/eng/brd/m_15/view.do?seq70814 

  3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Food safety & nutri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Cheongju: Author. 

  3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Presentation of the 2nd Food and Drug Safety Open Forum 2020. Retreived from https://www.mfds.go.kr/brd/m_59/view.do?seq405 

  32. Mun, S.-H., Kim, J.-W., Lee, S.-W., Lim, D.-G., Jung, A.-L., Yeo, E.-M.,...Jung, S. H. (2018).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1st ed.). Seoul: Cmass. 

  33. National Food Safety Information Service (2018). 2017 Domestic and Foreign Food Safety Information Trend. 

  34. Park, A. K. (2007). Food safety education development based on standard educare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7(4), 83-101. 

  35. Park, D. (2017). Contents of dietary safety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6. Seo, K. H., Kim, S. H., & Kim, Y. K. (2019). Comparative analysis of cont ent s regarding family meals in t he unit o f dietary life: focusing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xtbook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 93-119. doi:10.22251/jlcci.2019.19.15.93 

  37. World Health Organization (1977). Food hygiene in catering establishmens. Geneva: Author.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