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사지에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의 특성과 치료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12년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치료받은 연부조직 종양 환자 중에서 사지에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으로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남자가 1예, 여자가 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4세(37-55세)이고, 평균 추시 기간은 34.6개월(8-87개월)이었다. 5명의 환자 모두에서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1명의 환자에서만 광범위 절제연을 얻었고, 3명에서는 변연부 절제연을, 다른 1명에서는 병소내 절제연을 얻었다. 광범위 절제연을 얻지 못한 4명의 환자 모두에서 술 후 평균 10.3개월(8-19개월)에 재발이 발생하였으며, 재발한 4명의 환자 중 2명에서 섬유육종으로의 악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악성 변화를 보인 2명의 환자 중 1명은 폐, 간 및 림프절로의 다발성 원격 전이가 발생하여 추시관찰 37개월에 사망하였다. 5예의 병변 중 3예에서 종양의 경계가 사지의 주요 동맥에 인접한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1예에서는 종양이 좌골 신경을 침범한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론: 사지에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은 주요 신경혈관계와 인접하여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종양은 재발을 잘하며 악성 변화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광범위 절제술이 적절한 수술적 치료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analyzed the oncologic characteristics and outcome of patients with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of extremitie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soft tissue tumor patients who were treated between 1999 and 2012, 5 patients who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as the inflammatory my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12년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치료받은 연부조직 종양 환자 중에서 사지에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으로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임상 기록, 단순 방사선 사진 및 전산화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병리 슬라이드를 분석하여 환자의 특성과 종양의 해부학적 위치, 병리학적 등급, 수술적 절제연과 국소 재발, 원격 전이여부를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12년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치료받은 연부조직 종양 환자 중에서 사지에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으로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임상 기록, 단순 방사선 사진 및 전산화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병리 슬라이드를 분석하여 환자의 특성과 종양의 해부학적 위치, 병리학적 등급, 수술적 절제연과 국소 재발, 원격 전이여부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은 어디에 발생하는가? 1) 이후, 폐 이외의 다양한 장기들에서도 병리학적으로 동일한 병변이 발견되어 부위별로 각각 다른 이름으로 보고되던 중, 1994년 WHO 분류에 의하여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이라는 명칭으로 통일되었다.2-4) 발생빈도는 폐에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그 외에 간, 대장, 방광 등의 복부 내 장기에서부터 안와, 경부, 중추신경계 등에 이르는 다양한 장기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은 발병 부위에 따라 병변의 진행양상과 예후가 다르게 나타난다.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은 병변 부위에 따라 진행 양상과 예후가 어떻게 다른가? 5)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은 발병 부위에 따라 병변의 진행양상과 예후가 다르게 나타난다. 폐에 발생한 병변의 경우 재발이 드물며 양성 종양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6,7) 이에 비해 폐 이외의 장기에서 발생한 병변은 질병의 발생빈도가 극히 낮아 질병의 진행 양상과 예후가 거의 밝혀진 바가 없으며, 보고자에 따라 매우 양호한 예후에서부터 악성 종양으로의 특성을 보이는 경우까지 다양한 증례가 보고되었다.5,8-10)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이란 무엇인가?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은 매우 드문 병변으로 근섬유모세포성 방추세포의 증식이 다양한 정도의 염증세포 침윤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1954년 Umiker와 Iverson에 의해 발견되어 폐에 발생한 염증성 가성종양이라 불리게 되었다.1) 이후, 폐 이외의 다양한 장기들에서도 병리학적으로 동일한 병변이 발견되어 부위별로 각각 다른 이름으로 보고되던 중, 1994년 WHO 분류에 의하여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성 종양이라는 명칭으로 통일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Umiker WO, iverson L. Postinflammatory tumors of the lung; report of four cases simulating xanthoma, fibroma, or plasma cell tumor. J Thorac Surg. 1954;28:55-63. 

  2. Stoll LM, Li QK. Cytology of fine-needle aspiration of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Diagn Cytopathol. 2011;39:663-72. 

  3. Batsakis JG, el-Naggar AK, Luna MA, Goepfert H. "Inflammatory pseudotumor": what is it? How does it behave? Ann Otol Rhinol Laryngol. 1995;104:329-31. 

  4. Pettinato G, Manivel JC, De Rosa N, Dehner LP.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plasma cell granuloma). Clinicopathologic study of 20 cases with imm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Am J Clin Pathol. 1990;94:538-46. 

  5. Coffin CM, Watterson J, Priest JR, Dehner LP. Extrapulmonary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inflammatory pseudotumor).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84 cases. Am J Surg Pathol. 1995;19:859-72. 

  6. Sakurai H, Hasegawa T, Watanabe Si, Suzuki K, Asamura H, Tsuchiya R.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of the lung. Eur J Cardiothorac Surg. 2004;25:155-9. 

  7. Vancauwenbergh A, Smet MH, Breysem L. Inflammatory pseudotumor of the lung. JBR-BTR. 2002;85:209-11. 

  8. Liu C, Zhao X, Zhao Z, Lu P, Jin F, Li G. Malignant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of the prostate. J Clin Oncol. 2013;31:e144-7. 

  9. Dishop MK, Warner BW, Dehner LP, et al. Successful treatment of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with malignant transformation by surgical resection and chemotherapy. J Pediatr Hematol Oncol. 2003;25:153-8. 

  10. Hojo H, Newton WA Jr, Hamoudi AB, et al. Pseudosarcomatous myofibroblastic tumor of the urinary bladder in children: a study of 11 cases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An Intergroup Rhabdomyosarcoma Study. Am J Surg Pathol. 1995;19:1224- 36. 

  11. Masciocchi C, Lanni G, Conti L, et al. Soft-tissue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s (IMTs) of the limbs: potential and limits of diagnostic imaging. Skeletal Radiol. 2012;41:643-9. 

  12. Horger M, Muller-Schimpfle M, Wehrmann M, et al. Giant bilateral inflammatory pseudotumor arising along the arterial sheath of the lower extremities. AJR Am J Roentgenol. 2002;179:637-9. 

  13. Watanabe K, Tajino T, Sekiguchi M, Suzuki T.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inflammatory fibrosarcoma) of the bone. Arch Pathol Lab Med. 2000;124:1514-7. 

  14. Donner LR, Trompler RA, White RR 4th. Progression of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inflammatory pseudotumor) of soft tissue into sarcoma after several recurrences. Hum Pathol. 1996;27:1095-8. 

  15. Narla LD, Newman B, Spottswood SS, Narla S, Kolli R. Inflammatory pseudotumor. Radiographics. 2003;23:719-29. 

  16. Meis JM, Enzinger FM. Inflammatory fibrosarcoma of the mesentery and retroperitoneum. A tumor closely simulating inflammatory pseudotumor. Am J Surg Pathol. 1991;15:1146- 56. 

  17. Tao YL, Wang ZJ, Han JG, Wei P.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successfully treated with chemotherapy and nonsteroidals: a case report. World J Gastroenterol. 2012;18:71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